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 ENA

 
자폐인 변호사라니,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시청하는 초반엔 회의와 기대가 뒤섞여 있었다. 발달장애인임에도 변호사로 성공한 스토리가 장애를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그리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다. 반면, 얼마 전 종영한 tvN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에서 다운증후군 배우 정은혜가 열연하면서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거둔 순기능에 대한 기대감도 팽팽하게 공존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이 드라마에 대한 호불호도 뜨거웠다. 성공한 자폐인이라는 환상을 심는다는 의견과 이를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자폐 장애인이 현실에서 겪어야 하는 차별과 편견을 밀도 높게 그림으로써 자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불러냈다는 평가가 호불호의 주를 이루었다. 나는 호불호 의견 모두에 공감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비록 불완전하게나마 발달 장애인의 삶에 대한 성찰이 비장애인들 사이에서 생성되었다는 점이 이 드라마가 해낸 성취라고 생각한다.
 
장애인의 성과 사랑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자폐인 우영우(박은빈)의 성장담이다. 뛰어난 성적으로 로스쿨을 졸업했어도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취업이 되지 않던 우영우는 우여곡절 끝에 한 로펌에 취업하게 된다. 취업 후 우영우는 직장에서 자폐라는 장애를 부정도 극복도 하지 않은 채, 자신의 장애를 남과 다른 조건으로 만들어간다. "배심원 마음 사는 데 장애만한 게 있냐"라며 자신의 장애를 법정에서 활용하기도 하고, 자폐라는 특성상 의뢰인과 원활히 소통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해 좌절하기도 한다. 이런 실패와 성취의 과정을 드라마는 매우 세밀하고 사려 깊게 다루며, 성장 스토리답게 좌절을 통해 우뚝해지는 우영우의 모습을 그려낸다.

이 일련의 성장담 중 연애도 그 하나다. 고래 얘기를 지루해하지 않으며 경청하고, 영우가 머뭇대는 회전문 앞에서 쿵짝짝 스텝으로 문을 통과하게 도와주는 로펌 직원 준호(강태오)는 영우가 지금껏 만나본 남자 중 가장 젠틀하고 다정하다. 게다가 무엇보다 그를 "만지지 않고도" 영우의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매력의 소유자다. 지금껏 무성의 존재로 여겨져 왔던 장애인 특히 발달장애인의 사랑을, 드라마는 세심한 시도로 그려내고 있다.

드라마는 최근 화에서 발달장애인의 사랑과 성을 진지하게 다루기 위해 장애인 복지관을 옮겨 다니며 발달 장애인을 속여서 착취하는 남자와 이 남자를 사랑한다고 믿는 발달장애인 사이의 성폭행 사건을 다뤘다. 발달장애인의 성폭행 사건은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것처럼 매우 까다로운 사건이다. 발달장애인은 성적 자기결정권을 인지하고 행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초등 6학년의 지능을 가진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의지로 합의된 성관계에 이르렀다고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가시적인 강압이나 폭력이 없다는 것만으로 사회적 약자인 발달장애인에게 충분한 동의를 구했다고 인정할 수 있는가. 이러한 쟁점은 고도의 장애 감수성과 성인지 감수성의 영역이다.

발달장애인 피해자는 경찰 조사에서 성관계 당시 불쾌감과 두려움을 느꼈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가해자가 처벌받지 않기를 바라는 양가감정을 표출한다. 이는 발달장애인이 사랑과 성관계라는 친밀한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처하게 되는 어려움이다. 참고인으로 법정에 선 정신과 의사가 말한 "성폭행이었더라도 사랑한다고 믿고 싶은 발달장애인의 양가감정은 전혀 모순된 감정이 아니"라는 소견은, 그들이 처한 곤경을 대변한다.
 
"나쁜 남자를 사랑할 권리"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의 우영우>의 한 장면 ⓒ ENA


이 사건을 수임한 우영우 변호사는 성폭행 피해자인 발달 장애인에게 "나쁜 남자를 사랑할 권리"가 있다고 고지하며, 이를 판단할 권리를 타인에게 넘기지 말라고 충고한다. 언뜻 지극히 당연한 말인 듯 들리지만, 이는 성인의 인지 능력을 갖춘 발달장애인 우영우에게 해당되는 상대적이거나 부분적으로 옳을 수 있는 논리다. 앞서 법정에서 벌어진 모든 과정이 설명하듯, 발달장애인에게 사랑할 권리만큼이나 존중받고 보호받아야 할 권리도 중요하다.

