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산시의회
서산시의회 ⓒ 김선영

서산시의회가 대산석유화학단지의 구조적 위기에 대해 "지금은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닌 국가 기간산업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기로"라며 정부를 향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시의회는 15일 공식 건의문을 통해 "대산석유화학단지는 연간 수조 원대의 국세·지방세를 납부하며, 대한민국 석유화학산업과 충청남도 지역경제를 견인해온 핵심 기지"라면서 "그러나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 유가 변동성, 환경규제 강화, 산업구조 경직성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2024년 대산유화단지의 내국세 납부 실적은 전년 대비 35% 이상 감소한 3조 2,750억 원, 지방세 납부액은 2023년 665억 원에서 2024년 291억 원으로 급감했다. 시의회는 "이는 단기적 경기 하강이 아닌 산업 기반 자체의 구조적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의회는 대산유화단지 위기의 핵심 요인으로 ▲중국과 중동 국가들의 대규모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글로벌 공급 과잉 ▲국제유가의 불확실성 확대 ▲탄소중립·자원순환 등 고강도 환경규제 도입 ▲전통 석유화학 중심의 경직된 산업구조 등을 지목했다.

이어 "대산유화단지는 여전히 대한민국 제조업의 중심이자, 향후 친환경·미래 신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플랫폼"이라며 "지금이야말로 정부의 신속하고 전략적인 정책 결단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서산시의회는 정부에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조속 지정 ▲지정 이후 금융·세제·기술개발·규제특례 등을 아우르는 종합 지원 패키지 가동 ▲친환경 전환 및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정부 부처·지자체·기업·전문가·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TF 구성 등을 요구했다.

시의회는 "정부가 이번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며, "대산단지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곧 대한민국 석유화학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서산시대에도 실립니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대산석유화학단지#서산시의회#민관합동TF구성#석유화학산업의미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