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홍도의 <무동>(舞童). 조선을 대표하는 삼현육각(三絃六角, 국악의 대표적 악기 편성법)을 잡고 어린 무동이 춤을 춘다. 어느 판의 놀음일까. 판의 배경은 없고 무슨 광대판인지도 알 수가 없다.

조선후기의 문인서화가이자 평론가 강세황으로부터 근대명수(近代名手) 또는 우리나라 금세(今世)의 신필(神筆)이라는 칭송받은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그림 <무동>의 이면은 무엇인가.

무동이란 제목대로 춤추는 아이가 중심이지만, 이 춤판의 배경을 확장하면 어마어마한 신명놀이판이 열릴 듯하다. 그 판이 중심을 이루는 춤과 삼현육각패만 짚어 간결하면서도 짜임새 있는 원형 구도 위에 흡사 절정의 순간을 실사하듯 생생히 남겨 놓았다. 김홍도 자신 또한 생황은 물론 거문고에 있어서도 절세의 연주자였다.
 
김홍도 <무동>
 김홍도 <무동>
ⓒ 문화재청

화폭 안으로 들어가다

김홍도의 화폭으로 들어가 보자. 처음에는 좌고(座鼓)가 보인다. 흡사 판을 이끄는 으뜸잽이로 보인다. 지금과는 다르게 양손에 가는 채를 들고 무릎을 꿇고 판을 채근하는 듯 보인다.

옆으로 장구(杖鼓)가 보인다. 궁편은 손바닥으로 그리고 채편은 대나무로 만든 열 채로 두들기고 있다. 수염 난 얼굴에 머리를 숙이고 있어 다소 불만이 있는 듯하다. 그리고 옆에 향(鄕)피리 혹은 목파리를 분 사람이 보인다. 제대로 피리를 운지 하지만 약간 옆으로 삐어 물었다.

그리고 세(細)피리 혹은 곁피리를 부는 이들의 양 볼이 두툼하다. 향피리는 힘이 좋아 튀지 않게 소리를 놀리는 듯하다. 좌고를 중심으로 대금과 세피리가 화답하는 소리를 놀리며 무동의 춤과 어울리는 구도가 나온다.

옆에 해금을 보면 김홍도 특유의 해학과 비틀음과도 같은 풍자가 있다. 일단 유일하게 뒷모습만 나오는데, 영 소리가 서운한지 농협(弄絃)하는 왼쪽이 줄을 안 놀리고 아예 손등을 보이며 줄을 막고 있다. 역삼각형 구조로 해금과 장구, 향피리는 판의 흥에서 좀 비켜난 듯하다.

조선시대 최고의 흥행사 삼현육각

무동의 춤판을 대하는 삼현육각 소리에 뭔가 어깃장이 있다. 김홍도의 귀에 들린 그들의 소리가 그럴 수 있을 것이다. 장구는 뭔가 맵시 없이 무겁고 향피리는 자꾸 소리가 새고, 기가 찰 정도로 앙증맞은 해금은 먹통 같은 소리로 갔는지 모른다.

삼현을 치는 잽이들 차림새를 보면 또 재밌다. 당시 삼현육각은 최고의 흥행사였다. 하루 종일 굿판, 궁중연희나 양반잔치, 기로연이나 회혼례, 과거급제 삼일유가 잔치, 굿중패든 산대패든 남사당패든 빠지는 곳이 없었다. 실로 조선 최고의 흥행 밴드답게 이 그림에도 잽이들의 바쁜 일상이 보인다. 소위 군영(軍營)에 속해 있는 세악수(細樂手)와 민간의 악사들이 함께 패를 이루고 있다.

보통 세악수는 전립과 다른 검기전립이라 부르는데, 주로 검무에 사용하던 모자를 썼다. 깔때기같이 뾰쪽한 모자에 금속정자를 달고 공작 깃과 상모(象帽)를 꽂으며 둘레에 성성전(猩猩氈)인 털로 짠 모직물을 두르고 청색 명주끈을 매는데, 검기건립을 쓴 세피리와 해금은 군영에 소속된 세악수이고, 장구와 향피리, 대금잽이는 민간악사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좌고잽이는 검기전립을 쓰고 민간악사의 복장을 하고 있다. 또한 나이가 있어 보인다. 연륜처럼 여러 판을 주무른다. 세악수 중 고참이고, 또한 동네 풍류악사들을 이끄는 인물로 보인다. 이 화판의 또 하나 주인공처럼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 보면 군영에 속해 있으므로 늦은 오후에 이루어진 놀이판이라 생각된다.

