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봉주영

부정선거 음모론과 사법기관 불신은 '12.3' 윤석열 내란'을 옹호하는 댓글 여론을 구성하는 주요 주제였다. 12.3 내란 초기에는 사태 책임을 야당에 전가하는 댓글이 많았지만, 특정 시기를 기점으로 부정선거 음모론과 사법기관 불신이 이를 압도하는 양상으로 전개됐다. 특히 윤석열 체포와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절차가 시작된 직후 사법기관 불신 댓글이 많아졌고, 이는 1월 19일과 20일 사이, 윤석열 구속을 기점으로 폭증했다. 특히 이러한 온라인 댓글과 여론은 '서부지법 폭동'이라는 헌정 사상 초유의 사법기관 폭력 사태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51만 네이버 댓글 분석] 내란옹호 댓글, 1월 윤석열 체포 시점 폭증 https://omn.kr/2d704)

<오마이뉴스>가 자체 댓글 분류 모델(빅데이터 딥러닝 모델)을 통해 내란옹호 댓글 여론을 분석한 결과 , 지난해 12월~1월 '12.3 윤석열 내란 사태'를 다룬 네이버 기사 댓글 51만 3222건 중 내란을 옹호하는 댓글은 7만 4651건(14.55%)으로 나타났다. 실제 임의추출을 통해 7098건의 '내란 옹호' 댓글을 직접 내용 검토해 ▲부정선거음모론 ▲사법기관 불신 ▲야당 책임 전가 ▲외부세력(중국) 음모론 ▲계엄 법적 정당성 옹호 ▲단순 지지 등 6개 주제로 세분화했다.

객관적 분석을 위해 거대 언어학습 AI모델인 구글(Google) 제미나이(Gemini)에게 문답하는 기법(Prompt-Engineering, 분석 기법은 아래 참조)을 통해, 시기별 댓글에 대한 주제를 분류했다. 최종적으로 중복성 댓글들을 일부 제외하고 총 7만 4594건의 내란옹호 댓글(계엄시기 2021건, 탄핵 시기 6524건, 1차체포 2만 1524건, 2차 체포 1만 7556건, 구속 2만 3508건, 헌재 출석 3461건)을 주제 분류했다.

[계엄령 선포-내란옹호 댓글 5.6%] "오죽하면 계엄이겠나" 야당에 책임 전가

AD
계엄이 선포된 내란 초기 2024년 12월3~4일에는 내란옹호 댓글의 흐름은 '계엄 정당성 옹호'와 '야당 책임 전가'가 주를 이뤘다. 이 기간 수집된 내란 옹호 댓글의 주제 분포를 부면, '계엄정당성 옹호'가 24.5%(총 2021건 중 495건), '야당 책임 전가'가 23.76%(480건)로 나타났다. '계엄 정당성 옹호 댓글은 '대통령이 총대 매고 마지막 할 수 있는 걸 한 건데 무슨 계엄이 범죄냐', '계엄은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보루', '대통령 권한, 범죄자는 처벌할 수 있는 비상계엄 선포하라' 등이었고 '삼청교육대 부활'을 외치는 내용도 있었다.

"종북 잡아서 국가전복 막는 게 죄인가요?", "대한민국에 간첩들이 엄청난 것은 확실하다", "간첩들이 공산세력들이 미쳐 날뛰는 게 보이지 않습니까. 제발 눈을 뜨고 깨어나십시요" 등 외부세력 음모론 주장도 10.15%(232건)로 상당한 비중을 보였다. 이 시기 '사법기관 불신'은 3.42%(69건), 부정선거 음모론 비율은 5.64%(114건)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다.

[탄핵안 가결-내란옹호 댓글 5.9%] 부정선거음모론, 허위보도 이후 급증

중앙선관위 CCTV 화면 캡처 중앙선관위 전산 서버를 촬영 중인 계엄군
중앙선관위 CCTV 화면 캡처중앙선관위 전산 서버를 촬영 중인 계엄군 ⓒ 중앙선관위 CCTV

부정선거 음모론'은 윤석열 탄핵안 가결(2024년 12월 13~14일)을 기점으로 급증했다. 12월 5일 <스카이데일리>의 '부정선거' 허위 보도가 이뤄진 이후였는데, 해당 시기 '부정선거 음모론' 비중은 18.73%(6524건 중 1222건)를 차지했다. 부정선거와 관련한 댓글 내용은 부정선거를 기정 사실로 인정하고 국회의원을 인정하지 않거나, 선관위 서버 교체를 '증거인멸'이라고 지적하는 등 선관위 불신 수위가 매우 높아진 것이 확인된다. 아래는 그 대표적인 내용들이다.

