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주4·3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던 시절, 이를 처음 세상에 알린 부분은 소설 <순이 삼촌>이란 문학작품이었다. 이후 이 땅의 수많은 예술가들은 누구보다 앞서 제주4·3의 진상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한편 미해결 과제에 대한 끊임없이 문제제기를 해 왔다. 제주4·3 70주년을 맞아 '제주4·3과 문화예술'이라는 제목으로 문화예술의 각 장르별 제주4·3 작품들을 소개하는 장을 마련한다. -기자말

<화산도> 김석범 작가, <순이삼촌> 현기영 작가
 <화산도> 김석범 작가, <순이삼촌> 현기영 작가
ⓒ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관련사진보기


문학을 통한 4·3 드러내기

제주 현대사 최대의 비극인 제주4·3은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배·보상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발의됐다. 하지만 아직 그 결과가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 잊을 만하면 일부 보수우익단체들이 4·3을 왜곡, 폄훼하는 난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 성격을 제대로 규명하고 거기에 걸맞은 이름을 갖는 정명(正名) 작업 역시 향후 과제다.

지금은 모두가 공개적으로 4·3을 이야기하고, 매년 1만명 이상이 모이는 추념식도 진행된다. 하지만 불과 30여 년 전만 하더라도 4·3은 금기어였다. 아니, 4·3을 거론하고 드러내는 작업 자체가 국가보안법 위반이었던 암울한 시대가 40년 가까이 계속돼 왔던 것이다. 실제로 그 시기, 제주 사람들은 4·3이라는 말도 꺼내지도 못했다. 꼭 필요할 경우 "무자기축년 난리" 또는 "그 시국"이란 다른 말로 표현할 정도였다. 적어도, 87년 6월 항쟁까지는 그랬다.

이 암울한 시기 금기의 벽을 깨뜨리는 첫 시작이 현기영의 <순이삼촌>이다. 유신의 최고 정점 으로 향하던 1978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발표된 <순이삼촌>은 오랫동안 금기시했던 '4·3 사건'을 최초로 세상에 알린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배경은 북촌리 주민 400여 명의 학살사건이다.

<순이삼촌>은 학살 현장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났으나 환청과 신경쇠약에 시달리다가 결국은 자살하고 마는 순이 삼촌의 삶을 통해 4·3을 알리고 있다. 4·3 진상규명 과정에서 그 시작을  말할 때 <순이삼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었다. 훗날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문화예술에서 4·3 활동에 나선 수많은 사람들이 <순이삼촌>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와 달리 일본은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일찍부터 4·3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발표됐다. 김석범 대하소설 <화산도>가 대표적이다. 1948년 2월 말부터 이듬해인 1949년 6월 제주 빨치산들의 무장봉기가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 해방 직후 혼란스러운 정국을 배경으로 야만적인 폭력을 넘어 인간의 존엄성, 평화의 소중함을 담고 있다.

김석범 작가는 <화산도>에 앞서 32세였던 1957년에 발표한 <간수 박서방(看守朴書房)>과 <까마귀의 죽음(鴉の死)>을 비롯해 <관덕정(觀德亭)>(1961), <만덕유령기담(万德幽靈奇譚)>(1970)에 이르기까지 제주4·3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1988년 다시 한국을 찾을 때까지, 김석범 작가는 정권의 회유와 압박으로 인해 수많은 괴로움과 좌절을 겪어야 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강정효씨는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집행위원장·제주 민예총 이사장입니다. 이 글은 제주4.3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에서 발행한 <4.370신문>에도 실렸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2018년 제주 4·3 70주년을 맞아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청산과 치유를 위해 전국 220여개 단체와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연대기구입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