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 올마이티미디어 대표가 28일 오후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씨를 허위사실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 올마이티미디어 대표가 28일 오후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씨를 허위사실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 김화빈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 올마이티미디어 대표가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씨를 허위사실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조 대표는 두 사람이 고발사주 의혹을 제보사주로 몰아가기 위해 적극 모의했다고 주장했다.

조성은 대표는 28일 오후 2시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보 당사자로서 이들을 형법상 허위사실 명예훼손(307조 제2항) 출판물 등에 의한 허위사실 명예훼손(309조 제2항), 모욕(311조), 협박(283조), 특수협박(284조), 교사(31조) 혐의로 고소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뉴스타파>가 명태균게이트 창원지방검찰청 수사팀 보고서를 입수해 공개한 바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씨는 고발사주 의혹을 제보사주로 몰아가기 위해 적극 모의했다"고 말했다.

AD
이어 "윤석열 캠프의 치명적 사건인 고발사주 의혹은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씨가 (지난 대선에서) 여론조사를 공유하고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제기됐다"며 "(2021년 9월 12일) 김 여사가 명씨에게 (제 페이스북 게시글을 공유한 뒤) '어쩌죠? ㅠ 괜찮을까요. 공작이요'라고 문자를 보내자 명씨는 '보수 유튜버들의 용어선택도 고발사주 의혹이 아닌 박지원(당시 국정원장)-조성은 게이트로 바뀌어야 한다'고 답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발사주 의혹이) 명태균특검법을 통해 다뤄지길 원했는데 정쟁으로 특검 출범이 오래 걸릴 것 같아 직접 나설 수밖에 없었다"며 "다음주에는 고발사주 사건 수사를 은폐했던 검사 2~3명에 대한 고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왼쪽부터 김건희 여사, 명태균씨.
왼쪽부터 김건희 여사, 명태균씨. ⓒ 연합뉴스/오마이뉴스 윤성효

'고발사주' 의혹은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이었던 시절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을 맡았던 손준성 검사가 김웅 당시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을 통해 정치인과 언론사 기자들을 피고발인으로 적시한 고발장을 당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손준성 보냄'으로 표기된 고발장을 전달받은 김 전 의원은 텔레그램을 통해 조성은 당시 미래통합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에게 재전달하며 "남부지검에 내랍니다" 등의 당부를 했다. 조씨가 받은 메시지에도 '손준성 보냄'이라는 출처가 달렸다.

제보사주 의혹은 2021년 9월 검찰의 고발사주 의혹 보도에 앞서 제보자인 조성은씨와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보도 시기 등을 협의한 것 아니냐는 것으로 윤석열 대선캠프는 박 전 원장과 조 대표를 국정원의 정치개입을 금지한 국정원법 위반으로 고발했다.

#명태균게이트#김건희#조성은#고발사주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화빈 (hwaaa) 내방

팩트 앞에 겸손하겠습니다. 사회부 사건팀 김화빈 기자입니다.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