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마흔 즈음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책, 김미경 스타강사의 <마흔 수업>. 새삼 내 나이를 다시 돌아보게 된다.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라는 노래를 들었던 20대 후반 시절에도 그랬던 듯하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젊은, 아니 어린 나이였는데 그 시절에도 역시 나이 타령을 해댔다.

젊은 20대 시절에도, 마흔을 훌쩍 넘긴 지금도 뭔가 제대로 내실 있게 이뤄 놓은 게 없다 여겼던 것일까. 항상 나이라는 명함을 달고 지내며 갑갑해 했다. 한 살 한 살 멀어져 가는 나이에 불안해하기도 하고 매번 돌아오는 나이 때마다 무언가를 달성해야 한다 여기며 그것을 향해 꾸준히 노력했다. 취직 달성, 결혼 달성, 출산 달성, 그렇게 하나 하나 이루었노라며 꾸역꾸역 살아왔던 지난날이지 않나 싶다.

그리고 마흔 이후의 삶은 어떤가? 마흔 이후의 달성 과제들을 이루었던가. 뭐 하나 이뤄 놓은 게 없어 보이는 지난 삶. 사업을 해도 실패하고, 다시 도전한다며 뭔가를 시도해도 쓰러지고 눈물 흘리던 날이 많았다. 도전과 경험은 많은데 뭐 하나 이뤄 놓은 게 없어 보여 늘 불안했던 나의 마흔. 우리 부부의 마흔. 어쩜 우리 모두의 마흔.

김미경 강사는 말한다. 마흔에 반만 이뤄도 성공한 것이라고. 그리고 경험과 배움, 시도, 작은 실패들로 쌓아 모아둔 구슬들이 있다면 그것으로 이미 성공할 기초공사를 마무리 지은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 김미경 강사 또한 진짜 돈은 50대에 벌었다고 했다.

그동안 모아온 알알이 구슬들을 하나 하나 연결하고 확장해서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어 냈을 때 돈이 모이기 시작하더라는 거다. 모아 논 구슬만 있고 아직 꿰지 않았다면 지금부터라도 어떻게 연결시킬지 고민하고 잘 꿰어가면 되는 것이고, 만약 구슬조차 없다면 이제부터라도 하나 하나 구슬을 만들어 가면 된다는 것이다.

지금의 마흔 청춘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나의 구슬은 무엇인지를 돌아보고 내게 있는 그 구슬들을 어떻게 꿰어내야 할지를 고민할 때라는 것이다. 고민이 끝났다면 용기 있게 그 구슬들을 꿰어내 멋들어지게 나만의 가치 있는 멋진 작품을 만들어 내라.

<마흔 수업>에서 또 하나 더 인상적으로 다가왔던 이야기. "내가 좋아하는 공간을 만들고 공간을 닮아가라."

우리 부부 이야기를 해 보겠다. 신혼 시절 내 집 마련을 했던 때, 비록 허름한 빌라였지만 내 집 마련 자체에 뿌듯했던 시절이었지 않았나 싶다. 허름한 집을 새집처럼 수리하고 예쁘게 고쳐보겠다고 남편이 정말 많은 노력을 했다. 당시 첫 아이 임신 중이었던 나는 같이 힘을 보태 줄 수 없음에 몹시 미안해 했고 그로 인해 집을 고치고 꾸미는 건 오로지 남편의 몫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일하랴 집까지 셀프로 수리하고 고치랴 정말 많은 고생을 했던 남편. 그런 중에 나를 감동 시켰던 건 보일러 실 옆에 있는 조그마한 창고를 개조해 '글 쓰는 내 공간'을 만들어주겠다는 것이다. 어떻게 이런 기발한 생각을 했는지. 공간에 대한 애착이 컸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자신의 공간 이전에 아내에게 먼저 '설렐 수 있는 공간',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기꺼이 내어주었던 것이다.

결혼 한 남자들은 보통 가정에서 자신들의 공간을 빼앗기는 삶을 살아가게 된다고 한다. 일하면서 밖으로 나갈 일이 많았고 자연스레 아내에게 아이들에게 하나 둘 방을 양보해 왔었다. 그리고 이후 퇴직 후 자신의 공간이 없음에 허탈해하고 방황하는 삶을 이어나가게 된다. 갑작스럽게 맞게 되는 당혹스러움과 허탈감. 이를 막기 위해서는 늘 마흔 이후의 삶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편의 공간은 200평 대지. 손재주가 많은 남편의 작업 공간이다.
▲ 손재주가 많은 남편의 작업공간 남편의 공간은 200평 대지. 손재주가 많은 남편의 작업 공간이다.
ⓒ 이효진

관련사진보기

 
<마흔 수업>에서 전하는 메시지. "퇴사 이후에 내 마음이 출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라."

그러고보면 남편은 마흔 후반에 미리 자신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 둔 셈이다. 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제주 집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전라남도 육지 땅의 공간이라 여러 어려움들이 있지만 설렘의 공간을 미리 만들어뒀음에 그 자체로 큰 위안이 된다고 한다.

남편의 공간은 200평 대지. 손재주가 많은 남편의 작업 공간이다. 남편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곳. 남편을 성장시켜주는 공간. 매주 한 번 출근해 뚝딱 뚝딱 무언가를 만들고 그 안에서 성취감도 느끼며 또다른 행복감을 찾아가고 있다.

지금은 경제적 시간적으로 겪는 어려움들로 인해 잠시 쉼을 선언했다. 하지만 남편은 여전히 행복하다. 이미 남편의 마음은 매주 한 번 자신만의 공간, 전라도 땅으로 출근하고 있기에. 퇴사 이후 출근할 수 있는 공간을 미리 마련해 두었기에 현재의 고달픈 삶도 충분히 위안이 되더라는 거다.

내가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보자. 100세 시대, 우리는 여전히 젊고 끊임없이 성장 중이기에. 마흔 이후의 멋진 2막 인생을 위해 나를 설레게 하는 공간을 찾고 만들어나가는 건 어떨까.

덧붙이는 글 | 개인블로그, 유튜브 채널 <프레디 아빠의 버킷리스트> 영상에도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태그:#마흔수업, #마흔, #나를성장시켜주는공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관찰-욕심의 눈이 아닌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기

이 기자의 최신기사오늘도 쉽지 않은 부모 노릇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