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열린 대구시국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윤석열 즉각 파면' 피켓을 들어올리고 있다. ⓒ 조정훈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을 앞두고 대구경북 단체들이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을 비판하고 헌재의 조속한 파면 결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구경북교수연구자 연대회의는 13일 성명서를 통해 "'12.3 내란사태'가 일어난 지 100일이 됐는데도 내란이 진압되지 못한 채 대한민국을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반목의 수렁으로 몰아넣고 있다"라며 "헌재는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을 조속히 파면하라"고 촉구했다.
연대회의는 "지시를 따른 공범들은 모두 구속됐는데 내란 우두머리가 석방돼 황제 경호를 받으며 관저로 입성하는, 참으로 기괴한 풍경을 보며 우리는 깊은 우려와 끓어오르는 분노를 참을 수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앞에서 멈추고 변경되는 대한민국 사법 시스템의 민낯은 우리 공화국이 처한 현실을 생생하게 전시해준다"라며 "수많은 사람들의 피와 눈물로 일궈 온 대한민국의 기반이 나락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여 있다"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이 초유의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헌법재판소가 좌고우면하지 말고 헌법에 따라 조속히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을 파면해야 한다"며 "더 이상의 국정 유린을 끊어내고 이 혼란을 멈춰 세워야 한다"라고 봤다.
그러면서 "경찰과 검찰은 법률에 따라 윤석열을 엄정수사해 재구속하라"며 "우리는 내란세력의 발호와 동조세력의 조직적 저항에 결코 물러서지 않고 공동체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일에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민교협 대경지부와 경북대·대구대·영남대 민교협, 전국교수노조 대경지부, 전국국공립대학교수노조 경북대지회, 한국비정규교수노조 대경지부로 구성됐다.

▲8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열린 윤석열 구속 취소 규탄대회에서 한 참가자가 '내란 우두머리 석방, 생전 처음 보는 단어 등장'이라고 쓴 손피켓을 들고 있다. ⓒ 조정훈
대구경북 지역 서점들로 구성된 '윤석열 파면 촉구를 위한 대구경북 독립서점 비상행동'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윤 대통령에 대한 조속한 파면과 심우정 검찰총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비상행동은 "윤석열의 비상계엄과 내란은 포고령에서 드러나듯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짓밟아 시민들의 알 권리, 표현의 자유, 소통의 기회를 차단하려 했다"며 "내란수괴 윤석열의 석방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무너뜨리는 심각한 위법 행위"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우리는 책방에 매여있는 자영업자"라면서도 "광장에 나가기 어렵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대구경북의 서점들이 힘을 모아 의사를 표시하는 일은 민주주의를 외치는 광장에 작은 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랜 시간 기득권 세력은 대구경북을 분열과 극단의 정치 도구로 이용해 왔다"며 "이곳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기여한 지역이지만 동시에 대한민국 분열의 최전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우리의 광장이 나의 가족과 이웃을 분열과 극단에서 구하는 광장이기를 바란다"며 우리 모두 힘을 모아 자신들의 기득권을 위해 국민들을 분열로 내모는 내란 세력을 청산하자"고 강조했다.
▣ 제보를 받습니다
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https://omn.kr/jebo)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