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환 감독이 유튜브 측으로부터 받은 채널 복구 안내 메일. ⓒ 구자환
[2신 : 5월 28일 오전 7시 17분]
구자환 감독이 영상을 제작해 올렸던 유튜브 <다큐몹>, <풍경소리>, <이춘의 세상만사> 채널과 개인 계정이 삭제됐다가 다시 복구됐다. 구 감독은 28일 아침 유뷰브 측으로부터 모든 채널이 복구되었다는 메일을 받았다고 밝혔다.
<다큐몹>은 23일, <풍경소리>는 26일, <이춘의 세상만사>는 27일에 차례로 채널 삭제됐었다. 유튜브 측은 27일 저녁 늦은 시각에 구 감독한테 메일을 보내 채넉 복구 사실을 알렸다. 유튜브 측은 구 감독의 이의신청을 검토했고, 채널을 복구했다는 설명이다.
구 감독은 "정말 다행이다. 여전히 콘텐츠가 어떤 문제의 소지가 있는지 알려주지 않는 것은 아쉽다"라며 "사실 페이스북 계정에 이어 유튜브 계정까지 사라지면서 상실감이 컸다. 사회적 활동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어째든 중요한 자료들을 살릴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유튜브 계정 삭제에 대해 항의하고 위로해 준 분들께 감사드린다"라며 "이번 일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보도해 준 오마이뉴스 등 언론에 고맙다는 인사드린다"라고 했다.
[1신 : 5월 27일 오전 11시 59분]
민간인 학살 등 16년간 만든 자료, 하루아침에 유튜브 삭제돼 피해

▲구글 유튜브 측이 구자환 감독의 <다큐몹> 등 채널 삭제를 하며 보낸 안내 글. ⓒ 구자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비롯해 여러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리고 있는 구자환 감독이 '최근 합당한 이유 없이 개인 계정과 채널이 삭제돼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구 감독은 지난 23일 <다큐몹>, 26일 <풍경소리>에 이어 27일 <이춘의 세상만사>의 유튜브 채널이 삭제됐다고 밝혔다. <다큐몹>은 구 감독이 2009년부터 운영해 왔고, 여행을 주제로 한 <풍경소리>는 2024년에 개설했다. <이춘의 세상만사>는 이춘 작가와 공동 운영해 왔다.
16년째 운영해온 <다큐몹>에는 구 감독이 만든 민간인 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 <레드 툼> <해원> <태안> 그리고 민간인 피학살자 유족 인터뷰, 추모위령제 등의 자료가 게재돼 있었다.
또 이 채널에는 조두남 작곡가의 친일 행적을 다룬 다큐멘터리 <선구자는 없다>도 올라가 있었다. 채널 삭제 전 구독자 2600여 명이었던 <다큐몹>은 게시된 자료(글)가 130여 개에 달했다.
<이춘의 세상만사>는 이춘 작가가 여러 사람들을 만나 나눈 이야기를 담은 영상이 올라와 있었다. 윤미향 전 국회의원과 송순호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겸 경남도당 위원장, 이병하 윤석열퇴진 경남운동본부 대표, 박봉열 진보당 경남도당 위원장 등이 여러 현안에 대해 인터뷰했던 영상이었다.
"사기에 대한 모든 것을 인정한다"는 구글 안내... 구 감독 "도무지 납득 안 돼"
구 감독과 이 작가는 유튜브 운영사인 구글 측으로부터 메일을 받았지만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구글 측은 삭제 사유로 게시물 정책 위반을 들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게시물이 유튜브의 정책 위반에 해당하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서 "현혹을 제외하고 사기에 대한 모든 것을 인정한다"거나, "사기 또는 기타 행위를 조장하는 콘텐츠는 허용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해놨다.
구자환 감독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구 감독은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문제가 된 부분을 설명하고 유튜브 이용자들이 방어권을 행사하거나 조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며 "그럼에도 유튜브는 이용자들을 마름이나 소작농 취급하는 듯하다"라고 말했다.
구 감독은 "유튜브의 제왕적 행위를 바로 잡기 위해 국가인권위, 청와대, 국민권익위 등에 민원을 넣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춘 작가는 "구 감독이 <다큐몹>에 올려 놓았던 영상은 소중한 기록들이다. 경남 민간인 학살을 다룬 <레드 툼>, 전국 학살을 추적한 <해원>, 태안 지역 학살을 다룬 <태안> 영화가 통째로 업로드되어 있다. 영화에 출연한 유족들 중 이미 고인이 된 분들이 많다"라며 "영화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을지라도, 국가기록물에서 기록물로 인정할 정도로 가치있는 기록이다. 그 기록을 통째로 날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작가는 "구 감독의 유튜브에는 12.3내란 이전부터 거리에서 웅성거리며 시작한 작은 집회가, 거리로 물결치던 지역의 아우성들이 생생하게 기록돼 있다"라며 "작년 한 해 동안 매주 업로드 했던 <이춘의 세상만사>도 사라졌다"라고 했다.
구글 국내 민원상담팀 관계자는 "계정·채널 삭제를 하게 되면 메일을 통해 알리고 있다. 사기·현혹에 해당할 경우 허용되지 않는다"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면 메일을 통한 이의신청 과정을 거쳐야 한다"라고 밝혔다.

▲구자환 감독과 이춘 작가가 운영했던 유튜브 채널 <이춘의 세상만사> ⓒ 이춘
구자환 감독은 "진보 관련 단체의 유튜브 채널이 최근에 삭제된 사례가 있다"라며 "납득할만한 이유 없이, 구체적으로 어떤 게시물에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아무런 설명 없이 16년 동안 해온 작업이 들어가 있는 채널을 삭제 당하고 나니 황당해서 헛웃음만 나온다"라고 말했다.
구 감독이 언급한 진보 관련 단체의 유튜브 채널 삭제는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오픈넷, 진보네트워크센터, 자주연합(준), 자주통일평화연대, 전국플랜트건설노동조합의 채널 삭제·복구를 말한다. 이들 단체는 지난 21일 "시민사회단체 유튜브 채널 구체적 이유 통보 없이 삭제"이라며 "구글 글로벌 인권정책팀에 문제제기하자 채널 복구"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이들은 "지난 3월과 4월에 걸쳐 유튜브 채널이 '스팸, 현혹행위, 사기' 관련 게시물관리정책 위반을 이유로 적시한 구글의 통지와 함께 삭제됐다"라며 "구글 글로벌 인권정책팀에 문제제기를 했고 채널은 20일 복구됐다"라고 알렸다. 그러면서 이들은 "시민사회단체는 유튜브측의 일방적 삭제 조치에 매우 유감을 표시하며 유사한 피해 발생시 게시자들이 대응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해 줄 것을 구글 측에 요청한다"라며 "정부와 국회에는 관련 법적 제도를 정비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