세악에는 행진 앞에 불고 치는 관악기와 타악기 위주의 취고수가 있다면, 삼현육각 구성의 세악수도 있었다. 영조 이후 각 군영에 바로 이 세악수의 배치가 본격화된다.

조선조 중앙군영으로서 훈련도감(訓練都藍)·어영청(衛營廳), 금위영(禁衛營)과 융아청(潤我廳), 수어청(守瓚廳) 등 5군영 편제에 따라 세악수 또한 군영에 편재된다. 신청이나 재인청 등 전국적인 광대 집단은 궁중의 장악원 등으로 악단이 편재됐다.

세악수는 궁중과 민간, 군영에 이르는 공간을 아우르며 수많은 음악을 창출했다. 세악(細樂)이란 말대로 풍악을 울리며 춤과 굿과 잔치와 놀이, 의례와 의식에 이르는 조선의 풍류판을 누볐다. 오늘날 장악원이 궁중의례에 따라 움직였다면 세악수는 민관(民官)을 넘는 조선 최대의 악단을 만든다. 가히 천하의 판을 움켜쥔 셈이다.

노는 폼이 남다른 무동
 
서울시 휘장(왼쪽)과 김홍도 <무동> 속 소년.
 서울시 휘장(왼쪽)과 김홍도 <무동> 속 소년.
 
도대체 정체를 알 수 없다. 그러나 '춤빨'은 여전히 살아 오늘 우리와 놀고 있다. <무동>은 오늘날 서울특별시 휘장인 '춤추는 서울'을 상징하고 있다. 해와 산, 강으로 어우러진 서울에는 무동의 춤선이 숨어있다.

무동이란 말에는 궁중정재(宮中呈才)를 추던 여악(女樂)에 대비되는 무동이 있고, 남사당의 무동놀이를 하던 새미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 김홍도의 <무동>은 없다.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거쳐 파괴된 조선 문화의 흔적을 1960~1970년대에 정리했으니 어찌 이것을 원형으로 논하겠는가. 오늘날 무형문화재 원형에서 화폭의 <무동>은 없다. 산대나 탈춤판을 찾아봐도 없다. 김홍도가 살 때 놀던 무동이니 찾을 수도 없다.

위는 날리고 흐드러지게 추는 폼이 예사 가락은 아니다. 무동은 풋풋한 웃음을 지으며 오른발을 살짝 밀듯 옥죄고 왼발도 도듬세로 비틀고, 몸집보다 풍성한 장삼 같은 옷을 걸친 후 한삼자락 치렁치렁 놀고 있다.

벙거지 같은 둥근 깃이 달린 모자를 쓰고 이른바 무아의 경지로 넘어 갈듯하다. 길게 땋아 늘인 떠꺼머리 선머슴아 같기도 하다. 그러나 춤에는 아주 노가 난 듯 보인다. 떠꺼머리 총각이 쓴 모자의 정체도 신분을 밝히는 데 중요하지만 아직 확증할 수는 없다.

이 총각이 혼자 출 리는 없다. 계속 찾아가 보자. 김홍도가 살던 때 저잣거리 판을 휘어잡는 광대 집단은 남사당 사당패, 굿중패, 초라니패, 대광대패, 중매구패, 소리광대패, 애기장사패 등이다. 그런 패들의 모습이 한참 뒤인 19세기 말, 기산 김준근의 풍속화에서도 보인다.
 
기산 김준근의 <굿중패 놀이하고>
 기산 김준근의 <굿중패 놀이하고>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자로 구성된 사당패와 달리 남자들로만 구성된 '굿중패'가 있다. 이들은 양반계층의 경사에 불려가 연희를 팔고 살았다. 굿중패의 기량은 대단했다. 풍물, 버나, 땅재주, 줄타기에 1인 창극 같은 한량굿도 있었다. 굿중패는 판굿 또한 하였는데 이자진 등 진을 짜서 소리를 어울리거나 각 악기의 기량을 돌아가며 뽐냈다.

