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1월 17일 오후 서울 성북구 길음동 ‘청년공간 길이음’.
11월 17일 오후 서울 성북구 길음동 ‘청년공간 길이음’. ⓒ 이원진
 
청년공간은 2015년 서울시가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사업을 시작하면서 각 지역구에 확대됐다. 2020년 서울형 청년보장 추진계획에 따르면, 청년공간이란 청년의 일자리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청년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청년과 사회를 연결하는 활동공간을 뜻한다.

성북구에도 동선동에 위치한 '무중력지대 성북', 상월곡동에 위치한 '성북청년공간', 길음동에 위치한 '청년공간 길이음', 정릉동에 위치한 '청년살이발전소'와 같은 청년공간들이 자리 잡고 있다.

청년 10명 중 9명 청년공간 알지 못해 

최근 이러한 청년공간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정작 이용대상자인 청년이 청년공간에 대해 모르고 청년공간 이용자도 점점 줄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무중력지대' 같은 경우, 서울시의회가 2019년에 청년 8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무중력지대를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1.3%로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또한 무중력지대의 월평균 이용자는 2016년 5550명에서 2019년에는 그 절반인 2512명, 이후 2020년에는 830명으로 줄어들었다.

성북구의 청년공간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 11월 17일 오후 4시 30분 길음동 '청년공간 길이음'은 불이 꺼진 채 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같은 날 오후 6시 30분에도 불만 켜져 있을 뿐 이용자는 찾을 수 없었다. 11월 22일 오후 4시 30분에 방문한 상월곡동 '성북청년공간'도 운영진들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을 뿐 이용자 없이 한산한 모습이었다.

성북구에 거주하는 청년들 역시 청년공간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성북구에서 오래 거주했다는 취업준비생 A씨와 타지역에서 성북구의 대학을 온 대학생 B씨 모두 청년공간을 아느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응답했다.

성북구의 청년공간들은 주로 자체 개별 SNS를 통해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들에게는 청년공간이라는 용어가 낯설 뿐만 아니라 청년공간 자체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않기에 청년공간들의 개별 SNS를 접하기도 어렵다.

'성북구청', '성북문화재단'의 블로그를 통해 몇몇 청년공간의 프로그램 홍보를 진행하고 있지만, 다양한 성북구의 소식들이 매일 블로그를 통해 올라오기 때문에 청년공간의 소식만을 모아서 보긴 힘들다.

한 성북구 청년공간 운영진에 따르면 청년공간마다 운영 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공통의 홈페이지가 없다고 밝혔다. 성북구가 지역도서관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성북구립도서관 통합사이트'를 운영하듯 청년공간의 의미를 전달하고 정보와 소식을 모아 볼 수 있는 청년공간 공통의 홈페이지가 필요해 보인다.

대학가에서 먼... 간판이 없어 보이지도 않아
 
 간판이 없는 ‘성북청년공간’.
간판이 없는 ‘성북청년공간’. ⓒ 이원진

'청년공간 길이음'과 '성북청년공간'은 역에서 도보 2분 이내로 갈 수 있을 만큼 교통이 편리하다. '청년살이발전소'와 '무중력지대 성북'도 역에서 도보 10분 이내로 갈 수 있다.

하지만 성북구에 있는 8개의 대학교에서 도보로 갈 수 있는 청년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청년공간의 주 이용자로 예상되던 대학생들은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청년공간을 이용하는 대신에 학교 주변 유료시설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성북구청으로부터 청년공간의 설립 승인을 받을 때 주변 환경을 고려해야 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이다. 청년공간들은 비교적 스터디카페 같은 유료시설이 없고 번화가가 아닌 거주지 주변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유동인구가 많지 않아 청년공간은 대학생뿐 아니라 대학생이 아닌 청년에게도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역효과가 발생했다. 심지어 상월곡동에 위치한 '성북청년공간'은 간판 없이 출입문에 프로그램 팸플릿이 붙어 있는 것이 전부라 겉으로 봐서는 청년공간이 있음을 알기 어려웠다.

이미 청년공간들이 자리를 잡고 있어 위치를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청년들이 멀리서 시간을 내서라도 지속적으로 찾아올만한 유인이 필요해 보인다. 대부분의 청년공간들이 대관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많은 이용자들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성북구 청년공간 운영진은 "실제로 청년공간은 임대료와 프로그램 운영비 등 들어가는 세금에 비해 활용도가 낮다"며 "대관만이 아니라 개인 이용자들도 활용도가 높은 공간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다른 성북구 청년공간 운영진은 프로그램 신청자가 적은 이유로 "공간 홍보의 부족도 있지만 프로그램이 청년의 실질적인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 프로그램이 청년 취업뿐 아니라 개인적 고민, 생활, 주거 방식 등 사소한 것들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본 기사는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 연구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관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우리 동네 뉴스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대학생 새내기들이 참여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청년공간#성북구청년공간#서울시청년공간#무중력지대#청년정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