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리는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리는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 권우성

윤석열 대통령이 또다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비상계엄 선포 당일 음주 가능성을 언급하며 그를 공격했다. 그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자신의 말에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저도 반주를 즐기는 편"이라 발언하기도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자신이 지난해 3월 신원식 당시 국방부 장관 등과 식사하며 '비상한 조치'를 말했다는 증언을 두고는 "이종섭 대사 얘기를 하다가 화가 많이 났던 것 같다"며 사실상 인정했다.

윤 대통령 쪽은 그간 홍장원 전 차장이 계엄 당시 자신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여'란 지시를 받은 사실이 없고, 오히려 홍 전 차장과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탄핵공작과 내란 프레임'에 가담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는 13일 서울시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도 조태용 국정원장의 증인 신문 후 거듭 '홍장원은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며 8분간 장황하게 발언했다.

정치 중립, 술… 또 '홍장원=못 믿을 사람' 만들기

첫 번째는, 홍장원이 정치 중립을 위반하는 등 잘못된 행동으로 '해임될 만했다'는 내용이었다.

"아까 국정원장이 홍장원 해임 건의를 저한테 처음 한 것이 12월 5일 경이라 말씀하셨는데, 저는 12월 4일 밤이라고 분명히 기억한다. 제가 집에서 쉬고 있는데 저한테 전화를 주셔서 첫 마디가 '혹시 홍장원이 대통령님께 비화폰으로 전화 드린 일 있냐'고 첫 번째로 물었고. 제가 '아니 홍장원이 저한테 왜 전화하죠?' 그러고 '일단 비화폰을 확인하고 전화를 다시 드리겠다'고 했다. 제가 딱 보니까 16시 00(분)에 전화가 왔다. 제가 비화폰 소리가 거의 무음이고 약간 진동만 있기 때문에 못 받은 것 같더라.

제가 원장에게 다시 전화해서 '전화가 왔는데 이 친구가 나한테, 대통령한테 왜 전화했냐'고 했더니 비로소 이 얘기를 시작했는데, 국정원 간부의 해임 건의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공개된 법정에서 다 말씀드릴 수 없다. 원장도, 저 역시 마찬가지인데, 분명한 사실은 몇 달 전부터 정치적 중립 문제 관련해서 원장의 신임을 많이 잃은 상태였던 것을 제가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제가 원장한테 한 소리 했다. '왜 나한테 미리 보고 안 했냐.'"

이어 윤 대통령은 12월 3일 오후 8시 30분 경 홍 전 차장과 첫 통화했을 때 "술을 마셨더라"라는 얘기를 꺼냈다. 이미 지난 4일 5차 변론 때도 의견진술에서 "제가 (홍장원 차장) 전화를 받으니까 벌써 약간에 식사와 반주를 한 느낌이 딱 들어갖고"라고 언급했던 부분이다. 윤 대통령은 13일에는 홍 전 차장의 '음주'를 더욱 강조했다. 그의 기억력과 행실을 지적하는 취지였다.

"원장이 해외인 줄 알고 홍장원에게 '원장 부재중이니 국정원을 잘 챙기라'고 한 이유는, (먼저 연락을 했더니) 전화를 안 받더라. 20여 분 있다가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가 와서) 받아보니까, 저도 반주를 즐기는 편이기 때문에, 딱 받아보니까 술을 마셨더라. 원장이 부재중인데 이 친구가 벌써 사람들 만나서 이러는 게 온당치 않다 생각했기 때문에 '원장 부재중인데 원 잘 챙겨라. 그리고 내가 이따 홍 차장한테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겠다' 하고 끊었다.

본인은 아마 취중이어서 제가 '원장님 부재중이신데'라는 얘기를. 원래는 답을 이렇게 해야죠. '원장님 아직 서울에 계시다' 이렇게 답을 해야 되는데 답이 없었다. '알겠습니다.' 이렇게만 답하더라. 그래서 저는 진짜 원장이 부재중인 줄 알았는데 8시 반에 강의구 부속실장이 모시고 들어오길래 제가 깜짝 놀랐다."