기산의 풍속화에서 느껴지는 개항장 풍경

그렇다면 굿중패 그림에는 무동이 있을까? 연상해 본다. 본산대패는 경기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탈놀이패이다. 국가적 행사에 차출되었던 산대잡희 집단과 관계있으며, 이들은 산대놀음에 바탕으로 두고 연행하였다. 반주하는 북잽이 1인에 소고잽이만이 등장하기도 한다. 산대패의 탈 쓰고 그림에서 무동 같은 춤이 펼쳐진다.
 
기산 김준근의 <줄타기하고>
 기산 김준근의 <줄타기하고>
ⓒ 독일 함부르크민속학박물관 소장
  
기산의 풍속화 중 <광대 줄 타고>에서 줄광대와 어릿광대 그리고 삼현육각패가 나온다. 고깔을 쓰고 부채를 든 줄광대의 춤이 보인다. 기산은 생몰연대 미상으로 구한말 부산·인천·원산 등 개항장을 중심으로 활동한 풍속화가다. 서양의 유명 박물관에 그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어 당시 조선의 풍경을 읽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김홍도 시절에 비해 한참 후인 구한말이지만, 이 시기 광대패의 흔적을 통해 <무동>의 흔적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무동>은 누굴까. 어느 광대패였을까. 분명한 것은 김홍도의 무동은 하나의 판에서의 호흡이 아니라 조선을 대표하는 광대 집단의 춤과 소리를 한 폭에 담은 것이다.

여전히 무동이 누군가 하는 문제는 남는다. 허나 그 시대 놀이판에서 김홍도가 본 인물일 것이다. 굿중패일수 있고 본산대패일수도 있다. 어름산이일 수 있고, 동네 걸립패나 각설이일 수도 있다. 아니면 무동이 처녀일 수도 있다. '모자의 나라'로 불린 조선에서 무동이 쓴 모자를 찾으면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 

조선 광대의 혼이 깃든 김홍도의 무동
 

천지신명(天地神明). 하늘의 뜻을 땅에 밝히는 광대의 길. 삼현을 치라는 타령(打令)에 장단이 천지를 합궁 하듯 척하니 내딤세 들어 무동이 신명을 올린다. 바람보다 넓게 하늘보다 높게 춤을 올린다.

타령 장단에 풍악을 울리라는 영(令)에 피리가 바람을 부르고, 대금이 흘리는 판에 해금이 잉에걸이처럼 춤을 부른다. 장구의 장단에 흥을 내며 좌고가 척척 올리는 신에 머리끝이 곤두서자 춤 또한 곧추선다.

삼현타령에 염불, 군악과 계면가락도드리로 돌다 허튼 타령으로 흥과 신명이 오르면 자진타령으로 자질게 몰다 당악으로 내뺀다. 아마 저절로 신명이 차올라 판을 뒤집었다 놨을 것이다.

김홍도의 <무동>에는 조선 광대의 혼이 있다. 광대패의 무동과 삼현육각, 그들이 하나의 판으로 모인 굿판이다. 김홍도는 무동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을까. 문득 인왕산 국사당에 단군과 함께 계신 광대신이 그려진다.

절 지키는 사천왕상이 아닌 단군성조 이래 굿당을 지키는 풍류의 신, 창부신(倡夫神)이다. 피리를 불며 춤을 추며 허공을 나는 듯한 붉은 빛이 나는 광대의 신을 그렸는지 모른다. 무동은 삼현과 춤을 추며 유교의 덫에 걸린 조선과 천지신명의 굿판에서 꿈을 펼쳤다. 그런 상상을 하며 춤판을 접는다.

덧붙이는 글 | 월간민화에도 게시되었습니다.


태그:#김홍도, #무동, #광대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음악평론가. 한국음악학 박사. 9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음악평론 당선. 96년 한국음악사학보 신인논문상 수상. 전 국립전통고 기획실장 국립극장 기획위원 국립국악원 기획홍보팀장 삼청각예술감독, 대명리조트 레저문화연구기획실장 역임. 현 사)전통예술교육문화협회 한민족문화예술세계화포럼 예술감독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