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봉황기 내리는 대통령실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대통령실을 어디로 쓸 겁니까?' 이번에 대통령 후보들이 가장 먼저 받게 될 질문 아닐까."
청와대 경험이 있는 더불어민주당 내 한 의원이 14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한 말이다. 50일 남은 조기대선, 당선 시 인수위 없이 시작해야 하는 새 정부. 역대급으로 짧은 대선 기간 앞에서, 대선주자들은 당장 '어디로 갈 것이냐'는 질문 앞에 먼저 섰다.
문제는 결국 시간... 이재명 캠프 "워낙 대선 기간 짧아" - 김경수 "신속하게 결정하면 돼"
답은 두 가지 기준에서 나뉘었다. 명분과 현실이라는 두 축이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공개 입장으로 "단 하루도 용산 대통령실을 사용해선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내란 완전 종식'이라는 의미를 앞세웠다. 덧붙여 이미 안보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드러난 만큼, 당장 이전을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실론을 먼저 앞세우는 쪽은 '부족한 시간'을 근거로 당분간은 용산행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청와대 경험이 있는 민주당 내 한 의원은 "용산이 써서는 안 될 공간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현재 (용산에 대통령 집무를 위한) 안보망이 깔려있을 것 아니냐"면서 "그렇다면 당분간 얼마라도 용산 입주가 불가피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관련 기사 :
김경수 "용산 대통령실,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돼")
https://omn.kr/2d17b.
다만 김경수 전 지사는 "신속하게 결정하면 인수위 없이 출발하게 될 새 정부도 바로 입주할 수 있다"면서 여야 논의를 지금부터 시작해 합의점을 찾으면 된다는 입장이다.
야권의 엇갈린 주장은 '마지막 목표'에선 한 방향으로 좁혀진다. '세종시' 이전이라는 종착점은 모두 동일한 의견이기 때문이다. '일단 용산행'을 주장한 이 의원은 대통령실 집무 이전을 '초단기(용산)' - '단기(청와대)' - '중기(세종시 이전)' 3단계로 진행해야 한다고 봤다. 그는 "중기 계획에는 (신행정수도 이전이라는) 개헌 문제가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문제가 다듬어져야 한다"고 짚었다.
야권, '세종 이전'은 공통... 국민의힘 일부 주자, '청와대 복귀'에 방점
김경수 지사 또한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장기적으로는 2027년 준공 예정인 세종 제2집무실로의 이전이 가능하지만, 한시적으로는 청와대로 재이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면서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하는 다른 곳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른 야권 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역균형 빅딜로 대통령실과 국회 세종시 이전을 주장해 왔다"면서 "대통령이 되면 대통령실과 국회를 세종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재명 전 대표의 경우, 이미 지난달부터 당 지도부에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할 것을 요청한 바 있다. 다만 캠프 차원의 공식 입장은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강유정 이재명 예비후보 캠프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워낙 경선, 대선 기간이 짧은 편"이라면서도 "(이전 문제는) 공개할 정도로 논의가 숙성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주자 일부는 '청와대 복귀'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지난 8일 퇴임식을 앞두고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용산은 불통과 주술의 상징이 돼 버렸다"며 "당연히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 다른 주자인 안철수 의원은 "일단 용산에서 시작하되 청와대를 개조해 규모를 줄이고 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경호를 잘 하게 하면 된다"면서 "미국 백악관 모델을 차용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