"12월 6일 보도로 한동훈 오해 생겨…"

윤 대통령은 자신이 조태용 원장이 올린 홍장원 차장 해임 건의안을 재가할 때 일부러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에게도 보여줬다고 했다. 한 대표의 '오해'를 풀기 위해서였다.

"12월 6일 오전에 해임 안건 재가 건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올라왔는데, 그날 우리 여당 의원들이 '국회에서 의총을 하는데 대통령께서 오셔서 비상계엄 경위와 과정에 대해 한말씀 해주면 좋겠다'고 해서 제가 고민하다가 가기로 했는데, 한동훈 대표가 '오실 필요 없고 자기가 관저로 오겠다'고 했기 때문에, 제가 한동훈 대표 보는 앞에서 홍장원 해임 재가를 보여주려고 조금 기다렸다.

왜냐면 마치 무슨 그 12월 6일 아침에 그런 기사(홍 전 차장에게 한동훈 대표를 포함한 체포 지시를 내렸다는 내용), 제가 홍장원에게 그런 지시를 했다고 막 기사가 나서 그런 오해가 생기니까, 제가 한동훈 대표한테 '이거 봐라, 내가 홍장원한테 약점 잡힐 일이 있으면 재가하겠냐' 해서 (관저에) 들어와서 얘기를 좀 나누다가 제가 재가하는 데에 가서, 한동훈 대표가 가까이 봤는지 모르겠지만 오라고 해서 재가하는 걸 보여줬고. 홍장원의 해임 사유를 자세하게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하여튼 야권과 관련한 정치적 중립 문제가 심각하다는 말씀드린다."

"이종섭 일로 많이 화나"… 또 자백한 윤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했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했다. ⓒ 헌법재판소 제공

윤 대통령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국방부 장관 시절인 2024년 봄 저녁식사에서 "대통령이 저를 바라보며 비상한 조치를 취해야겠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증언한 것은 사실상 인정하기도 했다.

"그때 저녁을, 총선 전에 먹은 기억은 저도 난다. 그런데 그 자리는 국정원장과, 방첩사령관은 계급은 준장이지만 중요한 국가정보기관 중 하나였고 과거는 대통령이 주 1회나 2회에 한 번씩 직접 보고도 받았다. 그런데 우리 정부에선 특별한 일이 있을 때만 보고를 받고, 정례 보고는 없앴다. 그래서 국정원장과 방첩사령관, 방첩사령관의 상사인 국방장관 이렇게 모임을 만들었고. 경호처장은 내부 인사 또는 군이나 정보관계자와 (만찬)할 때는 경호처장도 앉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래서 식사를 함께한 것 같고.

제가 무슨 비상계엄을 얘기했다는데, 제 기억에는 그날 아마 이종섭 전 국방장관을 호주 호위함 수주를 위해서 호주대사로 보내고 아그레망까지 받았는데 무슨 (해병대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피해 출국했다며) '런(Run)종섭'이니 하면서 정말 본인도 인격 모욕을 당하고 사직까지 했고, 결국은 고위직의 활동이 부족해서 호주 호위함 수주를 못 받았다. 그건 사실 굉장히 우리한테는 중요한 한-호 해군 협력상 정말 중요한 것이었는데 그럴 만한 상황에 처해져서 아마 그 얘기를 하다가 제가 화가 많이 났던 것 같고. '왜 군인들은 국회에 불려가서 일어나, 앉아 하면 그렇게 바보 같은 짓을 하면서 자기들 주장도 똑바로 얘기를 못하느냐' 이런 얘기가 나오다가 벌어진 상황이라는 그런 기억이 지금 나서 말씀드리고."

#윤석열#탄핵심판#내란#홍장원#비상계엄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