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청학련동지회 전현직 대표들 ⓒ 강창일 전 의원 제공
우리나라의 대표적 원로 민주화운동의 주역이라 할 수 있는 민청학련(민주청년학생총연맹) 출신들의 모임인 민청학련동지회 전현직 대표들이 최근 21대 대선을 앞두고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를 강력히 규탄했다.
민청학련동지회 대표 강창일 전 국회의원, 전 대표 장영달 전 국회의원, 전전 대표 이철 전 국회의원 등은 23일 성명을 내고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가 최근 김문수 국힘 대선 후보를 지지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22일 손학규씨가 21대 대선을 앞두고 극좌에서 극우로 전향한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다고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김 후보는 민주화 보상금을 사양한 깨끗한 사람으로 치부하는가 하면, 부모의 국적이 일본이었다고 주장하여 우리를 경악하게 하였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서 "70년대 민주화운동을 하였던 우리 민청학련 동지들은 김문수 후보와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의 작태를 더이상 묵과할 수가 없어서 우리의 입장을 만 천하에 알리는 바이다. 변절자이자 배신자인 당신들은 더 이상 민주화 운동 경력을 팔아 먹지 마라. 우리는 당신들을 보면서 치욕을 느낀다"고 목소리 높였다. 그러면서 "과거의 동지를, 자식들을 어떻게 볼 것인가? 껍데기는 가라"고 강력히 규탄했다.
(*김문수 후보의 '10억 보상금 수령 거부설'과 관련하여, <뉴스타파>는 "김문수 후보가 민주화운동 보상금 '10억 원'을 받을 수 있었음에도 '거부'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김 후보의 민주화운동 이력에 따른 보상 가능 금액은 최대 2400만 원 정도였고, 2005년 이후에는 이마저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되지 않았다. 당시 김문수 후보가 이 같은 사실을 미리 알고 보상 신청을 하지 않았을 수는 있지만, 본인이 얼마든지 받을 수 있는 거액의 보상을 적극적으로 거부했다고 할 수는 없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한, 김 후보는 지난 2024년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일제강점기에 살았던 우리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일본이지, 국적이 한국입니까"라고 답해 논란이 된 바 있다. - 편집자 주)
한편, 민청학련(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은 1974년 박정희 정권 하에서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청년·학생들의 민주화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조작된 대표적인 공안 사건, 학생운동 탄압 사건이다. 당시 정부는 서울대, 고려대 등 대학생들이 북한과 연계된 반국가 단체를 결성했다고 주장하며 학생들을 대대적으로 구속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공안당국의 조작과 과장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실질적으로 유신 반대 시위와 정치적 활동에 대한 탄압이었다. 이 사건은 수많은 학생과 지식인이 구속되고 고문을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상징으로 남았다. 유신 체제의 인권 탄압을 대표하는 사건으로, 한국 민주화운동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했다.
이 사건 당시 관여됐던 주요 인물들로는 강창일, 장영달, 이철 전 의원 외에도 김지하, 장기표, 김근태, 이해찬, 유인태, 지학순, 박형규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는 이미 고인이 된 인물도 여럿 있다. 이들은 현재에도 '민청학련동지회'라는 이름으로 모임을 이어가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민청학련 사건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민청학련동지회 회원들이 운동회를 마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 강창일 전의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