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오션 내 이주노동자 기숙사. 1층은 세탁실로, 2~4층은 기숙사로 사용되고 있다. 바닥 및 벽면 균열이 발생해 붕괴 및 사고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 노동안전활동가모임
[기사 수정: 31일 오전 10시 35분]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 내 이주노동자들이 거주하는 기숙사가 심각한 안전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해당 기숙사는 곳곳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십 개의 쇠기둥이 설치된 상태다.
이러한 환경에서 약 150명의 이주노동자가 생활하고 있어 즉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가칭) '사람이 왔다 - 이주노동자 차별철폐 네트워크'는 28일 성명을 통해 한화오션 이주노동자 기숙사 안전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성명서에는 대우조선지회를 포함하여 100여개 단체가 연대 서명을 했다.
이들 단체들이 문제삼고 있는 곳은 한화오션 제1기숙사 5동으로, 사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 1층은 약 30여 명의 노동자들이 일하는 세탁소이며, 2층부터 4층까지는 이주노동자들의 거주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숙사 1층을 대형 세탁실로 사용하면서, 1층 바닥 균열과 지하층 벽면 균열이 발생하여 기숙사에 주거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1층 세탁소에서는 매일 40~50톤의 작업복 세탁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물 전체에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고 있다"며 "이러한 영향으로 바닥과 벽에 균열이 발생했고, 현재 기둥과 보강재를 설치해 건물을 유지하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근본적인 안전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노동자들은 불안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2016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해당 건물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이 진행됐지만, 당시 대우조선은 'B등급(양호)' 판정을 받았다며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들은 사측이 세탁소 이전을 위해 부지검토를 약속했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화오션 기숙사 지하층에 쇠기둥(잭스포터) 수 십개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및 벽면 균열이 확인되며 붕괴의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 노동안전가활동모임
이들은 노동부의 관리·감독 부실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제100조~102조에 따르면 노동부는 기숙사의 구조와 설비, 주거환경, 면적, 사생활 보호 등의 기준을 준수하도록 조사·감독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다"라며 "하지만 고용노동부 통영지청은 이러한 문제를 '선언적 의미'로 치부하며 실질적인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이주노동자의 기숙사 안전문제를 방관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노동자들은 계속해서 위험한 환경 속에서 생활해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동자들과 시민단체들은 한화오션과 정부가 즉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특히 한화오션이 최근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조선소'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만큼, 정주·이주노동자의 주거환경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화오션 측은 "기숙사 이전을 위한 부지 물색 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별다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노동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기업과 정부의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화오션 측은 이에 대해 "외국인 기숙사의 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정기적인 정착지원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숙사 내 휴게시설 등 복지시설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라며 "또한 기숙사 안전 문제와 관련해서 이미 여러 차례 점검과 검토가 진행되었으며, 최근 부산지방고용노동청 통영지청의 점검 결과, 한화오션 제1기숙사 5동은 기숙사 설치 및 운영 기준을 위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라고 말했다.
세탁소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문제 제기 해소 차원을 넘어 조선소 근무 인력의 증원에 따른 세탁 설비 확장 및 세탁소 근무자의 환경 개선을 위해 신규 설비 건설을 검토 중"이라며, "신규 설비 설치 과정에서 현장 근무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거제뉴스광장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