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예비역들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가 해군이 모든 공을 독식하는 역사 왜곡의 장이 되고 있다면서 기념 행사를 재정립할 것을 요구했다.
해병대 예비역 연대는 4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역사 왜곡 해군 일색,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의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역사왜곡의 행사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인천상륙작전의 의미를 되새기며, 호국 영령들의 공적을 기리는 행사로 확립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이들은 "역사에 따라 한미 해병대가 주축이 되어, 육군 17연대, 해군첩보부대, KLO부대 등의 공적을 담은 기념행사를 기획·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병대 예비역연대는 그 배경으로 1950년 9월 15일 단행된 인천상륙작전부터 같은 달 27일 서울 수복 때까지 전사한 한미 장병 숫자를 제시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가 펴낸 <6.25전쟁사 6권>에 따르면 이 기간 미 해병대 415명, 한국 해병대 97명, 미 육군 66명이 전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철 해병대 예비역 연대 회장은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고, 참전용사를 예우하는 것은 마땅한 후대의 책무"라면서 "그러나 현재 해군이 주도하는 기념행사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기보다는 해군을 뽐내 보이기 위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비판했다.
정 회장은 또 "인천상륙작전이 성공리에 마칠 수 있었던 것은 해병대 외에도 UN군의 참전, 육군 17연대, 해군 첩보부대, 켈로(KLO)부대의 역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그런데 왜 인천상륙작전의 조연 역할을 한 해군이 주인공을 넘어 독식하고 있느냐"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지난해 열린 73주년 기념행사를 거론하면서 "시가행진마저 해군을 중심으로 진행했고, 해병대원들은 기념행사 뒤편에서 잡일하는 데 배치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올해 열리는 행사도 해군과 함께 해병대가 공동주최로 이름을 올리기는 했지만, 행사가 전반적으로 해군 일색으로 짜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원래 해병대사령부가 주최해 왔지만 지난 2011년부터 해군이 주최했다면서, 이를 수수방관한 해병대 지휘부와 해병대 중앙회를 비판하기도 했다.
김진찬 대한민국 해병대 독립단장은 "인천상륙작전은 해병대 혼이 서려있는 대한민국의 역사 그 자체"라면서 "월미도와 인근 지역을 점령하고 서울 수복까지 3단계로 진행된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를, 작전 당시 나무 배 한 척만을 보유했던 해군본부가 주관한다는 현실을 누가 만들었느냐?"고 일갈했다.
김 회장은 "해병대는 인천상륙작전을 비롯한 역사, 해병대만의 전통과 문화, 교육훈련 방식을 유지 및 계승 발전시켜야 하며, 만약 어떤 이유든 그러한 것들이 무너져버려 허약하고 자긍심 떨어진 유명무실한 군종이 된다면, 해병대의 존재가치와 생존은 물론 대한민국 국군의 전투력에도 심각한 치명상을 입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17년 9월 제 67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행사 때도 행사가 해군 주도로 진행되는 것에 반발한 해병대 예비역들이 거센 항의를 한 바 있다.
지난해 열린 제73주년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국가원수로서는 처음 참석해 "인천상륙작전 기념일이 공산 침략에 맞서 우리 국군과 유엔군이 보여준 불굴의 용기와 투지, 희생 정신을 기억하고 세계 시민이 평화와 번영을 노래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승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한 지상군은 총 7만 5000명 규모로 미군 제 10군단(미 육군 7사단·미 제1해병사단)을 주축으로, 한국군은 해병대 제1연대(미 제1해병사단 배속), 육군 제17연대(미 7사단 배속), 경찰 화랑부대(미 7사단과 미 제1해병사단 배속), 카투사(미 7사단 배속), 재일학도의용군(미 7사단 배속) 등이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