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늘을 '시를 읽지 않는 시대'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불리는 까닭, 시를 읽지 않아서가 아니라 시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나마 익숙함을 만들어 드리기 위하여 일주일에 한 편씩 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편집자말]
바닥의 습관

- 신윤서

바닥만 보고 걷는 것은 내 오랜 습관이다.

발끝으로 허공을 톡톡 차고 걷다 보면
뒤꿈치까지 따라서 구름을 툭툭 찬다.
그러니까 발이 나를 가운데 두고 자기들끼리
밀고 당기는 동안 나는 앞으로 간다.

뒷발이 발끝으로 미는 동안 발꿈치는 내리막이다.
내 몸에는 그렇게 내리막과 오르막이
사이좋게 살고 있다. 내 몸속에 기거하는 이 오르막과 내리막의 이야기를
듣는 동안 오래된 내 구두코가 뭉개지고
바람 소리 들려왔다.

구두 끝은 발톱처럼 둥글 뭉툭하다.
무엇 하나 아프게 발로 차 본 적 없다.
어쩌면 구두 끝이 뭉툭한 게 그래서일지 모른다고
생각하는 동안에도

내 몸은 여전히 오르막과 내리막이다.
오르막길에서도 난 여전히 바닥만 보고 걷는다.
마치 물속을 걷는 것처럼 내 안의 오르막과 내리막이
서로를 부드럽게 밀어 주기도 한다.
때론 걸음을 멈추고 오르막과 내리막이

(하략)

- <잘 자라는 쓸쓸한 한마디>, 시인의 일요일, 2022년, 84~86쪽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비유 중에서 '삶은 길(道)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삶을 시작하는 순간 내 몸으로부터 오솔길이 시작되고 그 길은 평지를 지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만나게 됩니다. 고지대에서 태어난 사람이라면 내리막길이 더 많을 것이고, 그 반대라면 오르막길이 더 많을 것입니다. 삶을 생각할 때 내리막길만 걸으면 좋겠지만, 가능한 일은 아닐 것입니다.

내리막길이라는 비유가 긍정적으로만 사용되는 것도 아닙니다. 인생의 성공을 '높이'로 생각할 때 내리막길을 걷는다는 것은 성공보다는 실패·어려움 중에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집니다. 이때 오르막길을 걸어간다는 것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을 향해 묵묵히 나간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내 의지로 오르막·내리막길을 선택할 수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사람은 어쩔 수 없이 마주할 것입니다. 산길을 걸을 때 반복되는 노고(勞苦)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처럼. 인생의 행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듯 어쩔 수 없이 걸어가야 하는 길이라면, 어떻게 걸어가야 조금 더 쉽게 걸어갈 수 있을까요.
  
신윤서 시인의 시집
 신윤서 시인의 시집
ⓒ 시인의 일요일

관련사진보기

 
내가 걸어가야 할 목적지가 가늠할 수도 없이 멀고 높은 위치라면, 목적지만을 바라보며 걷는 것은 힘이 빠지는 일일 수 있습니다.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목표로 한 발 한 발 다가서는 것은 누구에게나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이럴 때는 중간 기착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이만큼 걸어가고, 내일은 이만큼 걸어가다 보면 목적지에 조금씩 가까워질 뿐만이 아니라 해냈다는 성취감도 느낄 수 있습니다.

너무 힘이 들면 바닥만 바라보고 걷는 것도 괜찮습니다. 특히 오르막길을 걸을 때 바닥만 바라보면서 걷다 보면, 어느새 정상에 도달해 있는 나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닥을 보고 걷는다'고 말하니 20여 년 전 올랐던 고구려 첫 수도인 '오녀산성'이 떠오릅니다. 천혜의 요새라고 부르는 이 산성을 오르기 위해선 길고 가파른 계단을 걸어야 합니다.

이 끔찍한 계단을 오르는 방법은 단순합니다. 앞의 계단(땅)만 바라보면서 한 발씩 올라서는 것이죠. 만약 고개를 빳빳이 세우고 계단을 오른다면 산성의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이렇게 내리막길과 오르막길을 반복해서 걸어가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바닥'을 밟고 서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리가 지면(地面)을 밟고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면, 오르막·내리막길은 아무런 의미도 없을 것입니다. 만약 사람에게 날개가 달렸다면,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은 상승과 하강으로 바뀌어 불렸을 것입니다.

그런데요, 하늘을 날지 못하고 바닥을 딛고 사는 존재이기 때문에 슬퍼야만 할까요. 우울한 눈으로만 바라보려 한다면 그러할 수도 있겠지만, 조금만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려고 한다면, 바닥은 우리에게 희망입니다. '인간'은 바닥에서 희망을 찾아낸 존재, 바닥을 딛고 일어나 하늘을 날고, 우주를 향해 날아오른 지구의 유일무이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시 쓰는 주영헌 드림

신윤서 시인은 ...

2012년 토지문학제 평사리문학대상 시부문, 2013년 오장환신인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2021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을 받았다.

덧붙이는 글 | 시와 산문은 오마이뉴스 연재 후, 네이버 블로그 <시를 읽는 아침>(blog.naver.com/yhjoo1)에 공개됩니다.


잘 자라는 쓸쓸한 한마디

신윤서 (지은이), 시인의 일요일(2022)


태그:#바닥의습관, #시인의일요일, #신윤서시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 쓰기'보다 '시 읽기'와, '시 소개'를 더 좋아하는 시인. 2000년 9월 8일 오마이뉴스에 첫 기사를 송고했습니다. 그 힘으로 2009년 시인시각(시)과 2019년 불교문예(문학평론)으로 등단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