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금주(1920~2021)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생전 모습
이금주(1920~2021)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생전 모습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일요일인 8일 오후 2시 광주광역시 서구 5·18교육관에서 이금주(1920~2021) 전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 회장의 3주기 추모제를 연다.

추모제는 이금주평전 '어디에도 없는 나라'(2023.선인출판사) 낭독, 추모 영상 상영 순으로 이어진다.

최근 양금덕 할머니 측의 '제3자 변제 수용'과 관련해 시민모임 활동 방향을 의논하는 시간도 갖는다.

AD
이 회장은 1988년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를 결성한 이후 1992년 '광주천인소송'을 시작으로 일본 정부와 일본기업을 상대로 일본에서만 7건의 소송을 제기하는 등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평생을 헌신해 왔다.

이 회장은 일제 피해자 인권 회복을 위해 헌신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2019년 '대한민국 인권상'과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일본의 사죄를 받지 못하고 2021년 12월 12일 102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관련기사]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대모' 고 이금주 회장 평전 출판기념회 https://omn.kr/26rav

"우리가 이겼다!" 2013년 11월 1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승소 소식을 듣고 감격해 하는 양금덕 할머니와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 회장. 그러나 이 판결로부터 10년이 지났지만 아직 배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리가 이겼다!"2013년 11월 1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승소 소식을 듣고 감격해 하는 양금덕 할머니와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 회장. 그러나 이 판결로부터 10년이 지났지만 아직 배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 김태성

 2010년 6월 23일 도쿄 미쓰비시중공업 본사 앞 삼보일배 시위. 휠체어에 앉은 이금주 회장이 보인다. 당시 그의 나이 91세. 이 회장이 일제 강제동원 문제로 일본 시위에 나선 것은 이때가 마지막이다.
2010년 6월 23일 도쿄 미쓰비시중공업 본사 앞 삼보일배 시위. 휠체어에 앉은 이금주 회장이 보인다. 당시 그의 나이 91세. 이 회장이 일제 강제동원 문제로 일본 시위에 나선 것은 이때가 마지막이다.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이금주(1920~2021)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이 강제동원 피해자 권리 찾기 투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가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사무실에 보관돼 있다.
이금주(1920~2021)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이 강제동원 피해자 권리 찾기 투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가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사무실에 보관돼 있다. ⓒ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제공



#강제동원#전범기업#이금주#양금덕#미쓰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형호 (demian81) 내방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 제보 및 기사에 대한 의견은 ssal1981@daum.net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