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사진보기
|
▲ ‘최익현 대마도 유배도(채용신)’ 부분 부산에서 대마도로 가기 위해 면암과 임병찬이 조각배에 오르는 모습 |
ⓒ 백제문화체험박물관(청양군) | 관련사진보기 |
대한제국의 사법권이 아직 살아있는데 일제는 면암과 의병들을 일본군 사령부에 구치하고 저들 멋대로 재판을 벌였다. 면암이 호통을 쳤으나 '우리 안에 갇힌 사자의 포효'일 뿐이었다. 구치소에는 면암보다 먼저 홍주에서 패하고 붙잡혀 온 80여 명의 홍주의병이 구금돼있었다.
면암에 대한 일경의 심문이 진행되었다. 의병을 일으킨 동기를 물었다.
"나는 뜻한 바와 일한 바는 모두 상소와 격문 그리고 네 나라 정부에 보낸 장서에 다 들어있는데 새삼스럽게 물을 것이 있느냐?"고 호통쳤다. 그리고 "네 임금 유인이 아비를 죽이고 임금 자리에 들어섰고 이등박문이 임금을 시해하고 정사를 전권했는데 지금 네놈들이 역적을 도와 폭정을 자행하니 모두 똑같은 종류라 내가 비록 감옥 안에서 죽을지라도 내 나라는 반드시 네 땅이 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살아 돌아간다면 다시 군사를 일으켜 오적 놈들을 무찔러 없애고야 말겠다. (주석 1)
남의 나라에 몰려와 왕비를 죽이고 매국노들을 앞세워 외교권을 강탈한 강도들이 무슨 짓인들 못할까마는, 그런 자들도 면암의 위풍 앞에서는 크게 움츠렸다.
선생께서는 감방 중에 계실 때 왜놈들이 주는 밥을,
"내 어찌 너희들이 주는 더러운 밥을 먹겠느냐?"
하고 꾸짖어 물리치시고 굶으시니, 이에 겁난 왜놈들이 자질(子侄)들이 밖에서 직접 지어 올리는 식사를 허락할 때까지 만 사흘 동안을 물 한 모금, 밥 한 술 없이 꼬박 굶으셨다. 이에 왜놈 가운데에도 선생의 지조와 충의에 감복하는 자가 늘어나기 시작하였으니, 그들 경비 헌병 가운데에는 선생의 감방문을 열어 바람을 통하게 하고 차와 담배를 올리는 자도 있었고, 또는 선생의 감방 앞을 지날 때에는 반드시 모자를 벗고 경례를 올리는 자도 있었다.
그런데 선생께서 감금돼 계시던 그 해 6월은 몹시도 가뭄이 심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리니, 경비를 맡고 있던 가라상이란 헌병은 내리는 빗줄기를 보고 다음과 같이 <비 즐거움(喜雨詩)>이란 즉흥시를 지어 선생께 울렸다.
하늘도 제공들 충성에 감복하였네. 갑자기 빗줄기 내리니 이는 바로 비가 아닌 하늘의 눈물……천감제공충 불시작우시천루(天感諸公忠 不時作雨是天淚)
비록 적이었지만 충의에 감복한 한 인간의 마음 속 읊음이었으리라. 그는 끝까지 선생을 지성으로 받들고 경호하다 종래에는 대마도로 압송 되시는 선생을 따라 함께 뱃길에 올랐다. (주석 2)
큰사진보기
|
▲ 돈헌 임병찬 선생 최익현과 더불어 의병봉기하여 대마도까지 같이 유배되었다. 출옥 후 고종 밀칙으로 대한독립의군부 총사령으로 전국의 항일 독립운동조직을 만들고 강령과 방침을 세워 거사 이틀전 조직원이 일경에 체포되면서 거사가 드러나 무산됐다.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뒤 1916년 5월 거문도에서 순국했다. |
ⓒ 임병찬 선생 고손 임백 대표 제공(세종경제신문 | 관련사진보기 |
일제는 면암에게 징역 3년과 대마도 감금을 선고했다. 선고 이유서이다.
최모는 유생에 대해 세력과 명예를 지닌 것을 자부하고 동지를 규합하여 통감부와 사령부를 핍박하며, 홍주 폭도 민종식과 더불어 일맥상통이 되어 실제로 목적한 바 있으니 마땅히 엄벌에 처할 것이나 정상이 가긍하여 다음과 같이 선고한다. (주석 3)
임병찬에게는 징역 2년, 고석진·최제학·김기술·문달환·임현주·조은식·조영선·나기덕·이용길·유해용 등 의병에게도 징역 4개월 또는 곤장 1백 대를 각각 선고했다.
면암과 임병찬에게 대마도 유배형을 내린 것은 초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지침이었다.
"광주 부근에서 소요를 일으킨 폭도의 거괴 최익현을 감금 3년, 참모장인 임병찬은 2년으로 처분하였음. 이 두 사람을 대마도로 송치하고자 한 것은 통감 동의였음. 전회(홍주의병 유폐와 같이 조치할 것임.) 최는 대학자. 임은 전 낙안군수였음." (주석 4)
일제는 면암이 유림은 물론 일반 민중들로부터 크게 신망을 받고 있어서, 그의 일거수일투족이 비상한 관심을 갖고 있음으로 하여, 아예 조선 땅에서 멀리 격리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지체 없이 형을 집행하였다.
일제의 대마도 유폐 준비가 마무리되자, 면암과 임병찬은 8월 28일(음 7. 9) 대마도로 끌려가, 먼저 와 있던 홍주 9의사와 적국 유폐지에서 서로 만나게 되었다. 면암은 헌병들의 감시 하에 8월 27일 오전에 기차를 타고 서울을 떠나 오후 6시경 부산 초량에 도착하였다.
면암의 세 아들인 영조(永祚)·영학(永學)·영설(永卨)과 임병찬의 아들 응철(應喆), 임병찬의 아우 병대(炳大)를 비롯하여 최만식(오위장)·최우서·이승규·최제태·최제학 등이 부산까지 면암을 동행하였다.
곧이어 면암은 초량 도착 직후인 당일 저녁 배에 올라 야간 항해를 한 끝에 8월 28일 아침에 대마도 이즈하라 항구에 도착하였으며, 홍주 9의사가 감금되어 있던 시마오 소우스케의 사가인 잠상실에서 이들과 함께 유폐생활에 들어갔다. (주석 5)
주석
1> <독립운동사 자료집>2, 734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1971.
2> 김의환, 앞의 책, 97쪽.
3> 박민영, 앞의 책, 185쪽.
4> <한국주차군 참모장이 육군차관에게 보낸 전보>, 앞의 책, 191쪽, 재인용.
5> 박민영, 앞의 책, 192쪽.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면암 최익현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