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양시의회 의원들 기자회견(안양시의회 앞) ⓒ 이민선
안양시에 이어 안양시의회가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지구에서 안양시가 배제된 것에 반발하며 국토교통부에 '재고'를 요청했다.
안양 시의원들은 24일 오전 안양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5월 수립 예정인 국토부의 종합 계획에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을 반드시 반영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에는 여야 의원 대부분이 참여했다.
시의원들은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 지구 대상지에서 안양시가 빠진 것은 큰 충격이고 유감"이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안양시는 균형 발전을 위해 전국 최초로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을 제안했고, 이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다"라고 운을 띄웠다. 그러면서 "안양 시의회 역시, 안양시가 경부선 철도 지하화 통합 추진 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시민 서명 운동을 전개할 때 적극 동참했다"라며 "철도 지하화 사업 선정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안양시는 국토부가 선도 사업 지구 발표를 한 다음날인 20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재고'를 요청하며 "선도 사업 선정 대상지는 되지 못했지만, 철도 지하화 사업은 멈추지 않고 계속 추진하겠다"라고 천명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철도 지하화 사업은 안양에서 시작됐는데, 선도 사업에서 안양시를 관통하는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배제된 것을 이해할 수도 인정할 수 없다"라며 "만약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면 안양이 포함된 1호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대선 공약 1호가 되도록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철도 지하화는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지상 철로를 지하화하고, 지상 부지를 주거·상업 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대상지로 선정된 곳은 부산, 대전, 안산이다. 국토부는 철도 사업 규모가 적정하고,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보조하겠다는 약속을 받은 곳이라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1호선 국철 지하화 사업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최 시장이 내건 공약이다. 당선 이후 최 시장은 인근 6개 지자체(용산구,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군포시)와 연대해 경부선 철도 지하화 통합 추진위원회를 구성, 초대 회장을 맡아 대시민 서명 운동 등을 전개했다.
2012년 5월에는 안양시 포함 7개 지자체가 8억3000만 원을 들여 경부선 지하화 기본구상 용역에 착수했고, 2016년에 용역 보고서를 국토부에 제출, 국가계획에 반영 할 것을 요청했다. 지난해 1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 하면서 실현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