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외선거 홍보 광고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뽑는 선거에 재외국민 26만 4251명이 신고·신청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대 대선 신고.신청자 23만 1560명에 비해 14.1% 증가한 수치로, 짧은 등록기간(4월 4일~24일)에도 재외국민의 높은 대선 열기를 보여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월 24일 제21대 대선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를 마감했다. 26일 공개한 선관위에 잠정 집계에 따르면 마감일까지 재외선거 신고를 한 국외부재자는 모두 23만 2987명, 재외선거인은 3만 1264명(영구명부 등재자 2만 6341명)이다.
해외 대선 투표자는 국외부재자와 재외선거인으로 나뉜다. 국외부재자는 주민등록이 있는 해외 거주자를, 재외선거인은 주민등록이 없이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을 말한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이 있는 유학생 및 파견 지상사 주재원 등은 국외부재자이고, (한국에 주민등록이 없는) 영주권자는 재외국민에 속한다.
이번 제21대 대선 재외선거 신고·신청자를 대륙별로 살펴보면 아주 13만 1474명, 미주 7만 7938명, 유럽 4만 4708명, 중동 7155명, 아프리카 2901명 순이다. 주요 3개국 신청자는 미국 5만 3377명, 일본 3만 9712명, 중국 2만 5466명으로 집계 됐다.
탄핵정국 여파로 투표율도 높아질 듯
신규 신고.신청자의 97.1%에 해당하는 23만 893명이 인터넷을 사용해 등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방문 및 우편 접수는 2.9%에 불과하다.
해외 동포들은 지난 수 년 동안 등록 뿐 아니라 투표도 인터넷으로 할 수 있게 해 달라고 국회와 정부 기관 등에 요구해 왔다. 해외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서 한 두 시간을 자동차로 이동하는 경우는 다반사이고, 일부 지역 동포들은 왕복 10시간을 차로 달리거나 비행기로 이동하여 투표를 해 왔다.
재외선거 신고·신청자들은 한국 유권자들에 앞서 투표한다. 전 세계 재외공관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오는 5월 20일부터 25일까지 재외국민 투표가 진행된다.
3년 전인 제20대 대선에서는 해외에서 15만 8000여 명이 투표(71%)했고, 2017년 대선에서는 22만 1000여 명(75%)이 투표에 참여했다. 이번 대선의 경우 예전보다 높은 투표율이 예상된다.
지난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계엄 선포, 탄핵 정국,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 등으로 초유의 혼란을 함께 겪은 터여서 해외에서도 대선 열기가 높기 때문이다. 짧은 등록 기간임에도 해외 등록률이 두자리수로 높아진 점이 이같은 열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 대선의 투표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난해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해외 115개국 220곳에 재외투표소가 설치된 것이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재외선거인 명부는 4월 30일부터 작성을 시작하여 5월 4일 확정된다. 해외 투표용지는 한국으로 회송돼 오는 6월 3일 국내 투표가 끝난 뒤 함께 개표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사단법인 세계한인언론협회세계한인언론인협회가 운영하는 <동포저널>는 동포 운영하는 <동포저널>에도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