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대구경북 의과대학 총장, 부총장이 지난 13일 호텔인터불고에서 간담회를 갖고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대구경북 의과대학 총장, 부총장이 지난 13일 호텔인터불고에서 간담회를 갖고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 ⓒ 경상북도

의대 증원 문제로 시작된 의료대란이 1년을 넘긴 가운데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3일 대구인터불고에서 대구·경북 의과대학 총장·부총장 및 경북도의사회장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의료대란 조기 수습과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지사는 "의료대란이 지속되면 지방 의료는 더욱 위태로워질 것"이라며 "지방 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의 신속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D
이어 그는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며 "정부, 의료계, 전공의 학생 대표들과 협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의료대란이 지속될 경우 기존 의료 인력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지역 의료 기반은 더욱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지역인재 전형 비율 확대를 통한 우수 의료 인재 양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의료대란을 조속히 해결하고 지방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북도는 국립 의대 설립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추진해 지역 의료체계를 강화하고 도민들이 안정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간담회 후 14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서도 "의대 증원 문제를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 상태에서 내년도 증원 문제를 얘기하면 학생들과 전공의들의 협조가 불가능하다"며 "금년도 1507명 증원은 (이미) 학생을 모집했기 때문에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내년도 증원 문제는 원점에서 정부와 의협, 전공의 학생대표들과 논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접근했다"며 "증원 문제보다 의료대란 조기 수습이 오히려 더 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상북도는 전국에서도 의료 취약 지역으로 꼽히고 있고 지방 소멸과 고령화가 심화되는 경북 북부권은 의료 서비스 접근이 극히 제한된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특히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1.4명으로 전국 평균인 2.1명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필수 의료 인프라가 부족해 중증환자의 신속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 응급의료, 내과, 외과 등 필수 진료과 전문의가 부족해 많은 도민이 수도권으로 원정 진료를 떠나야 하는 문제가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철우#의료대란#의대#증원#전공의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주재. 오늘도 의미있고 즐거운 하루를 희망합니다. <오마이뉴스>의 10만인클럽 회원이 되어 주세요.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