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법의학자(forensic scientist)는 사망의 원인과 경위를 과학적으로 밝히는 전문가로, 범죄 수사와 법적 판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호 교수는 30여 년 동안 이 길을 걸어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법의학자다.

그는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웅진지식하우스, 2024)에서 자신이 부검 현장에서 마주한 수많은 죽음을 통해 깨달은 인간의 삶과 본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호 교수의 책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법의학자 이호 교수의 책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이호 교수의 책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법의학자 이호 교수의 책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 정병진

이 교수가 법의학자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는 1989년의 이철규 의문사 사건이었다. 의학부 시절 학생운동을 하며 이 사건을 접한 그는, 죽음의 진실을 밝혀내는 일을 평생의 소명으로 삼기로 했다. 이후 그는 우연히 이철규 열사의 부검을 맡았던 법의학자와 함께 근무하게 되었고, 사건의 진실과 법의학의 엄중함을 직접 체득하게 되었다.

AD
이호 교수는 지금까지 약 4천구 남짓의 시신의 부검을 진행하였다. 그중에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사건'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세월호 침몰 사고' 등의 우리 사회를 뒤흔든 굵직한 참사 사건의 희생자들도 포함돼 있다. 그토록 다양하고 많은 참사와 의문사의 시신들을 부검하면서 이 교수는 그들이 침묵 속에서 말하려는 게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부단히 힘쓴다.

그는 참사의 '결과'에 대한 처벌과 책임을 묻는 일보다 더욱 중요한 일은 왜 이런 일이 발생하였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불행히도 우리 사회는 이호 교수의 생각과 달리 예방보다는 뒤늦게 누군가에게 그 책임을 지우는 일에 더 급급한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대형 참사'를 되풀이하는 게 아닌가 싶다.

이 책의 중심은 그가 법의학자로서 부검한 수많은 사건들의 기록이다. 특히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참사'는 가난하고 어린 생명들이 희생된 안타까운 사건이라 저자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긴 경우다. 또한 보험금을 위해 병든 아내를 살해한 남편의 사건처럼, 인간의 탐욕과 위선이 얼마나 잔혹한지도 담담히 보여준다. 이런 이야기들은 독자에게 충격을 주기보다, "죽음이 말해주는 삶의 민낯"을 차분히 곱씹게 만든다.

이호 교수의 글은 의학적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되, 어렵지 않고 서술이 간결하다. 그는 해부대 위의 시신에서 단지 '사망 원인'만 찾는 게 아니라, 죽음 뒤에 남겨진 이야기와 의미를 끌어내고자 한다. 책 전반에 흐르는 인문학적 통찰, 금언(名言), 다양한 예화는 독자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긴다. 문장은 간결하지만 그 안에 담긴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은 결코 가볍지 않다.

책을 읽다 보면 어느새 독자는 여러 '죽음' 사례를 통해 궁극적으로 '삶'에 대해 성찰하게 된다. 저자는 말한다. "사람은 두 번 죽는다. 숨이 멎을 때, 그리고 그 사람을 마지막으로 기억하던 이가 세상을 떠날 때." 그렇기에 죽음을 애도하고 그 의미를 기억하는 것은 결국 살아 있는 자들의 몫이다.

죽음을 금기시하는 우리 문화에 대해서도 그는 말한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연명치료에 기대기보다, 스스로 선택한 방식으로 평온하게 떠날 수 있는 존엄사 문화가 한국 사회에도 정착되기를 바란다. 이호 교수는 수많은 참사와 의문사 속에서도 "어떻게 죽을 것인가"보다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묻는다. 법의학자이지만 누구보다도 삶에 가까운 이야기꾼이자 성찰자이다.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은 죽음을 둘러싼 막연한 두려움과 회피를 걷어내고, 그 안에서 진실한 삶의 모습을 마주하게 해주는 깊은 울림의 책이다.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독자는 자신도 모르게 삶의 태도를 다시 돌아보게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겨자씨신문에도 실립니다.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 한 법의학자가 수천의 인생을 마주하며 깨달은 삶의 철학

이호 (지은이), 웅진지식하우스(2024)


#법의학자#이호교수#이철규열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여수솔샘교회 목사입니다. '정의와 평화가 입맞추는 세상' 함께 꿈꾸며 이루어 가기 원합니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