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2일 경남 양산 워터파크공원에서 열린 유세에서 손을 치켜들고 인사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2일 경남 양산 워터파크공원에서 열린 유세에서 손을 치켜들고 인사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22%p→9%p.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 간 격차가 한국갤럽 조사에서 한 자릿수로 좁혀졌다. 여전히 오차범위 밖(95% 신뢰수준에 ±3.1%p) 격차지만, 1주 전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결과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도 격차도 다시 오차범위 내로 복귀했다. 윤석열 탄핵 찬반 대립이 격했던 2~3월 구도와 같다.

이는 6.3 대선을 11일 남겨둔 23일 발표된 한국갤럽 5월 4주차 조사 결과로, 대선 전 발표된 마지막 한국갤럽 정례조사다.

AD
한국갤럽은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총통화 5620명, 응답률 17.8%)에게 휴대전화 가상번호(100%)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중 누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냐고 물었다(재질문 1회).

그 결과 이재명 후보는 45%, 김문수 후보는 36%, 이준석 후보는 10%로 나타났다. 그 외는 기타 인물 0.5%, 의견유보(없음+모름/응답거절) 8%였다. 이재명 후보는 전 주 조사(5.13~15) 대비 6%p 하락한 반면, 김문수·이준석 후보는 각각 7%p, 2%p 상승한 결과다.

적극 투표 의향자(n=871)만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49%)와 김문수 후보(38%) 간 격차는 11%p로 더 벌어진다. 다만, 이재명 후보는 적극 투표 의향자 응답층에서 전주 대비 6%p 하락했고 김문수 후보는 8%p 상승했다. 이준석 후보(9%)도 전주 대비 1%p 오른 결과다(이하 후보 호칭 생략).

김문수로 표심 모으는 보수층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광명시 철산로데오거리에 마련된 유세차량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2일 광명시 철산로데오거리에 마련된 유세차량에 올라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사상 초유의 '후보 갈이' 파동 등을 겪으면서 이완됐던 보수층이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결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갤럽은 "국민의힘은 민주당보다 후보 선출 과정이 늦은 데다 경선 후 단일화를 둘러싼 내홍으로 분분했으나 지난 주말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과 대선 후보 첫 TV 토론회가 모종의 분기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실제 전 주 조사와 비교하면 보수층이 진보층보다 더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했다. 보수층(n=349) 응답은 전주 대비 49명 늘었지만 진보층(n=234) 응답은 전주 대비 61명 줄었다. 중도층(n=327) 응답은 전주 대비 32명 늘었다.

권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이재명 38%-김문수 41%)과 부산/울산/경남(36%-45%), 대구/경북(22%-60%)의 변화가 눈에 띈다. 이재명 응답이 줄고 김문수 응답이 늘면서 전 주 조사와 다르게 구도가 비등해지거나 김문수 우세 결과가 나왔다.

연령별로는 전 주 조사 당시 비등했던 60대(이 39%-김 55%)가 다시 김문수 우세로 돌아섰다. 김문수는 70세 이상(26%-63%)에서도 우위를 점했다. 반면, 이재명은 40대(62%-26%)와 50대(59%-31%)에서 우위를 점했다. 30대(47%-23%)에서도 절반가량 이재명을 지지했다.

지지정당·이념성향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n=423)과 국민의힘 지지층(n=363)은 각 후보 중심으로 강하게 결집했다. 민주당 지지층의 93%가 이재명을, 국민의힘 지지층의 91%가 김문수를 택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의 김문수 선택은 전 주 조사 대비 5%p 상승한 결과다. 이러한 현상은 보수층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보수층의 65%가 김문수를 지지후보로 택했다. 진보층의 83%가 이재명을 택한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지만 전주 조사와 비교하면 7%p 오른 결과다.

중도층의 선택은 이재명 49%-김문수 25%-이준석 14%로 조사됐다. 무당층은 이재명 20%-김문수 14%-이준석 19%로 나뉘었다.

이준석은 무당층만 아니라 18·19세 포함 20대(이재명 31%-김문수 18%-이준석 29%)와 30대(47%-23%-17%) 등 청년 세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세를 보였다.

TK서 30%, PK서 40% 찍었던 민주당 다시 후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간의 단일화에 대해 “이번 대통령선거에 저 이준석과 개혁신당은 끝까지 이준석, 그리고 개혁신당의 이름으로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라며 단일화 거부를 선언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간의 단일화에 대해 “이번 대통령선거에 저 이준석과 개혁신당은 끝까지 이준석, 그리고 개혁신당의 이름으로 반드시 승리할 것이다”라며 단일화 거부를 선언했다. ⓒ 유성호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는 민주당 42%-국민의힘 36%-개혁신당 6%-조국혁신당 2%-무당층 13%였다.

민주당은 전주 조사 대비 6%p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6%p 상승했다. 개혁신당 지지도도 창당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은 "무당층 크기는 지난 대선을 비롯한 주요 선거 직전 수준으로 줄었다"고 전했다.

1주 전 조사 당시 대구/경북에서 30%, 부산/울산/경남에서 40% 지지율을 기록했던 민주당은 해당 권역에서 각각 7%p, 10%p 지지율이 하락했다. 대전/세종/충청에서도 민주당 지지율은 전주 대비 8%p 하락했다.

보수층의 66%가 국민의힘, 진보층의 79%가 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에서는 민주당 44%-국민의힘 26%-무당층 18%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2025대선#이재명#김문수#한국갤럽#이준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현안이슈팀·기획취재팀·기동팀·정치부를 거쳤습니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