메뉴 건너뛰기

close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10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정부에게 지역의 안전과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핵에너지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과감한 탈핵 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10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정부에게 지역의 안전과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핵에너지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과감한 탈핵 에너지 전환을 촉구했다. ⓒ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울산지역 60여 개 단체로 구성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이재명 정부에게 핵에너지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과감한 탈핵 에너지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10일 울산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핵에너지로 인한 지역의 희생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새로 탄생한 이재명정부에게 지역의 안전과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핵에너지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과감한 탈핵 에너지 전환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이날 기자회견 배경으로 지난 3일 치른 제21대 대선 더불어민주당 선거 공약집에서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과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확인되었지만 탈핵이 없다는 점을 들었다.

AD
이들은 "(공약집에서 확인한) 목표는 핵발전의 위험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고자 하는 울산 시민의 염원과도 연결된다"며 '햇빛소득마을 조성', '농가 태양광 설치 지원을 통한 에너지 자립 실현'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들을 사례로 들었다.

또한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은 화석연료 발전의 축소와 재생에너지 확대로 나아가는 긍정적으로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들은 "공약집 어디에서도 '탈핵'이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말뒤에 핵발전소의 위험을 숨기고, 지역의 희생을 방관하려는 비겁한 태도가 아닌가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울산은 노후핵발전소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살아가고 있다"며 "국가의 에너지 정책이 특정 지역의 안전과 생명을 담보로 하는 것은 폭력이며, 그로 인해 100만이 넘는 울산시민들은 잠재적 위험을 고스란히 감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 국가의 에너지 정책이 특정 지역의 희생과 불안을 담보로 해서는 안된다"며 "(공약집에 있는) '정의로운 전환 특구 지정 및 고용전환과 신산업 역량 개발 지원'이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핵 에너지 산업과 관련된 지역사회와 노동자들의 정의로운 전환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들은 이재명 정부에 '핵발전소의 단계적 폐쇄 계획과 신규 핵발전소 추가건설 중단, 이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과 '핵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보급을 국가적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울산과 같은 핵발전소 인접 지역의 재생에너지 자립 시스템 구축을 위한 특별 지원책'을 요구했다.

끝으로 이들은 "울산 시민은 더 이상 서울수도권 에너지의 희생양이 될 수 없다"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건설하는 길에 이재명 정부가 앞장서 주시기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재명정부#탈핵#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저서로 <울산광역시 승격 백서> <한국수소연감> 등이 있음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