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MBC·SBS 라디오의 중파방송이 11월부터 중단된다.
 MBC·SBS 라디오의 중파방송이 11월부터 중단된다.
ⓒ 박장식

관련사진보기

 
지직이는 소음 사이로 들려오는 또렷한 목소리에 집중하게 만들었던 라디오 방송, 이른바 'AM방송'으로 들리던 중파방송의 시대가 저물었음을 실감케 하는 송출 중단 소식이 들려왔다.

MBC와 SBS는 최근 공지를 통해 중파 900킬로헤르츠(MBC), 중파 792킬로헤르츠(SBS)에서 각각 송출하던 두 방송사의 중파방송을 다음달 8일부터 송출 중단한다고 밝혔다. 두 방송사는 오는 8일부터 6개월 동안의 방송 휴지를 거친 뒤 2023년 5월에 방송을 공식 종료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지역 방송국이 유지비 부담 등을 이유로 중파방송의 송출을 중단한 일은 부지기수였지만, 서울에 본사를 둔 방송국이 중파방송을 중단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다. 초단파방송(FM방송)에 비해 송출 비용은 비싼 데 반해, 청취자가 없다시피 했던 중파방송의 '예견된 퇴장'이 두 방송사의 중단을 통해 공식화된 셈이다.

비싼 운영 비용에... FM방송 음영 지역 줄면서 타격

오랫동안 국내 라디오의 한 자리를 지켜 왔던 중파방송. 전파의 도달거리가 길다는 특성을 지닌 덕분에 산업화 이전의 대한민국에서는 적은 송신소로도 충분히 전국을 책임질 수 있어 특히 사랑받던 매체이기도 했다. 예컨대 중파방송을 통해 흘러나오는 라디오 드라마나 코미디 프로그램은 많은 이들의 귀를 집중케 했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지면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없는 중파방송은 특유의 낮은 음질, 잡음과 혼선에 취약해 난청이 잦다는 단점이 부각되었다. 이른바 산업화를 거치며 콘크리트 건물이 늘어난 것도 중파방송에게는 독이었다. 중파방송의 전파는 콘크리트를 만나면 약해지는 특성을 가졌던 탓이다.

그렇게 되면서 라디오를 청취하는 방법도 달라졌다. 1965년 개국한 '서울FM'을 시작으로 초단파방송, 즉 FM방송을 각 방송사들이 앞다투어 보급하기 시작했다. FM방송은 송신소가 책임질 수 있는 거리는 AM방송에 비해 짧지만, 더욱 높은 음질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음악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987년에는 이른바 'AM방송을 재송신하는 FM라디오'도 생겨났다. MBC 라디오가 '표준FM'을 개국하면서 시작된 FM방송의 주류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되었다. SBS가 1991년 개국 당시 이른바 '스테레오 AM방송'을 실시하며 AM방송에 자신감을 보였으나, 결국 1999년 '표준FM' 방송인 러브FM을 개국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AM방송을 향한 청취자들의 외면은 가속화되었다. 특히 지방 방송국에서도 FM 송신소를 대거 개설해 음영지역을 줄이면서 '잘 들리지도 않고, 소리도 안 좋은' AM방송은 사양길에 올랐다. 2000년대 전국민의 '친구'가 된 MP3 플레이어에서도 지난 시대의 '워크맨'과는 달리 FM 수신기만을 탑재하는 등 소비자의 외면이 드러났다.

청취자들이 방송을 잘 듣지 않으니 방송국들도 AM방송을 유지할 동력을 잃었다. 운영 비용도 비쌌다. MBC 표준FM의 경우 AM 송신을 위한 출력이 50킬로와트로 FM의 다섯 배에 달한다. 결국 방송국들은 허가 출력보다 낮게 출력을 조절하거나 음량을 줄이는 등 좋게 말하면 고육지책, 나쁘게 말하면 꼼수를 쓰기도 했다.

2019년 방송통신위원회는 KBS가 운영하는 1라디오, 한민족방송 등 9개 방송국을 비롯해 MBC·CBS 등의 중파방송에서 허가 출력보다 낮춰 방송을 내보낸 것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기도 했다. AM 방송을 안 할 수도 없고, 하기에도 어려운 진퇴양난의 상황이 지금까지 이어졌던 셈이다.

