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개 방송현업단체들은 20일 오후 2시 ‘서부지법 극우폭동·취재진 폭행 규탄 언론현업단체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임석규
12.3 내란 사태의 우두머리 혐의자 윤석열 대통령이 구속된 후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극우 폭도들이 폭동을 벌이고, 언론사 취재진이 폭행당하자 현업단체들이 이를 규탄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을 포함한 9개 방송현업단체들은 20일 오후 2시 서부지법 인근 공덕 소공원에서 '서부지법 극우폭동·취재진 폭행 규탄 언론현업단체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민주주의와 언론자유를 테러한 폭도들을 엄벌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19일 새벽 서부지법을 파괴한 폭도들이 취재진을 향해 적대적인 폭언을 쏟아낼 뿐만 아니라 취재진을 밀치거나 신체에 폭력을 행사했으며, 심지어 카메라 장비들까지 탈취하려 한 장면들이 영상에 담겨 나갔다"고 설명했다.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좌측)과 윤범기 언론노조 MBN지부장(우측)이 민주주의와 언론자유를 테러한 폭도들을 엄벌에 처하라는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 임석규
이어 "폭도들의 폭동·난동으로 인해 시민들에게 소식을 전하기 위해 사시사철 헌신하고 있는 취재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고 비판하면서, "법치를 뒤흔든 폭도들에게 관용 없이 마지막 한 명까지 찾아내 내란죄로 엄벌해 대한민국의 근간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1.19 서부지법 극우 폭동에는 경찰의 과잉 대응 탓으로 돌리는 권성동 원내대표·극우 집회 단골로 시위를 조장한 윤상현 국회의원·폭도들을 십자군에 비유한 김재원 전 국회의원 등 극우 유튜버·극렬 지지층을 향해 항전을 부추긴 국민의힘에게 책임이 있다"고 날세웠다.
아울러 "폭도들의 난동을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 망언한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폭동 후 8시간 지나서야 입장 발표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무책임으로 인해 무기력한 경찰과 짓밟힌 공권력에 대한 비판과 책임추궁이 거센 상황"이라는 지적도 잊지 않았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중앙)은 시민들의 일상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폭도들을 내란죄로 엄벌해야 하며, 언론사들이 허위·조작 정보를 유포하는 정치인과 극우 폭도들의 목소리를 무비판적으로 중계해선 안된다고 호소했다. ⓒ 임석규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번 사태는 법치와 질서가 무너지고 사회적 합의가 다 깨졌기에 윤 대통령의 12.3 내란 사태보다 더욱 죄질이 나쁘다"고 언급하면서, "헌법재판소와 언론사·정당 등 공공기관에까지 테러 위협을 하는 폭도들을 단죄하지 않으면 평범한 시민들의 일상이 폭력에 지배를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언론계를 향해 "허위·조작 정보가 사실을 공격하고 정상적인 언론인들의 활동을 겁박하는 폭력으로 자라났다"며 "더 이상 정제되지 않은 발언 및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주장들을 남발하는 정치인들과 극우 폭도들의 목소리를 그대로 생중계해선 안 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