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지지단체가 조직적으로 네이버 댓글 여론전을 벌이고 있지만, 네이버 측은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사실상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오마이뉴스>는 윤석열 지지단체인 신남성연대 측이 단체 채팅방을 통해 네이버 댓글 추천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댓글 여론전을 펼치고 있는 것과 관련해 10일 오전 네이버 측에 공식 의견을 요청했다. 네이버는 이날 오후 늦게 문자메시지로 "네이버 뉴스는 실명인증 사용자만 공감·비공감을 1일 50개까지 참여 가능하며 기계적 매크로 행위는 최선을 다해 방어하고 있다"라면서 "공감 유도에 대한 내용은 내부적으로 상황을 살펴보고 있으며 댓글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오마이뉴스>는 지난 9~10일 신남성연대 측이 텔레그램과 디스코드 등에 단체 채팅방을 운영하면서 윤석열을 지지하거나 야당을 비판하는 네이버 댓글을 집중 추천해 노출도를 높이는 형태의 댓글 작업을 조직적으로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마이뉴스> 취재 결과 최소 31개의 네이버 인링크 기사 댓글 창에서 신남성연대 측 댓글 작업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신남성연대 댓글 작업, 포털의 업무 방해에 해당"
이런 상황에서 뉴스포털 운영 주체인 네이버는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힌 것이다. 현재도 신남성연대 측의 댓글 여론작업은 계속되고 있어, 네이버가 이들 세력에 동조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유현재 서강대 교수는 "이같은 댓글 작업은 그동안 우리 사회가 공들여 만든 공론장 문화를 한꺼번에 무너뜨리는 질 낮은 행위"라면서, "네이버가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아직 계엄 이후 상황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눈치를 보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신남성연대 측은 이같은 행위가 자동화 프로그램 등을 쓴 게 아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법률가들의 의견은 다르다.
신인규 변호사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네이버 등 포털은 댓글 운용 주체가 되기 때문에 신남성연대 행태는 포털 관리하는 업무를 방해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꼭 자동화프로그램을 써야 불법이 되는 건 아니다. 단체 채팅방에 기사 좌표를 찍고 조직적으로 추천을 누른 행위는 업무방해 소지가 높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MBC 이거 싹 내려" 순식간에 추천 1천개... 윤 지지 단체가 점령한 네이버 댓글https://omn.kr/2bt2z
-[
단독] 공지 10분 만에 "민주당 내란" 댓글 추천 폭등, 윤 지지 단체의 댓글 여론전 https://omn.kr/2bsxr
- 민주당 "'댓글작업' 신남성연대 대표 내란선전죄로 고발"
https://omn.kr/2btft
▣ 제보를 받습니다
오마이뉴스가 12.3 윤석열 내란사태와 관련한 제보를 받습니다. 내란 계획과 실행을 목격한 분들의 증언을 기다립니다.(https://omn.kr/jebo)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내란사태의 진실을 밝히는 데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