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5.05.21 11:55최종 업데이트 25.05.21 11:55

한강 노벨상 수상 후 첫 책 <빛과 실>, 이건 좀 아쉽다

  • 본문듣기
2024년, 한국 문학은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했다. 한강 작가가 아시아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것이다. 이는 단지 개인의 영예를 넘어, 한국 문학 전체의 정체성과 품격을 세계에 알린 사건이었다. 한강의 이름은 이제 더 이상 한 작가의 이름이 아니라, '한국문학' 그 자체의 상징이 되었다.

노벨상 이후 첫 번째 책이라는 기대감

빛과 실/ 한강 문학과지성사 / 2025 4월 24일 초판 5쇄/ 가격 15,000원
빛과 실/ 한강문학과지성사 / 2025 4월 24일 초판 5쇄/ 가격 15,000원 ⓒ 문학과지성사

그런 한강이 노벨상 수상 이후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은 책이 바로 <빛과 실>이다. 수상 소감과 짧은 산문 열두 꼭지와 시, 직접 촬영한 흑백사진으로 구성된 단출한 이 책은, 그 존재만으로도 큰 기대를 모았다. 독자들은 단지 글 이상의 것을 기대했을지도 모른다. 세계문학의 문을 통과한 작가의 내면, 상처와 연대, 침묵과 감응에 대한 한층 깊어진 성찰을 기대했을 것이다.

AD
실제로 책의 사진들과 문장들은 조용하고 섬세한 시선으로 독자의 마음을 두드린다. 빛을 끌어당기는 거울, 그리고 그 위로 드리운 흐릿한 실루엣은 상처 입은 세계를 비추는 작가의 윤리적 감수성을 드러낸다. <빛과 실>은 한강이라는 작가가 여전히 고통 받는 이들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쓰인, 작고 조심스러운 책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기대에 비해 책의 내용은 다소 아쉬움을 남긴다. 수상 소감은 이미 여러 매체를 통해 알려졌던 내용이며, 짧은 산문들은 오히려 작가의 세계를 충분히 보여주기에는 제한된 호흡이었다. 산문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짧은, 서사시라고 할 수도 없고, 시라고 하기에는 너무 긴, 그냥 일상의 단상들을 깊은 성찰의 과정 없이 거칠게 써내려간 느낌이었다.

'북향 전원'과 '정원 일기'는 수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짧다. 심지어는 한 페이지가 "하루가 다르게 불두화 잎이 피어난다(정원 일기 3월 20일 자)"거나 "모든 나뭇잎들이 물들고 있다(정원 일기 11월 6일 자)"라는 식으로 한 문장이 책의 한 쪽을 채운 곳도 있다.

이 책에는 활자가 없는 빈 공간, 문자와 문자 사이가 잠시 호흡이나 휴식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음표나 쉼표가 아니라, 그냥 한 권 분량의 문장을 쥐어짠 느낌이 드는 것이다. 이전의 한강 작품들을 떠올린다면, 그 문장은 복선이 되어야 하고, 그것은 어떤 문장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그것이 한강의 매력이다.

바람과 해류,
전 세계를 잇는
물과 바람의 순환,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연결되어 있다,
부디,
(빛과 실, 48쪽 인용)

그동안 그녀의 모든 작품은 저마다의 빛으로 다가왔지만, 연결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번 <빛과 실>에서는 기대한 빛깔도 없고, 실들도 연결되었다기 보다는 끊어져 있어 보였다. 심지어는 '북향 정원'과 '정원 일기'는 연결되어 있는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단절되어 있다.

흑백사진들은 조용한 시선을 담고 있으나, 문학의 깊이를 비추는 렌즈로 작동하기엔 설명이 부족하거나 맥락이 단절되어 있다는 인상도 남긴다. 독자들 중 일부는 이 책이 한강이라는 이름만으로 소비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

기대감에 못 치는 이유 생각해 보니

특히 아쉬운 것은 이 책이 마치 '브랜드 상품'처럼 대중에게 유통되었다는 느낌이다. 마케팅은 대규모로 이루어졌고, 메이저 출판사는 이를 통해 엄청난 판매고를 올렸다. 그러나 정작 독자들에게는, 작가의 성찰과 감동 이전에 다소 박제된 형식이 먼저 다가왔다. 한강의 이름이 너무 무겁고 높아졌기 때문에, 오히려 이 책이 그 이름을 감당하지 못한 것은 아닐까.

한강 작가 개인의 책임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 어떤 구조와 흐름 속에서 이 책이 출간되고 유통되었는지를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오히려 지금 필요한 질문은, 메이저 출판사가 노벨문학상이라는 거대한 명분 아래에서 문학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었는가이다.

<빛과 실>은 문학과지성사의 에크리 시리즈의 아홉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출판사에 따르면, '문지 에크리'는 '2019년 여름, 2019년 여름, 자신만의 문체로 특유의 스타일을 일궈낸 문학 작가들의 사유를 동시대 독자의 취향에 맞게 구성·기획한 새 산문 시리즈'다. 그럼에도 의문은 남는다. 이 책은 문학의 자존심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는가, 아니면 시장의 관심을 한껏 끌어 모으는 데 초점이 맞춰졌는가?

한강의 작품 세계는 언제나 소수자와 약자, 폭력에 노출된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연민과 응시를 바탕으로 해왔다. 그녀의 문학이 존중받아야 할 이유는 바로 그 윤리성에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책 <빛과 실>은 그녀의 이름이 상품처럼 소비되는 현실과 불편하게 교차된다. 단지 감상적인 정서나 문학적 격조 때문이 아니라, 그녀의 문학이 지켜왔던 세계와 너무 다른 방식으로 대중에게 전해졌다는 점에서다.

이런 고민은 작가 개인을 향하기보다는 문학 출판 생태계를 향해야 한다. 문학은 단지 개인의 예술적 산물이 아니라, 시대와 사회가 함께 읽고 함께 나누는 공동의 자산이다. 따라서 메이저 출판사는 시장의 질서만 따를 것이 아니라, 문학의 윤리성과 공공성에 대한 책임도 함께 져야 한다. 특히, 문학이란 이름 아래 유통되는 책이 어떤 기준과 고민 끝에 만들어졌는지는 책의 두께나 가격보다 훨씬 중요한 문제다.

<빛과 실>은 여전히 빛난다. 조용한 감성, 침묵의 언어, 상처를 향한 응시는 여전히 그 안에 있다. 그러나 그 빛이 문학의 '실'이 되어 더 멀리, 더 깊게 뻗어나가기 위해서는, 그것이 어떤 구조 안에서 소비되고, 어떤 방식으로 독자에게 닿는지를 성찰해야 할 시점이다.

문학은 한 작가의 언어로 피어난다. 하지만 그 언어가 독자에게 닿을 때까지는, 수많은 손을 거친다. 출판사는 그 손 중 하나다. 그 손이 상업성으로만 움직이지 않기를, 문학을 사랑하는 손이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언젠가, 한강의 다음 책이 보다 조용하고 단단하게 독자 곁에 닿기를, 그렇게 문학의 실이 다시 엮이기를 소망한다.

빛과 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 수록,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은이), 문학과지성사(2025)


#한강#빛과실#도서정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