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렉티드 스토리즈 포스터

▲ 컬렉티드 스토리즈 포스터 ⓒ 아트리버

 
불이 켜지면 책상에 앉아 있는 나이 든 여자가 보인다. 단편소설 작가로 유명한 '루스 스타이너'다. 원고를 읽고 거기에 뭔가를 적어 넣으며 집중하고 있다. 벨소리가 들린다. 문을 여는 대신 루스는 책상 서랍에서 열쇠를 찾아 창문으로 간다. 현관문이 고장 났기 때문에 집에 들어오려는 방문자는 그녀가 던져주는 열쇠로 직접 문을 열고 들어와야 한다. 

마치 루스의 마음 같다. 그녀의 마음에 들어오려는 사람은 루스가 만들어 놓은 특별한 방법 (예를 들어 대학원 수업)을 이용해 현관문처럼 그녀를 지키고 있는 딱딱한 껍데기("농담을 좀 하고 못하는 말이 없는 쌈닭 같은 여자")를 뚫어야 한다. 대학원생 리사 모리슨이 그랬던 것처럼.
 
이 연극의 무대는 루스가 31년째 살고 있는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아파트 거실 딱 한 곳이다. 출연진은 두 명이다. 50대의 루스와 20대의 리사. 두 배우는 1990년부터 1996년까지 6년의 시간을 연기한다. 시간의 흐름은 두 명의 배우가 열심히 갈아입는 옷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 

26살의 대학원생 리사 모리슨은 루스를 경배하고 있다. 루스의 작품집을 다 읽었고, 거기에 실리지 못한, 잡지에 한 번 선보인 후 사라진 소설들까지 전부 알고 있다. 리사의 입에서는 루스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 줄줄줄줄 흘러나온다. "회의부터 병원 예약까지 스케줄 관리하는, 늙은 여자 수발드는" 조교일을 자청할 정도다. 그런 리사에게 루스는 '글을 쓰라'고 말한다. 
 
"좋은 글인 게 중요한 거지. 그게 어디서 나온 얘기인지는 상관없어."
 
젊은 작가 지망생에게 이야기의 소재란 자신과 그 주변에 관한 것뿐이다. 그 소재 중 하나,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 싶지만 상처를 줄까 봐 걱정하는 제자에게 스승이 말한다. 
 
"친아버지라 할지라도 해야 할 이야기가 있으면 해. 초점을 맞추고 쭉 나가는 거야."
 
확신에 찬 가르침은 제자에게 힘이 된다. 쓰고 쓰고 쓴다. 

그 사이 두 사람의 관계도 변한다. 유명한 작가와 경배자에서 교수와 조교로, 스승과 제자로, 친구로 가족으로 변한다. 6년의 시간 동안 두 사람은 서로 없어서는 안 될 상대가 된다. 

단편소설집이 출판되고 주목을 받는다. 성공이다. 제자는 다음 작품을 준비한다. 소재는? '해야 할 이야기가 있으면 하라'고 알려줬던 스승의 감춰져 있던 연애 이야기다. 
 
이 연극 <컬렉티드 스토리즈(Collected Stories)>는 미국 작가인 도널드 마굴리스(Donald Margulies)가 1996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우리말로 옮기면 '단편소설집' 정도가 되겠다. 시대적 혹은 사회적 배경에 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한 작품은 아니지만 혹시 1990년대가 '옛날'처럼 느껴지는 분들이 있다면 극 중반 우디앨런(Woody Allen)과 순이 프레빈(Soon Yi Previn)에 관해 배우들이 토론하는 장면에서 살짝 고개를 갸웃거릴 수도 있겠다. 
 
