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자회견 하는 한강 작가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기자회견 하는 한강 작가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한강이 12·3 계엄 사태가 "충격적"이었다고 말했다.

한강은 6일(현지시각)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기자회견에서 "2024년에 다시 계엄 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라며 "지난 며칠 동안 아마 많은 한국분도 그랬을 것 같다"라고 밝혔다.

한강은 기자회견에 앞서 사회자가 최근 한국의 정치적 혼란을 언급하며 "이번 주 어떠셨냐"라고 묻자 "'소년이 온다'를 쓰기 위해 1979년 말부터 시작된 계엄 상황에 대해 공부를 했었다"라며 이같이 답했다.

"무력으로 언로 막는 과거로 돌아가지 않기를"

그는 "상황이 빠르게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계속 뉴스를 보면서 지내고 있다"라며 "다만 2024년 겨울의 상황이 (과거의 계엄 사태와) 다른 점은 모든 상황이 생중계돼서 모두가 지켜볼 수 있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맨몸으로 장갑차 앞을 막았던 분도 보였고 맨손으로 무장한 군인을 껴안으며 제지하는 모습, 총을 들고 다가오는 사람 앞에서 버티려는 모습, 군인들이 갈 때는 아들들한테 하듯이 소리치는 모습을 봤다"라고 돌이켰다.

또한 "젊은 경찰 분들, 군인 분들의 태도도 인상 깊었다"라며 "아마 많은 분이 느끼셨을 것 같은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판단하려고 하고, 내적 충돌을 느끼면서 최대한 소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편적인 가치의 관점에서 본다면 생각하고 판단하고 고통을 느끼면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던 적극적인 행위였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무력이나 강압으로 언로를 막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과거의 상황으로 돌아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라며 "어떤 일이 있다고 해도 계속해서 말해지는 진실이 있을 것이고, 그런 언어의 힘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한강이 지난 10월 10일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공식적인 기자회견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한강이 2014년 발표한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룬 소설이다.

노벨 문학상 위원회 안나-카린 팜 위원은 한강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발표하며 "한강의 작품을 잘 모르는 독자는 '소년이 온다'부터 읽어야 한다"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 작품은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는 언제나 얽혀 있으며, 이런 사건(광주 민주화 운동)의 트라우마는 여러 세대에 걸쳐 남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

'채식주의자' 유해 도서 지정에 "가슴 아팠던 게 사실"

기자회견 하는 한강 작가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기자회견 하는 한강 작가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박물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강은 소설 <채식주의자>가 청소년 유해 도서로 지정되고 도서관에서 폐기된 것에 대해 "'채식주의자'는 2019년 스페인에서 고등학생들이 주는 상을 받은 적이 있는 책"이라며 "질문으로 가득한 소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채식주의자가) 많은 오해를 받고 있는데 그게 이 책의 운명이란 생각도 든다"라면서 "책을 쓴 사람으로선 유해 도서로 여겨지는 것이 가슴 아팠던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또한 문학의 역할에 대해서는 "타인의 내면으로 끊임없이 들어가야 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에 깊게 파고들어가는 행위"라면서 "그 행위들의 반복이고, 이를 통해 내적인 힘이 생긴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이 '제2의 한강'을 배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어릴 때부터 최소한 문학작품을 학교에서 서너권 읽고 토론하고 다각도로 이야기 나누고 문학작품을 읽는 근육 같은 것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답했다.

한강은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6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는 각종 '노벨 주간' 행사에 참석한다. 10일에는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시상식에 참석해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상 증서와 메달을 수여받는다.

#한강#노벨상#계엄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