드라마는 "나쁜 남자를 사랑할 권리"라는 주장의 위험성을 가해자에게 성폭행 유죄를 선고함으로써 벗어나게 한다. 친밀한 관계에 목마른 발달장애인의 취약한 상황을 이용해 금품을 갈취하고 성을 유린한 가해자는 그가 아무리 "찐 사랑"이라 항변해도 정의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우영우가 말하는 발달장애인의 "나쁜 남자를 사랑할 권리"에 대해서도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누가 나쁜 남자가 되는가', 또 '왜 어떤 여자는 나쁜 남자를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을 생각하며 왜 우리는 이 진부한 질문 앞에 다시 서성여야 하는가 허탈감이 밀려왔다. 결국 가부장 사회의 불평등한 성 권력관계에서 나쁜 남자는 이 구조와 무관하게 만들어지는가. 
 
소설이나 드라마, 영화 등에 등장하는 나쁜 남자를 떠올려보자. 이들은 보통 불우한 성장기를 거치며 상처받은 영혼을 가진 남자들로 묘사된다. 실상 자기연민에 빠져 좌절과 분노를 약자인 여자에게 폭력으로 분출하는 못난 나르시시스트지만, 이들은 주로 여자들의 인내와 헌신으로 좋은 남자로 거듭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런 서사는 나쁜 남자의 폭력에 놓인 여자들에게, "두려운 남자가 나를 사랑하면 가장 안전한 남자가 된다"라는 괴이한 믿음을 내면화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나쁜 남자를 사랑으로 개과천선 시킨다는 '구원자 타이틀'은 박제당해 지하실에 유폐되어야 마땅한 구 시대의 망령이다. 장애 여성이든 비장애 여성이든, 이 시대 여성들이 해야 할 바는 나쁜 남자에게 분노하고 나쁜 남자를 물리치는 일이며, 여성의 삶에 연애나 사랑이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될 이유도 없다는 것을 자각하는 것이다(<다 된 만화에 페미니즘 끼얹기> 참고).
 
그럼에도 나는 우영우가 선언하는 장애인의 "나쁜 남자를 사랑할 권리"가 어떤 맥락에서 나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 때로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권리란 모순되게 존재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는 장애와 비장애 사이의 불공정한 권력관계가 벌려놓은 기본적인 삶의 격차에서 비롯한다. 책 <나는 숨지 않는다>에서 장애여성 임경미가 주장하듯, 비장애 여성에게 해체해야 할 결혼과 출산이 장애 여성에겐 성취해야 할 목표가 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이 목표가 장애 여성 혼자 성취해야 하는 과업이라면 이 권리는 전혀 실효적이지 않다. 임경미는 씩씩하게 임신과 출산을 해냈지만, 그에게 사회의 지원과 보조가 온전히 주어졌다면 훨씬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장애인의 사랑과 성을 향유할 권리 역시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권리, 친밀한 사회적 공간에 접근할 권리, 적절한 보조를 받을 권리"(<치유라는 이름의 폭력>)등을 어떻게 갖출 것인가의 고민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만, 비로소 실효적 권리로 다가올 것이다. 현실은 안타깝게도 아직도, 이 드라마가 드러내는 것처럼, 발달 장애인의 성과 사랑이라는 관계에서 파생되는 위험과 부담은 오로지 보호자인 장애인의 어머니만이 지고 있었다.
 
어쨌거나 우리의 우영우는 이런 우려를 딛고 사랑의 쟁취를 향해 성큼 나아간다. "좌절까지도 막아주"려는 아버지에게 독립을 선언하고 사랑할 권리를 누구에게도 양도하지 않을 작정이다. 준호에게 좋아한다고 고백하고 애정을 표현하면서, 장애인이더라도 자기와의 사랑을 계속하겠느냐고 담담히 묻는 우영우에게서 연애에서도 주권을 놓지 않으려는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이 드러난다.

우영우를 그 자체로 존중하고, 그의 능숙하지 못한 입맞춤에 요령을 알려주고, 친구들의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인 태도를 응징하는 준호와의 연애에 시청자는 뜨거운 응원을 보내게 된다. 준호가 '나쁜 남자'가 아니라는 믿음 때문이다. 좋은 남자만 사랑하고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 나쁜 남자는 사절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윤일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게시됩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자폐 발달장애 장애 박은빈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