지역 라디오 폐국 많았는데... '서울 송신소' 폐국은 첫 사례
 
AM방송 중단을 알리는 SBS의 공지사항.
 AM방송 중단을 알리는 SBS의 공지사항.
ⓒ SBS

관련사진보기

 
이미 해외에서도 중파방송은 외면받는 추세였다. 일본에서도 각 방송국들이 2028년까지 AM방송의 송출을 중단한다고 선언했고, 독일은 우리보다 앞선 2015년에 모든 중파방송을 폐지했다. 그런 국제적 상황 속에서 AM방송을 그대로 묶어두라고 선언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AM방송에 대한 외면이 가속화되자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침도 바뀌었다. 방통위는 'AM과 표준FM 기능 조정' 정책을 추진하면서 AM라디오를 그대로 재송신하는 이른바 '표준FM' 주파수의 송출이 원활하다는 전제 하에 AM라디오 송출을 중단할 수 있다는 방침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자 가장 먼저 운영이 어려운 지방 방송국들의 '폐국 러시'가 시작되었다. 가장 먼저 대구MBC가 2020년 2월, MBC충북이 충주 송신소의 운영을 같은 해 5월 휴지했다. 1년 6개월의 휴지 기간을 가진 두 방송국은 지난해 11월 AM라디오의 최종 폐소를 선언했다.

첫 폐국이 진행되자 다른 방송국들도 속속 AM방송을 폐지하고 나섰다. 안동MBC, 대구CBS 등 3개 AM 송신소도 2021년 12월을 기해 AM방송의 운영을 중단했다. 지난 9월 8일에는 MBC의 7개 지역 방송국이 AM방송 중단 및 송신소 폐소를 선언하는 등 '앓던 이를 빼는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는 11월 8일에는 앞서 소개했듯 서울 송신소의 첫 폐국 사례도 나온다. SBS 라디오(통칭 러브FM), MBC 라디오(통칭 표준FM)를 비롯한 열 곳의 방송국이 AM방송 중단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들 10개 방송국은 다음달 8일 방송을 중단한 뒤 내년 5월 8일 최종적으로 방송을 폐지한다.

특히 SBS와 MBC, 두 방송사의 AM방송은 가장 듣는 사람들이 많을 법한 방송국의 일이다. 이른바 '표준FM'으로 AM방송을 재송신하던 위치에서, 이제는 중파방송의 자리를 완전히 대체했다는 데에서, 이들 중파방송의 퇴장에는 '도미노의 가장 큰 판이 무너졌다'는 표현이 어울릴 법하다.

중파방송 퇴장 수순... 재난·대북방송 용도 남을 듯

이렇게 서울에서도 중파방송이 퇴장되는 수순을 밟게 되었다. 특히 아직 AM방송을 이어가고 있는 CBS(기독교방송)도 고양송신소 부지에 방송국 본사를 이전하는 장기 계획을 세우는 등, 남은 중파방송국의 미래도 그리 밝지만은 못하다.

하지만 중파방송은 특유의 회절성 덕분에 먼 거리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린 분야에서 활용될 여지가 남아있다. 당장 재난방송이 그렇다. FM방송에 비해 원거리 송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려 급작스러운 재난 상황 때 AM방송을 활용할 수 있고, 방송통신위원회도 그러한 목적으로 AM방송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또 하나의 목적은 대북방송이다. KBS 한민족방송, 극동방송 등 북한 주민들을 청취층으로 삼는 방송들이 여전히 중파방송을 통해 이어지고 있고, 자유아시아방송 등 동북아권, 그 중에서도 북한을 향하는 서구권의 방송도 여전히 위세를 발휘하고 있다. 어쨌든 보통의 청취자가 듣는 용도로 AM방송이 쓰이기는 쉽지 않은 셈이다.

물론 AM 라디오가 사라진다고 해서 FM라디오를 듣던 생활이 변화를 맞을 리는 없다. 하지만 오래 자리를 지켜오던 무언가가 사라진다는 것은 퍽 아쉽다. 내일 출퇴근길에는 매번 맞추던 FM라디오 대신 AM에 신호를 맞추어보는 것은 어떨까. 나름 정감있던 지직거리는 AM라디오 특유의 소리가 들을 날이 그리 머지 않았을테니 말이다.

태그:#중파방송, #AM 라디오, #라디오, #MBC, #SBS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중교통 기사를 쓰는 '자칭 교통 칼럼니스트', 그러면서 컬링 같은 종목의 스포츠 기사도 쓰고,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도 쓰는 사람. 그리고 '라디오 고정 게스트'로 나서고 싶은 시민기자. - 부동산 개발을 위해 글 쓰는 사람 아닙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