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항마다 소수점 아래 한자리까지 점수를 세분화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문항마다 소수점 아래 한자리까지 점수를 세분화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 픽사베이

관련사진보기

 
1번 2.6점, 2번 3.3점, 3번 2.8점, 4번 3.1점 …

이번 한국사 기말고사의 문항별 배점이다. 문항마다 소수점 아래 한자리까지 점수를 세분화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언뜻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차등을 둔 것으로 여길지도 모르지만, 실은 그와는 무관하다. 적이 민망하지만, 동점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상위 4%, 11%, 23%, 40% 등의 등급 기준에 따라 일렬로 줄 세워야 하는 상대평가 체제에서 복수의 동점자가 나오면 낭패다. 등급이 갈리는 기준에 동점자가 여럿이면 모두 아래 등급으로 산출되는 규정 탓이다. 하여 등급 산출을 위해서는 어떻게든 순위를 매겨야 한다.

서열을 정하는 게 시험의 유일한 목적이 되다 보니, 평가의 교육적 의미와 취지를 성찰할 여유조차 없다. 오로지 평가의 '공정성'만 따질 뿐, 개인의 학업 성취도와 영역별 관심도 등을 측정하고 보완하는 교육적 역할에 대해선 별 관심이 없다. 사전에 성취 기준과 수준을 기재하는 형식적인 절차만 남아있을 뿐이다.

평가에서 100점을 맞았다는 건 교사와 학생 모두 기뻐해야 할 일이지만, 현실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 자신이 100점인지 여부보다 100점 맞은 친구가 몇 명인지가 훨씬 더 중요하다. 요즘엔 시험이 끝난 뒤 자기 점수를 확인하는 대신, 등급이 몇 점에서 갈리게 될지 예상치를 묻는 경우가 태반이다.

상대평가 체제에서의 시험 문제 그리고 자괴감

이러한 상대평가 체제에서 시험 문항을 출제해야 하는 교사는 괴롭다. 문제를 배배 꼬고, 곳곳에 함정을 파는가 하면, 굳이 알 필요조차 없는 교과서 한 귀퉁이의 시시콜콜한 내용까지 다루는 게 다반사다. 특히 상위권 아이들이 틀리기를 바라며 출제하는 문항들이 그렇다.

형식이든 난이도든 수능 한국사 영역처럼 출제했다간 항의가 빗발치게 될 것이다. 알다시피, 수능 한국사 영역의 점수는 내신 성적 산출 방식대로 9등급으로 표시되지만, 절대평가 체제인 까닭에 비율의 제한이 없다. 워낙 쉬워서 '대한민국 국적 판별 시험'이라는 별칭까지 생겼다.

맞히면 어쩌나 걱정하며 출제한 시험 문항이라 검토하려니 얼굴이 화끈거린다. 이게 대체 아이들의 올바른 역사의식 함양에 무슨 보탬이 되는지 한없는 자괴감이 밀려온다. 퇴근 후 동료 교사들과 한데 모여 시험 문항을 교차 검토하는 일조차 비문이나 오탈자를 찾는 게 고작이다.

어렵고, 시답잖고, 민망하기까지 한 한국사 기말시험 문항이 최종 완성되었다. 내심 이 정도면 100점은커녕 90점을 넘기는 아이들이 거의 없을 거라고 여겼다. 애꿎은 아이들에게 골탕을 먹이려는 놀부 심보 같아 미안했지만, 불가항력이라며 스스로 위로했다.

시험이 끝났고 성적이 산출됐다.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 적잖이 충격적인 결과였다. 상위권 아이들의 점수 분포는 앞선 여느 시험 결과에 견줘 별반 차이가 없었다. 까다로웠던 시험은 되레 그러잖아도 시험공부에 흥미를 잃어가는 중하위권 아이들에게 직격탄이 됐다.

90점 이상인 아이들과 20점 미만인 아이들의 수가 각각 10%를 훌쩍 넘겼다. 사실 다섯 개 중 하나를 고르는 선다형 시험에서 20점을 넘기지 못했다는 건, 말 그대로 대충 '찍었다'는 뜻이다. 모든 시험에서 정규분포곡선이 평평해지고 있는 건, 물론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양극단이 나날이 두터워지고 중위권이 얇아지며 하위권으로 수렴하는 모양새가 마치 중산층이 붕괴하는 우리 사회의 그것과 닮았다. 1, 2등급을 놓고 생존경쟁 벌이듯 공부하는 소수와 시험공부에는 아예 미련을 버린 다수가 공존하는 교실에서 교육이 갈피를 못 잡고 헤매고 있다. 이게 한국사 수업과 평가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수업에 대한 흥미를 점점 잃어가는 아이들
 
 한 줄 세우기식 상대평가 체제에서 수업의 획일화는 불가피하다.
 한 줄 세우기식 상대평가 체제에서 수업의 획일화는 불가피하다.
ⓒ 픽사베이

관련사진보기

 
한 줄 세우기식 상대평가 체제에서 수업의 획일화는 불가피하다. 시험 출제 여부가 수업 내용을 좌지우지하는 현실에서 아이들은 수업에 대한 흥미를 점점 잃어만 간다. 시험에 나올 것만 콕 집어 외우는 건 공부도 아니려니와 평가, 나아가 교육을 희화화하고 왜곡하는 주범이다.

