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

추천결과

선거제도를 말한다

논쟁 중인 기사에 대한 추천 참여자 총 1494

  1. 논쟁18
    208 14.00
    "국회의원 월급 절반 깎자" 이탄희가 도발한 이유
  2. 논쟁35
    146 10.00
    이재명 "준연동형에서 승리의길 찾겠다...통합형비례정당 추진"
  3. 논쟁6
    141 9.00
    국힘이 위성정당 만들면, 민주당은 이렇게 하면 된다
  4. 논쟁8
    114 8.00
    윤 대통령 운명이 걸렸다, 총선 시뮬레이션 결과 공개
  5. 논쟁27
    97 6.00
    윤 대통령이 띄운 선거제 개혁, 이걸 아셔야 합니다
  6. 논쟁1
    73 5.00
    민주당 현역 절반 "국힘과 야합해 병립 퇴행? 악수 중 악수"
  7. 논쟁3
    68 5.00
    '201석 야당 연합' 달성, 결국 이 방법뿐이다
  8. 논쟁7
    56 4.00
    "멋있게 질 생각 없어... 민주당, 위성정당 막고 이기면 된다"
  9. 논쟁5
    55 4.00
    국힘 위성정당 상관없다, 민주당 계산 똑바로 해라
  10. 논쟁24
    44 3.00
    "국회의원 수 늘리면, 태극기 부대 사라진다"
  11. 논쟁19
    40 3.00
    "이재명 대표, 이럴 때일수록 '이 이야기'를 해야"
  12. 논쟁4
    33 2.00
    "국힘 1당 만들 건가" - "민주당 찍을 이유 뭔가"
  13. 논쟁22
    29 2.00
    윤 대통령이 낳은 나비효과... "바람직한 일"
  14. 논쟁9
    28 2.00
    "병립형이 좋다"는 박지원의 두 가지 제안
  15. 논쟁26
    27 2.00
    그 정당 싫어서 비례대표제도 싫다? 오해입니다
  16. 논쟁16
    26 2.00
    민주당은 작년 2월 약속 잊었나
  17. 논쟁21
    25 2.00
    "선거제도 바꾸면 호남 의석 뺏긴다? 민주당다움 아냐"
  18. 논쟁31
    23 2.00
    하승수 "독일식 연동형 비례대표제, 여전히 유효한 대안"
  19. 논쟁29
    21 1.00
    '디테일'이 다른 선거법 개정안... 누구에게 유리할까
  20. 논쟁20
    20 1.00
    '중꺾마' 대신 '중타마'... 심상정이 양당 협곡에서 버티는 법
  21. 논쟁13
    20 1.00
    국회의원 뽑는 방식 바꾸자는 데 무관심한 여당
  22. 논쟁30
    19 1.00
    출마해봤습니다, 정치개혁은 투표제를 바꿔야합니다
  23. 논쟁28
    18 1.00
    윤 대통령의 선거구제 개편 거론, 못내 찜찜한 이유
  24. 논쟁10
    18 1.00
    '권역별 비례제' 계산해봤더니... 결국 양당만 웃는다
  25. 논쟁33
    17 1.00
    김부겸 "민주당, 이런저런 핑계 대다 큰 역풍 맞는다"
  26. 논쟁17
    17 1.00
    선거제 개편 3개안 중 이건 정말 '최악'입니다
  27. 논쟁12
    16 1.00
    "답은 연합정치" 이탄희 위성정당 방지법 발의
  28. 논쟁15
    16 1.00
    이탄희·용혜인·최강욱 "병립형 회귀는 촛불 이전으로의 퇴행"
  29. 논쟁23
    15 1.00
    "8.5%p 이겨놓고 의석수는 두 배, 부정선거 음모론 나온 이유"
  30. 논쟁11
    15 1.00
    "이미 고립된 민주당... 양당만 남으면, 가난해진다"
  31. 논쟁14
    14 1.00
    기약없더니... 선거제, 다시 옛날로? "뒤통수 맞은 기분"
  32. 논쟁25
    12 1.00
    선거법 개정안, 꼼꼼히 뜯어보니 이게 좀 아쉽습니다
  33. 논쟁2
    12 1.00
    "수도권 다자 구도 만들건가" "스윙중도 2030 잡아야"
  34. 논쟁32
    8 1.00
    "연동형은 이상적", 문제는 두 가지
  35. 논쟁34
    3 0.00
    "민주당 폭거 대응용" 국힘 위성정당 창당 준비 공식화
논쟁18

"국회의원 월급 절반 깎자" 이탄희가 도발한 이유

[스팟 인터뷰] "선거제 개혁의 진정성 의심받아... '원래 필요한 일' 해야 오해 없다"

23.03.21 21:05최종 업데이트 23.03.21 21:31
  • 본문듣기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22년 10월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 남소연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도발적인 제안을 던졌다. 국회의원 세비를 무려 50%나 대폭 삭감하자는 주장이다.