'부정선거에 대해 침묵하냐? 떳떳하지 못하니까 그런 거지 이재명은 왜 재판 지연 꼼수 부리냐? 떳떳하다며? 선관위는 왜 서버교체하고 증거인멸하냐', '부정선거 밝힐 때까지 탄핵 결사 반대', '선거에 침묵하는 자들 역시 반민주세력이다. 부정선거 청산이 우선', '선관위 부정선거로 의회를 장악한 좌파 것들의 죄가 전부 인정되어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지켜지길'.

이 기간 내란옹호 댓글 중 가장 비중이 높았던 것은 '대통령 지지 의사' 20.4%(1331건)이었다. '야당 책임 전가'가 13.93%(909건), 외부세력 음모론 8.2%(535건), 사법기관 불신은 6.81%(444건)로 나타났다. '계엄 정당성 옹호' 비중은 5.13%로 낮아졌는데, 탄핵안 표결을 두고 '대통령 지지 의사'로 결집하는 일종의 풍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1차 체포-내란옹호 댓글 22%] 본격적으로 고개 들기 시작한 '사법기관 불신'

안전모 쓰고 경찰과 대치중인 윤석열 지지자들 1월 3일 오전 공수처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가운데, 안전모를 쓴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에 항의하며 관저 인근에서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안전모 쓰고 경찰과 대치중인 윤석열 지지자들1월 3일 오전 공수처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가운데, 안전모를 쓴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에 항의하며 관저 인근에서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 권우성

'사법기관 불신' 여론이 본격적으로 고개를 들기 시작한 건 1월 3~4일 윤석열 1차 체포 시도 시기부터다. 내란 옹호 네이버 댓글 비중이 22%로 폭증했던 것도 이시기였다. 이 시기 사법기관 불신 비중은 절반(50.86%, 2만1524건 중 1만948건) 수준에 달했다.

법원의 체포영장 발부와 공수처의 체포 시도를 '불법영장', '불법체포'라고 규정하면서 대통령 수사와 관련한 사법, 행정기관에 대한 비판이 가감 없이 쏟아졌다('위헌판사와 위법체포 공수처장을 즉시 체포해서 구속시켜라', '법을 지 멋대로 해석해 영장 발부한 좌판사 놈은 탄핵감'). 공수처장과 영장발부 판사가 민주당 혹은 외부세력과 결탁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정권탈취를 원하는 독재 의회권력 민주당과 이에 부역하는 일개 좌파 판사의 법치파괴 영장발부', '이죄명의 하수인 공수처 오동운').

'야당 비판' 비중도 10.66%(2294건)였는데, 민주당을 내란세력, 중국간첩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내란 국가전복세력은 민주당 민노총 그리고 그들에게 부역하는 자들입니다', '이제 국민이 께어났다. 내란은 민주당 중국간첩들이었다', '윤 대통령 빨리 탄핵시킬려고 내란죄 빼자고???내란죄 선도하는 더불어민주당 해체하라'). '외부세력 음모론'(8.99%, 1934건) 역시 체포영장 발부와 내란죄 수사에 '중국과 북한 개입'을 강하게 주장하는 내용들이었다('더러운 종북 간첩들 뿌리뽑읍시당', '중공 북한 아바타 권력기관 다 숙청해야 된다'). 부정선거 음모론과 대통령 지지 비중은 각각 3.57%(769건), 2.81%(605건)을 차지했다.

댓글 주제 분류 방법
내란 옹호 댓글 뭉치들에 대한 정확한 주제 분류를 위해 7098의 댓글을 프리뷰해 댓글들의 내용을 구성하는 6개 주제(▲부정선거음모론 ▲사법기관 불신 ▲야당 책임 전가 ▲외부세력(중국) 음모론 ▲계엄 법적 정당성 옹호 ▲단순 지지)로 세분화했다. 대규모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인 구글 Gemini를 활용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으로 토픽모델링을 실시했다. 프롬프트엔지니어링을 통한 토픽모델링(주제 분류) 기법은 최근 자연어 처리 및 분류 연구 논문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법이기도 하다. 각각의 주제에 대한 댓글 예시 1-2개를 제시하는 Few Shot 기법으로 분석했으며, 주제가 여러개 복합적으로 섞여있거나 그외 의견일 경우 기타 의견으로 분류토록 했다.


▣ 제보를 받습니다
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https://omn.kr/jebo)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

#네이버#내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