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사진보기
|
▲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별 메탄 발생량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
ⓒ unsplash | 관련사진보기 |
메탄은 온실가스효과가 이산화탄소의 80배에 달하는 치명적인 온실가스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별 메탄 발생량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퇴비화, 사료화, 바이오가스화, 소각, 매립 중 어떤 방법에서 얼마나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나오는지 살펴봤는데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가장 친환경적인 처리방법으로 평가되던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방법에서 가장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배출되고 있었다.
'지금까지 퇴비화는 음식물류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부분적인 혐기성조건으로 인해 퇴비화 처리 방법 역시 메탄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퇴비화에서 2022년도에 메탄이 5718톤/년 배출됐을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는 4가지 처리 방법에 따른 총 메탄배출량(1만674톤/년)의 59%에 해당한다.' (기후솔루션 보고서, 2024.7)
17일 <기후솔루션>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기술연구소 김도완 교수와 함께 발표한 '묻어도 새어 나오는 메탄, 음식물쓰레기: 음식물폐기물 처리 방법별 메탄배출계수 및 메탄회수계수 산정 결과를 중심으로'보고서의 일부 내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메탄가스 배출량을 100%로 잡았을 때 퇴비화가 전체의 54%로 가장 많았고 매립 39%, 바이오가스화 7%, 소각과 사료화는 0%를 기록했다(사료화의 경우 IPCC(기후변화 정부간협의체) 가이드라인에 따른 것으로 IPCC는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의 경우 이론적으로 메탄이 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할 때 나오는 메탄가스
큰사진보기
|
▲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별 처리량과 메탄 배출량 모식도 (출처 : 기후솔루션 보고서) 출처 : '묻어도 새어 나오는 메탄, 음식물쓰레기 -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방법별 메탄배출계수 및 메탄회수계수 산정 결과를 중심으로' (기후솔루션, 2024.7) |
ⓒ 기후솔루션 | 관련사진보기 |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할 때 메탄가스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원리는 이번 조사에서도 그대로 확인되었다. 음식물 폐기물 1톤당 발생하는 메탄 발생량(kg)을 나타내는 매탄배출계수는 매립이 25.71로 가장 높게 나왔다. 퇴비화가 4.00, 바이오가스화 1.00 순서였으니 음식물 쓰레기 1톤을 매립하면 퇴비화보다 6배, 바이오가스의 25배 이상의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꼴이다.
그럼에도 퇴비화가 가장 많은 메탄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현실은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처리하는 양이 매립하는 양보다 7배가량 많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방법 중 매립을 가장 지양해야 하며, 매립하는 양을 절대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 연구 결과 음식물류폐기물 매립이 퇴비화 대비 6배, 바이오가스 대비 25배 많은 메탄을 배출한다는 것을 계산했다. 매립지에서 메탄을 회수한다고 하더라도 포집하지 못하고 대기로 배출되는 메탄(2522톤/년)이 매립에서 나오는 메탄 배출량(4181톤/년)의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솔루션 보고서, 2024.7)
메탄 배출량 가장 적은 처리방법은 '바이오가스화'
바이오가스란 음식물 쓰레기나 가축 분뇨 같은 유기물이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분해하면서 발생시키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이다. 이를 공기 중으로 그냥 배출하면 온실가스가 되지만 이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면 신재생에너지가 된다. 폐열을 활용해 도시가스처럼 난방에너지로 공급하는 방안도 시도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이오가스로 만들 경우 오히려 메탄가스를 회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순 메탄배출계수'가 음(-)의 값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음식물쓰레기 1톤을 바이오가스로 처리하면 오히려 메탄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하며, 향후 기술 개발을 통해 최대한 메탄을 회수한다면 현재보다 음식물류폐기물 1톤당 메탄 14.51kg를 더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메탄이 가장 적게 나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은 바이오가스화로 나타났다. 당장 내년부터 공공부문의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가 시행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유기성폐자원이 바이오가스로 만들어질 기회가 많아질 예정이다. 따라서 바이오가스를 도시가스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등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기후솔루션 이상아 연구원)
그렇다면 소각은?
소각은 당장 수도권 곳곳의 현안이기도 하다. 2026년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소각장 추가 건설이 논의되는 중이고, 실제로 서울특별시의 경우 지난해 '제19차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마포구에 1000톤 규모의 신규 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건설을 결정 고시했다. 그리고 실제 이번 보고서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바이오가스화보다 메탄배출계수가 작고 메탄 배출량도 거의 없어서 친환경적인 처리 방법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고서 저자들은 또 다른 고려요인을 지적한다.
'(소각이) 친환경적인 처리 방법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 및 이산화질소를 포함한 다량의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므로 기후, 환경 및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특히, 생활쓰레기가 담긴 종량제봉투나 하수슬러지 등 염소 성분이 들어간 쓰레기를 소각하면 독성물질로 알려진 염화수소가 발생한다.' (기후솔루션 보고서, 2024.7)
현실적 대안은 바이오 가스 사용처 확대
그동안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처리방법으로 활용되어 온 퇴비화의 경우 메탄가스 발생량도 많지만, 무상으로 제공된 뒤 실제 농사에 사용되는 비율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처리시설 기준, 음식물류폐기물을 사료 및 퇴비로 만든 후 실제로 사용한 비율은 50%도 채 되지 않았다. 사료화의 경우는 더 심각하다. 사료화된 음식물류폐기물은 37.3%만이 실제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이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는데도 이렇다.
따라서 보고서에서는 경제성도 높이고 메탄 배출도 줄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이 국가적인 전략 수립 아래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경제성과 저감효과가 뛰어난 바이오가스화에 대해서는 수요처 확대가 현실적인 과제라고 지적한다.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오가스촉진법에 따라 당장 내년도부터 공공부문의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가 시행된다. 현재 유기성폐자원(음식물류폐기물, 하수슬러지 등 혼합)을 활용해서 만들어진 바이오가스의 미이용률은 약 15%이다. 바이오가스 사용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바이오가스를 가스 형태(도시가스, CNG 버스연료 등)로 활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바이오가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 환경부는 지난 6월,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해당 전략에 바이오가스 수요처를 다각화하기 위한 '생산 바이오가스 이용 확대' 계획을 포함했다. 이를 통해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바이오가스 생산자가 도시가스와 인근 수소 생산시설 등 수요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늘리는 것,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수소와 청정 메탄올을 생산하는 것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바이오가스를 수소와 청정 메탄올로 전환할 때 소실되는 에너지 효율과 환경적 영향 등을 파악해야 하는 과제도 남아 있다.' (기후솔루션 보고서, 2024.7)
[인용 자료]
- '묻어도 새어 나오는 메탄, 음식물쓰레기 - 음식물류폐기물 처리 방법별 메탄배출계수 및 메탄회수계수 산정 결과를 중심으로' (기후솔루션, 2024.7)
- '"친환경인 줄 알았는데"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별 메탄배출량 뜯어보니… 54%는 퇴비화 된 쓰레기에서 나온다 (기후솔루션 보도자료, 2024.7.17)
덧붙이는 글 | 지상파 최초의 주7일 기후방송인 '오늘의 기후'는 매일 오후 5시부터 7시30분까지 FM 99.9 OBS라디오를 통해 방송되고 있습니다. 최근 오늘의 기후 유튜브 독립채널이 개설되었습니다. 유튜브에서 '오늘의 기후 채널' 검색하시면 매일 3편의 방송주요내용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구독과 시청은 큰 힘이 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