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대전시당. ⓒ 장재완
이장우 대전시장이 경제과학부시장과 5명의 비상임특별보좌관을 임명한 것과 관련, 민주당대전시당이 돌려막기 인사에 극우인사 특보 임명으로 대전시정이 흔들리고 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이 시장은 3일 제23대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으로 이택구 전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임명했다. 또한 같은 날 민선 8기 후반기 현안 과제 해결 등을 위해 비상임특별보좌관 5명도 위촉했다.
이날 위촉된 특보는 ▲경제과학전략산업특보 장호종 카이스트 연구교수(전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정무특보 이선용 전 서구의회 의장 ▲법률특보 김소연 법무법인 황앤씨 대표변호사 ▲시니어특보 박세용 전 대한노인회 서구지회장 ▲청년특보 김유진 대청넷 공동대표 등이다.
비상임특보는 조례에 따라 2년 임기로 무보수로 활동하며, 시정 주요 현안 등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민주당대전시당은 즉각 성명을 내 "이장우 대전시장의 돌려막기 인사, 극우인사 특보 임명 등으로 대전시 공직사회와 대전이 흔들고 있다"면서 이번 인사를 '이장우 시장표 인사 참극'이라고 규정했다.
민주당대전시당은 '돌려막기 인사'와 관련, "'이장우의 남자'로 불리는 측근 챙기기에 급급한 이장우 시장은 '공직 사퇴-선거 출마-낙선-공직 복귀'라는 '회전문 인사'로 공무원들에게 좌절감만 심어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앞서 이동한 전 중구 부구청장을 과학산업진흥원장에 임명한 것과 이날 이택구 전 행정부시장을 경제과학부시장에 임명한 것을 겨냥한 비판이다.
이동한 과학산업진흥원장은 2023년 11월 30일 김광신 중구청장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직위를 상실하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중구 부구청장으로 발령, 중구청장 권한대행으로 임명 됐다. 하지만 부임 2개월 만에 명예퇴직 후 2024년 4월 중구청장 재선거에 출마했고, 낙선했다. 그러자 이장우 시장은 그해 7월 그를 대전광역시청 산하 공공기관인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의 원장으로 임명했다.
이택구 부시장은 2023년 8월 대전시 행정부시장직에서 명예퇴직하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 서구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현직 당협위원장인 양홍규 변호사에게 당내 경선에서 패해 출마하지 못했다.
민주당대전시당은 "시장과의 친분만 있으면 능력과 자격을 따지지 않고 요직에 앉히는 행태는 공직사회를 망치는 행위와 다름없다"며 "시장 개인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한 듯한 공직사회의 현실에 시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이장우 시장은 공직을 사유화하고, 시민을 우롱하는 '돌려막기 인사'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계속해서 민주당대전시당은 "4.15총선이 부정선거라며 무효소송을 제기하고, 비상계엄령을 구국의 결단이라고 적극 지지한 극우성향의 변호사를 법률특별 보좌관으로 임명했다"며 "시민들의 상식과는 동떨어진 임명이며,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이날 비상임 법률특보로 임명된 김소연 변호사를 지칭한 것으로, 김 변호사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 씨의 변호를 맡았다가 사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대전시당은 "내란 비호 입장문에 서명한 시장과 내란을 부정하는 변호사를 특보로 임명하는 행태는 대전시를 내란 비호 세력의 집합소로 전락시키는 것과 다름없으며, 시민들은 이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민주당대전시당은 지난달 31일 발표된 대전시 인사에서 최소 승진 연한 3년을 채우지 않은 채 4급 과장에서 특별승진을 통해 3급 국장급으로 초고속 승진한 사례를 지목하며 "특별승진이란 명목으로 구성원들이 이해할 수 없는 인사 단행"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조성직 전 균형발전과장의 사례로, 조 전 과장은 이장우 시장이 취임한 2022년 당시 5급이었으나 그해 12월 4급 상당의 인사혁신담당관으로 승진했고, 지난해 12월 26일 균형발전과장으로 전보된 뒤, 이번 인사에서 3급으로 승진, 동구 부구청장으로 발령이 났다.
이에 대해 민주당대전시당은 "측근으로 분류된 인사를 부구청장 등에 배치한 것은 누가 보더라도 내년 선거를 염두에 둔 인사라는 것이 공직사회 내부 평가"라며 "'시민을 위한 인사가 아닌 이장우 시장 자신을 위한 인사'라는 공무원들의 절규를 새겨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이들은 "시민들의 신뢰를 받지 못하면서도 거듭되는 이장우 시장의 인사 참사는 대전시정의 위기를 자초할 뿐"이라며 "시민의 목소리를 무시하는 행정은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