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올해 늦겨울, 남편과 함께 회사에 사표를 내고 10개월 된 아이를 데리고 싱가포르에 왔다. 1년간 어학 공부를 하겠다는 목적이었다. 이 연재는 육아와 공부를 병행하며 싱가포르에서 생활하는 젊은 유학생 부부의 소소한 일상 이야기를 담는다.... 기자말

중원절 싱가포르 고스트 페스티벌 기간, 거리에 음식을 두고 향을 피워 굶주린 귀신들을 위해 제를 지내고 있다.
중원절싱가포르 고스트 페스티벌 기간, 거리에 음식을 두고 향을 피워 굶주린 귀신들을 위해 제를 지내고 있다. ⓒ 김지나

이상한 날이었다. 온 동네가 연기로 가득 찼다. 여기저기 놓여있는 소각로에선 사람들이 불로 무엇인가를 태우고 있었다. 길바닥에는 음식이 담긴 플라스틱 그릇들이 너부러져 있었다. 음식 앞에 놓인 향은 연신 향내를 내뿜고 있었다.

"그레이스, 대체 저 음식들은 뭐야?"

AD
그레이스와 유모차를 나란히 끌며 길바닥 음식들을 향해 손짓하자 그레이스는 그것도 몰랐냐는 듯이 답한다.

"저걸 지금에야 봤어? 지금 고스트 페스티벌(Ghost festival) 기간이잖아!"

중국에서 중원절로 불리는 고스트 페스티벌은 음력 7월 한 달간 굶주린 귀신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기간이다. 이 기간에 한족들은 귀신들을 위로하기 위해 음식을 바치고 향을 피워 제를 지내며 종이돈을 태워 귀신들을 즐겁게 해준다. 한족들이 세운 나라 싱가포르에서 역시 그 전통은 이어진다.

"내가 아는 사람 중에 귀신 보는 눈을 가진 사람이 있는데"

"읔... 제발, 그레이스 귀신 이야기는 딱 질색이라고!"

"들어봐, 고스트페스티벌 기간엔 말레이시아에서도 거리에 음식을 놓고 제를 지낸단 말이지. 그런데 그 사람이 하는 말이 귀신들이 어떻게 음식을 먹는줄 알아?"

"어떻게 먹는데?"

"음식을 손으로 집어 먹는 게 아니라 음식 앞에 가만히 서서 냄새로 음식을 빨아들인 데."

중국 전통인 중추절은 황량한 벌판과 바다 건너 이국땅인 싱가포르, 그리고 인근 국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도 그 의식이 이어진다. 화교들은 전 세계에 약 1800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가운데 90% 이상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떨어져나온 화교들이 세운 국가 싱가포르의 화교 비율이 75%라면, 말레이시아는 전체 인구의 약 29%가 중국계 후손들이다. 인도네시아는 전체 인구 중 4%가량을 화교가 차지하고 있다. 이 세 국가에 사는 화교들의 특징은 역사적으로 중국 남부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는 점이다. 중국 남부 지역의 사람들은 셈이 빠른 것이 특징인데 그만큼 각 국가의 부를 장악하고 있다.

 싱가포르 고스트 페스티벌 기간, 굶주린 귀신들을 위해 제를 지낸 후 태운 부적들의 잿더미가 쌓여있다.
싱가포르 고스트 페스티벌 기간, 굶주린 귀신들을 위해 제를 지낸 후 태운 부적들의 잿더미가 쌓여있다. ⓒ 김지나

화교가 중국이란 한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하더라도 각 나라의 화교를 대하는 정책에 따라 한족 문화나 언어를 유지하는 정도는 다르다. 싱가포르의 경우 고(故)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가 영어를 모국어로 삼은 후 각 학교에서 모든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고, 업무상 서류작업 역시 영어로 이뤄지고 있다. 한족들은 각 가정에서 중국어를 배우며 중국어로 말을 할 순 있지만 정작 한자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 세대에는 영어가 중국어보다 익숙해. 중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한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은 아마 10%도 안 될걸."

엄마 모임에서 만난 싱가포르인 케린(가명)은 이어 설명한다.

"예전은 모르겠지만 지금은 중국 없이 비즈니스 하기 힘든 시대잖아. 그런데 싱가포르인들이 한자를 쓰고 읽을 수 없는건 싱가포르의 사회적 문제가 아닐 수 없어."

말레이시아 화교들은 싱가포르 화교보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지만 화교학교에서 한자를 익히고 중국 고유문화와 역사를 배운다. 그레이스 역시 말레이시아인으로 화교학교를 나온 후 싱가포르인 남편을 만나 싱가포르 국적을 얻은 케이스다. 그레이스는 말레이시아 화교 정책에 대해 "말레이시아에선 화교 학교에 대해 크게 투자를 하진 않는데 그렇다고 크게 억압하지도 않아. 그래서 돈 많은 화교가 화교학교에 투자하고, 화교들은 고유의 문화나 언어를 유지하고 있어." 그만큼 말레이시아 화교는 한자를 읽고 쓰는 것에 익숙하다. 반면 한족들에 대한 적대감이 큰 인도네시아의 경우 정부에서 화교학교를 폐쇄하고, 한자 사용을 금지했다.

세계 곳곳에 뻗어있는 한족들을 그저 '짱개'라고 비하하며 한 단어로 담기엔 그들을 둘러싼 상황과 처지가 수없이 다양하다. 그리고 지난 19일 고스트 페스티벌 마지막 날, 싱가포르 곳곳에선 그 어느 때보다 더 아찔하게 연기를 내뿜었다. 그렇게 굶주림에 시달리며 이승을 전전하던 귀신들은 연기와 함께 저승으로 돌아갔다. 굶주림을 해결하지 못한 귀신 몇은 여전히 이승에 남아있을지도.

*참고
정성호(2004) '살림지식총서 060'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B%8F%84%EB%84%A4%EC%8B%9C%EC%95%84_%ED%99%94%EA%B5%9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8701&cid=42836&categoryId=42836


#싱가포르#화교#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귀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0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