미국의 유대인 영화감독, 배우, 코미디언, 연주자인 우디 앨런은 미아 패로(Mia Farrow )와 오랜 시간 동거를 하며 입양한 자식들을 키우고 있었다. 1990년대 초, 입양한 자식 중 하나이자 당시 10대를 갓 지난 순이 프레빈과 60을 바라보는 우디 앨런의 염문설이 터진다(둘은 결국 결혼했다). 우디 앨런이 서재에 숨겨뒀던 순이 프레빈의 누드 사진을 미아 패로가 발견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었다. 미국에서 엄청난 윤리적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이 사건은 순이 프레빈이 한국계란 사실이 부각되며 우리나라에서도 꽤 회자되었다. 그리고 1996년에 발표된 이 연극에서도 소재로 활용된다. 
  
 무대는 루스의 거실이다

무대는 루스의 거실이다 ⓒ 안정인

 
극의 초반은 선생님 루스와 대학원생이자 조교인 리사의 일상으로 채워진다. 두 사람 사이의 추는 단연코 선생님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루스는 매력적인 사람이다. 신경질적이지만 위트 있고 유머를 구사할 줄 알고 동정심도 있다. 풀이 죽은 제자에게 자신의 시간과 공간을 내어줄 정도로 '차갑지만 따뜻한' 인물이다. 리사는 영리하다. 자신에게 온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리사는 루스의 문학적 가르침뿐 아니라 말 한마디, 행동 하나까지 전부 흡수한다. 누군가를 존경하고 경배한다는 것은 그런 것이니까. 수업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두 사람이 나누는 대화를 흘려들어서는 곤란하다. 루스의 가르침, 문학과 문단에 대한 태도는 극 후반 고스란히 리사의 것이 된다. 
 
극 후반은 리사의 성공과 그로 인해 빚어지는 갈등이 주를 이룬다. 극의 초반 리사가 루스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은 잘 벼려져서 스승을 공격하는 무기가 된다. 리사가 애초에 그것을 원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세상은 그렇게 돌아간다는 말을 하고 싶을 뿐이다. 
 
배우 둘 만 달랑 나온다고 이 연극을 얕보면 곤란하다. 극 초반 살갑지만 통통 튀는 대사는 극 후반으로 가면 누구도 뜯어말릴 수 없는 격한 싸움으로 변한다. 넌지시 이야기해 준 과거 이야기를 도둑맞은 스승의 노여움만이 아니다. 자신을 밟고 일어선 제자에게 하는 비난이다. 그 과정에서 부정당한 둘의 관계, 시간, 감정들에 대한 성토다. 어떤 의미로는 눈물겹다. 
 
'늙고 병든' 루스의 세대에 속하는 나는 극 후반 두 배우의 팽팽한 기싸움을 보며 속으로 '나쁜 년'(제 말이 아니고 극 중 대사입니다)을 외치고 있었다. 열렬할 박수로 두 배우를 보낸 후 집에 오는 버스에 오르고 서야 리사의 모든 행동이 루스로부터 배운 것임을 퍼뜩 깨달았다. 뒤통수가 얼얼하다고 해야 할까. 
 
루스는 리사에 비해 '모든 것'을 갖고 있었다. 명성, 재능, 돈, 지위. 이제 그런 것들은 서서히 리사에게로 옮겨갈 것이다. 그래서 막 성공을 거둔 자신을 질투하는 것이냐고 묻는 리사에게 한 루스의 대답이 마음에 남는다. 
 
"질투가 아니야. 아니지, 사실은 질투일 수도 있겠다. 작가로서의 질투는 아니야. 이건...... 뭐냐면…… 네 앞에 펼쳐질 네 인생에 대한 질투야. 난 멀찌감치 물러앉아서 내가 오래전에 췄던 춤을 네가 추는 걸 보면서 자꾸 내 남은 시간을 생각하게 돼."
 
아마도 나 역시 '남은 시간'을 생각해야 되는 시기가 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루스의 대사가 이렇게 깊게 마음에 남는 것을 보면. 공연은 소극장 산울림에서 3월 26일까지 열린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안정인 기자의 브런치에서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연극 연극감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