이는 기존의 선다형 시험을 서술형 방식으로 바꾼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도 아니다. 전국의 학교마다 의무 비율을 적시한 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서술형 시험을 강권하고 있지만, 과문한 탓인지 그로 인해 수업이 개선됐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 되레 교사의 평가 관련 업무 부담이 늘었다는 볼멘소리만 가득하다.

상대평가 체제에서 서술형 시험은 '무늬만 서술형'일 수밖에 없다. 아이들조차 '찍는 게 불가능할 뿐' 선다형 시험과 하등 다를 게 없다고 비아냥거린다. 명확한 정답을 요구하는 건 선다형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정답이 명확하지 않으면 공정성 논란에 휘말릴 우려가 크다.

예컨대, '고려 광종이 실시한 두 가지 정책을 쓰고, 실시한 이유를 서술하라'는 따위의 시험을 서술형으로 분류하긴 뭣하다. 교과서 본문의 내용을 암기해 답안지에 자필로 옮기는 것에 불과해서다. 그럴 거면 선다형으로 '고려 광종이 실시한 정책과 실시 배경을 바르게 묶은 것'을 다섯 개 선지 중에서 고르도록 하면 된다.

지금의 서술형 시험에선 역사적 사실을 알고 있는지 물을 순 있어도, 그에 대한 자기 생각을 피력하라는 문항을 제시할 순 없다. 공정성 시비가 일지 않으려면 채점 기준이 명확해야 하는데, 주관적인 생각을 정답과 오답으로 가르는 건 어불성설이다. 우리가 흔히 간과하고 있지만, '주관식' 시험은 상대평가 체제와 공존할 수 없는 방식이다.

상대평가 체제에서는 교과를 불문하고 자기 생각은 죄다 틀린 것으로 간주된다. 모두가 수긍할 수 있어야 정답으로 인정되고, 그렇게 얻은 점수와 등급만이 대입의 합법적인 변별 도구로 쓰일 수 있다. 채점 기준은 공신력 있는 교과서이고, 교과서의 내용을 토씨 하나 틀리지 않게 잘 외워 옮겨 적는 아이가 상대평가 체제의 최종 승자가 된다.

교과를 떠나 상대평가 방식은, 단언컨대 반교육적이다. 상대평가 방식을 절대평가 체제로 전환하는 게 교육개혁의 첫 단추가 되어야 한다. AI가 인간의 지적 노동조차 대체한다는 요즘,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지식을 욱여넣고, 실력이랍시고 그걸 달달 외우게 하여 순위를 매기는 기존의 시험은 하루빨리 폐지되어야 한다.

서술형 시험 의무화도, 학생부종합전형 등 다양한 대입 제도의 도입도 교실 수업을 변화시키는 데 실패했다. 사교육비를 절감하고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한 학생 중심의 선택 교육과정도 '속 빈 강정'으로 끝나는 모양새다. 그보다 백 배는 더 시급하고 실효적인 방안이 상대평가 방식에서 절대평가 체제로의 전환이다.

허섭스레기 같은 시험 문항을 출제한 교사로서 훈수하려니 뒤통수가 따갑긴 하지만, 교육부에 한마디 충고한다. 현 정부의 교육 정책은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다 걸기 한 듯하다. 이는 학벌 구조에 기댄 학업 경쟁은 물론, 교권 침해와 학교 폭력, 성적 양극화와 기초학력 저하, 수도권 집중 현상과 학령 인구의 격감 등 지금 학교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은, 참으로 생뚱맞은 정책이다.

교육에 대한 철학이 있어야 정책의 우선순위라도 따져볼 텐데,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교육부는 지금껏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교육부의 동정이 언론에서 자취를 감춘 지 이미 오래다. 내놓은 정책이 없다 보니 '배가 산으로 간다'는 비판조차 할 수 없다며 조롱한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교육부 무용론'을 학교가 쌍수를 들어 환영하는 상황이니 더 말해서 무엇 할까.

#절대평가#상대평가#성적양극화#서술형문항#교육부무용론
댓글18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