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정부가 75년 만에 상속세법 개편 논의 본격화에 나섰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1950년 상속세법 제정 이후 75년 만에 정부안 발의를 통해 상속 체계 개편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국무회의에는 상속세·증여세법 개정안이 상정됐다.

AD
이번 개정안은 상속세를 총 상속액이 아니라 상속인별 취득 유산에 과세하는 유산 취득세로 전환하고 자녀 공제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현재까지는 상속세를 사망한 사람이 물려준 유산을 기준으로 과세했다면, 앞으로는 상속인들이 취득한 상속재산별로 과세하기 때문에 각자 받은 재산에 대한 세금이 결정되는 것이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재산이 많은 가구나 상속인이 많은 다자녀 가구의 세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상속세는 과세 대상 재산에 따라 세율이 높아지는 누진 구조이기 때문에 상속인이 많아지면 재산이 잘게 쪼개져 세액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 대행은 "상속세 과세 관점을 피상속인에서 상속인으로 바꾸는 근본적 변화를 통해서 과세의 형평성을 높이고 중산층과 다자녀 가구의 세 부담을 덜어준다는 측면에서 상속세 제도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일부 이견이 있지만 상속세 부담 완화와 세제 현실화 필요성 등 큰 틀에서는 국회와 국민들께서도 공감하고 계신다. 관계 부처는 충실한 국회 논의를 거쳐서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국회와 국민들과의 소통에 힘써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들 법안은 지난달 28일까지 40일간의 입법예고를 거쳤고, 국회를 통과하면 정부가 과세 집행 시스템을 마련해 오는 2028년부터 시행하게 된다.

"재외국민 투표 시작... 사전투표 관리체계 더 촘촘히 하라"

한편, 이 대행은 보름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을 공정하게 치르도록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행은 "2주 후면 이번 정부의 임기가 마무리된다"며 "각 부처에서는 국정 과제 등 그간 추진한 주요 정책의 진행 과정과 성과, 아쉬움 등을 소상히 정리해 주시고 더 나은 정책 대안도 함께 고민해 다음 정부에서 한 걸음 더 나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오늘부터는 재외국민 투표도 시작된다"며 "투표소로 향하는 국민 한 분 한 분의 발걸음이 많아질수록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에 대해서는 "이번 대통령 선거의 사전 투표 관리 체계를 한층 더 촘촘히 하고 특히 투표함의 안전한 이송과 철저한 보강 등 모든 절차에서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무엇보다 국민 여러분의 소중한 참여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지키는 힘이다. 투표소로 향하는 국민 한 분 한 분의 발걸음이 많아질수록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며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정부는 또 오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3058명으로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이날 통과된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에 따르면, 2026년 입학연도의 의학전문대학원 및 의과대학의 장이 대학의 교육여건 등을 고려해 교육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해 정한 기준에 따라 입학정원을 조정한 모집인원의 범위에서 입학을 허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주호#2025대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