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여름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 더미들이 있는 충북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
지난해 여름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 더미들이 있는 충북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 ⓒ 무주신문

지난해 여름 집중호우로 충북 영동군 용화면과 전북 무주군 설천면 경계 지역에 대규모 수해 쓰레기 더미가 형성됐지만, 6개월 이상 지난 현재까지 장기간 방치돼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해당 구간 바로 옆에는 무주 지역의 주요 식수원인 남대천이 흐르고 있어 주민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문제의 지역은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다. 행정구역상 충북에 속해 있지만, 지리적으로는 무주군과 맞닿아 있다. 바로 옆에는 무주읍 주민들의 생활용수와 식수로 사용되는 남대천이 흐른다. 행정구역상 충북 영동군에 속하지만, 남대천을 사이에 두고 전북 무주군 설천면과 맞닿아있는 것이다.

지난 9일 현장을 직접 확인한 결과, 뿌리째 뽑힌 대형 나무와 나뭇가지, 생활폐기물과 영농자재, 플라스틱 등이 뒤엉킨 거대한 쓰레기 더미가 형성돼 있었다. 일부는 이미 하천변으로 흘러내리고 있었으며, 퇴적된 상태에서 부패가 진행되고 있는 흔적도 발견됐다.

하천 수목에 붙은 진흙과 부패한 나무 조각들 사이로 날파리 떼가 날아다니고 있었고, 일부 비닐 쓰레기가 바람에 날리거나, 물에 떠내려가는 장면도 포착됐다.

또 큰비 내리면 식수원 오염 우려

 지난해 여름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 더미들이 있는 충북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
지난해 여름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 더미들이 있는 충북 영동군 용화면 용화리 581번지 일대. ⓒ 무주신문

그러나 피해 발생 이후 수개월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정비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전북 무주군 설천면 주민들은 '용화면사무소에 여러 차례 쓰레기 처리를 요청했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아직까지도 아무런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설천면 주민 A씨는 "설천 주민들이 지난해 9월에 처음 민원을 넣고 감감무소식이길래 최근에 또 민원을 넣었다. 그런데 용화면사무소에서는 '예산이 부족하다'며 손을 놓고 있다"면서 "우리는 하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는 이웃인데, 쓰레기가 우리 쪽으로 넘어오면 피해는 고스란히 무주 지역민이 받게 된다. 환경 문제는 행정구역 따질 일이 아닌데, 예산이 없다는 말만 하고 있으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가장 큰 우려는 다가오는 여름철 장마다. 7~9월 사이 또다시 큰비가 내릴 경우, 현재 방치된 쓰레기들이 하천으로 쓸려 들어가 남대천 수질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남대천은 무주 지역 상수도와 농업용수의 주요 공급원으로, 수질 오염 우려가 현실화될 경우 그 피해는 설천면 주민을 포함한 무주군민들에게 직접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인근 설천면 주민들은 "장마철이 되기 전에 얼른 쓰레기 더미를 치워야 할 텐데 걱정이 크다"며 우려하고 있다. 무주군 환경과는 "현장을 직접 가본 뒤에 영동군에서 빠른 시일 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야기해보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가 지연되면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구조"라며 "수계는 행정구역과 무관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협력을 통해 조속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용화면사무소 관계자는 <무주신문>과의 통화에서 "일단 현장에 가서 직접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환경 미화의 문제를 넘어, 행정 경계로 인해 환경 관리의 공백이 얼마나 쉽게 발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보다 근본적인 협력 구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무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해#쓰레기#충북영동#전북무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지역언론연대는 전국 34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행되는 풀뿌리 언론 연대모임입니다. 바른 언론을 통한 지방자치, 분권 강화, 지역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소속사 보기 http://www.bjynews.com/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