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국회의원 세비, 절반으로 줄이자"며 "2021년 기준 대한민국 가구당 평균소득은 연 6415만 원, 국회의원 세비는 연 1억 5500만 원, 월평균 1285만 원이다. 가구당 평균소득에 맞추자"고 썼다. 그는 "국민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국민의 생활감각으로 의정활동을 하자"며 "'세비 절반' 먼저 국민 앞에 약속하고, 그 다음에 국회의원 정수 논의에 들어가자. 그래야 국민의 마음을 열고 생산적인 토론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이 국회의원 세비 50% 삭감을 제안한 계기는 선거제 개편 논의와 맞닿아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정치관계법소위원회는 지난 17일 국회의장 직속 헌법개정 및 정치제도개선자문위원회가 넘긴 ▲소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비례대표 50석 확대) ▲소선거구제+권역별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비례대표 50석 확대) ▲도농복합형 선거구제+권역별·병립형 비례대표제(현행 의석 수 유지)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불과 사흘 뒤 "의원 숫자가 늘어나는 안은 아예 안건으로 상정할 가치조차 없다(김기현 대표)"고 돌변했다. 22일 열리는 정개특위 전체회의가 현재 안을 그대로 처리한다면 세 가지 안을 놓고 전체 의원들이 토론할 전원위원회에 불참할 수 있다는 엄포도 놨다. 결국 여야는 '숫자는 빼고' 정개특위에서 결의안을 처리, 전원위에 넘기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단 결의안들은 논의의 출발지일 뿐이다. 도착지가 어떤 모습일지도 아직 미지수다. 

그런데 선거제 개혁을 심도 있게 논의하려면 국회의원 정수 확대는 피할 수 없는 의제다. 전문가들은 줄곧 '표 받은 만큼 의석을 나눈다'는 비례성을 높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지역구 숫자를 줄이기 어려우니 전체 숫자를 키우자고 주장해왔다. 정개특위가 외부기관에 의뢰한 '정치개혁 국민인식조사'에서도 응답자들은 막연한 의원 정수 확대에는 강하게 반발했지만(비동의 57.7%-동의 29.1%), '선거제도 개편'이란 목적이 있을 경우 좀더 마음을 열었다(동의 34.1%).

이탄희 의원도 21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국민들에게 '정치개혁의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회의원을 징벌하자는 게 아니다"라며 "지금 선거제 개혁의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지 않나. 그렇다면 '원래 필요한 일'을 '반드시 하겠다'는 선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국 국회의원들의 세비가 세계적으로도 과도하다"며 "그러면 국민들의 생활감각과 동떨어진다. 부자만 대변하는 의정활동으로 수렴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국민이 마음 열어야... 국회의원 징벌하자는 게 아니다"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정치관계법개선소위원회에서 조해진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 남소연

 
- 국회의원 세비를 50% 삭감하자고 주장하게 된 계기가 있는가.

"평소 소신이었다. 또 어제 기자회견에서 제가 국회의장 직속 자문기구가 낸 선거법 개혁안 세 가지에 국회의원 기득권 내려놓기가 포함되지 않은 채 정개특위에서 의결되면 국민들이 선거법 개혁 논의의 진정성을 의심할 것이라고 우려하지 않았나. 그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 평소 소신을 더 적극적으로 다시 한 번 밝혔다."

- 한국 의원들의 임금 수준이 과도하다고 보는 것 같다.

"세계적으로도 과도하다. 2022년 기준으로 국회의원 세비는 1년에 약 1억 5500만 원이고, 월 평균 1285만 원이다. 국민 1인당 GDP의 세 배가 넘는다(2022년 1인당 GDP 잠정치 4220만 원 기준으로는 약 3.7배 - 기자 주). 제가 알기로는 국회의원 세비가 1인당 GDP의 세 배가 넘는 나라는 드물다. 일본도 예전에는 1인당 GDP 대비 세 배가 넘었는데 지금은 두 배 수준이다.

이런 문제의식도 있다. 국회의원들이 국민들 평균소득보다 지나치게 많은 세비를 받게 되면 생활 수준이 많이 차이 나고, 그러면 국민들의 생활감각과 동떨어진다. 결국 부자만 대변하는 의정활동으로 수렴될 수밖에 없다. 가스비가 오르면 그 압박을 직접 느끼는 경우와 아닌 경우가 다르다. 또 주69시간을 일한다면, 포괄임금제로 고통받던 사람들은 더 고통받지 않나. 그러면 '공짜야근'의 어려움을 아는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가 있다."

- 판사 시절과 비교해봐도 국회의원이 많이 받는가.

"적어도 제가 판사 시절 받는 것보다는 많이 받는다(대법원의 '법관의 보수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2023년 2월 24일 기준 대법원장 월급이 1242만 8200원, 대법관 880만 2700원, 초임 판사는 334만 9800원 - 기자 주).

- 다른 의원들이 '50% 삭감'에 동의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세비 삭감 문제의 필요성, 범위 등을 두고) 개개인의 편차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원래 필요한 일이었다. 또 지금 선거제 개혁의 진정성이 의심받고 있지 않나. 그렇다면 '원래 필요한 일'을 '반드시 하겠다'는 선언을 해야 한다. 그러면서 선거 개혁을 이야기해야 국민들의 오해가 없고, 논의가 생산적으로 흘러갈 수 있다."

- '국회의원들은 돈만 많이 받고 일 안 한다'는 또다른 정치혐오를 자극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아까도 말했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의 평균 소득보다 지나치게 많이 받는 건 국민들의 생활감각과 동떨어진 의정활동을 낳는다는 얘기다. 국회의원들을 징벌하자는 게 아니다."
 

2024정치개혁공동행동이 2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선거제 개혁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 기사]
여야 청년들의 우려 "이대로면 무늬만 정치개혁" https://omn.kr/235n4
국힘, 뒤늦은 '의원 50명 증원' 퇴짜 엄포... 선거제 개혁 물거품? https://omn.kr/235wd
국민 81.7% "지역구 의원 줄이고, 비례대표 늘려야" https://omn.kr/22qe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