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나이 서른넷 어느덧 벌써 30대 중반 나에겐 절대로 오지 않을 것 같았던 30대 중반 미친 듯이 일만 하며 살아온 10년이 넘는 시간 남은 것 고작 500만 원 가치의 중고차 한 대 사자마자 폭락 중인 주식계좌에 500 아니 휴짓조각 될지도 모르지 대박 or 쪽박

2년 전 남들따라 가입한 비과세 통장 하나 넘쳐나서 별 의미도 없다는 1순위 청약통장 복리 좋대서 주워듣고 복리적금통장 몇% 더 벌려고 다 넣어둬 CMA통장 손가락 빨고 한 달 냅둬도 고작 담배 한 갑 살까 말까 한 CMA통장 이자 외국에 이민 가서 살고 있는 고등학교 동창 친구놈 가끔 연락이 와 자기는 노가다 한대 노가다해도 한국 대기업 댕기는 나보다 낫대 이런 우라질레이션 평생 일해도 못 사 내 집 한 채" - 자작곡 <응답하라! 30대여~> 노랫말 중에서

수입검사실에서 내가 주력으로 입고 품질을 관리해야 하는 품목은 TV에 들어가는 메인보드였다.
▲ PCB Ass'y 수입검사실에서 내가 주력으로 입고 품질을 관리해야 하는 품목은 TV에 들어가는 메인보드였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수입검사실에서 내가 주력으로 입고 품질을 관리하는 품목 중에 가장 중요한 품목은 바로 'PCB Ass'y(TV에 들어가는 메인보드에 각 부품을 조립한 완성품-이하 'PCB')'였다. PCB는 평균적으로 오전, 오후 하루에 2차례 납품이 됐다. 생산계획에 따라 2개 LOT(모델 변경 없이 1가지 모델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작업의 단위) 이전에 미리 납품이 돼 IQC(Incoming Quality Control)를 받고 합격한 제품만 우리 회사의 완제품 조립 라인에 투입된다.

PCB가 입고되면 입고된 수량에 따라 'AQL(Acceptable Quality Level)'을 적용해 무작위로 시료(검사용 샘플)를 채취한다. 가져온 시료를 'PCB 검사 성적서'에 나오는 검사 항목을 기준에 맞춰 하나하나 검사를 한다. 부품은 규격 부품을 맞게 사용했는지, 납땜 상태는 양호한지 등을 확인한 뒤 수입검사실에 있는 PCB 검사용 'JIG(지그-간편하게 PCB를 연결하여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만든 장비)에 실장 하여 동작 상태를 점검한다.

검사가 완료되면 발생한 불량품의 개수에 따라 합격 또는 불합격 처리를 한다. 합격 처리가 되었을 경우 입고된 PCB 박스 바깥쪽에 'Accept' 도장을 찍고, 불합격되었을 경우 PCB 박스에 'Reject' 도장을 찍는다. 그 후 생산 라인에 투입이 되지 않도록 표시를 한 뒤 외주업체로 연락해 '재작업'을 지시한다.

하지만 이렇게 정상적인 프로세스로 검사할 수 있는 경우는 잘 없다.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하는 데다 바이어들의 들쑥날쑥한 납기 일정을 맞추기 위해 생산 라인의 계획은 수시로 바뀌기 일쑤였다. 그렇게 되면 PCB가 입고되기 무섭게 IQC를 생략하고 생산 라인으로 투입된다.

급한 일정 때문에 내가 검사할 시간을 주지 않고 생산 라인에 투입되었다고 해서 나의 '책임'까지 면제 되는 것은 아니었다. 라인에 바로 투입이 될 경우엔 생산을 하는 도중에 1~2개의 PCB 샘플을 가져와 가장 중요한 규격 부품 사용 여부와 LOT성 불량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다행히 문제가 없으면, 평소대로 생산하면 된다. 하지만 만약 품질에 문제가 있으면 외주업체에 연락해 재작업을 할 작업자를 우리 회사로 보내 달라고 요청한다. 하지만 요청을 해도 작업자가 준비해서 우리 회사까지 오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당시 PCB를 조립해서 납품하는 회사는 우리 회사에서 40분이 넘는 거리인 '상주'에 있었기 때문이다.

외주업체 작업자가 오는 동안에도 우리 회사는 생산을 계속해야 한다. 그러므로 원활한 생산을 위해서 내가 직접 PCB 조립 공정 옆에 붙어서서 문제가 있는 포인트를 일일이 다 수리를 해주어야 했다. 우리 회사에서 생산하는 모델 대부분은 LOT 사이즈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PCB를 납품하는 외주업체에서 오는 시간 동안 생산이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은 내가 그 불량품들을 다 수리해서 투입해야 한다는 말이다.

내가 QC로써의 재능이 없나...?

QC로써의 자질이 없는 것인지 내가 합격처리한 제품에서 품질 문제가 발생되어 여기 저기서 클래임이 들어오곤 했다.
▲ 클래임 QC로써의 자질이 없는 것인지 내가 합격처리한 제품에서 품질 문제가 발생되어 여기 저기서 클래임이 들어오곤 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몇 시간을 생산 라인에 붙어서서 불량품 선별 작업을 하고 돌아오면 그동안 입고되어 검사해야 할 일들이 잔뜩 쌓이곤 했다. 그러면 잠시 숨 돌릴 틈도 없이 그 제품들을 가져다 검사를 했다. 그렇게 바쁠 때면 가끔 불량률이 낮은 품목에 한해, 검사를 하지 않고 검사를 했다며 '합격' 도장을 찍어 생산 라인에 투입하곤 했다. 그러면 간혹 생산 라인에서 대량으로 불량이 나오는 일도 있었다. 그럴 땐 일이 더 많아지는 것과 더불어 '욕'은 덤이다.

'QC'가 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그런지, 아니면 내가 QC로서의 재능이 없는 건지 나는 불량품의 검출 능력이 좀 떨어졌다. 내가 검사를 끝내 놓은 제품을 김 대리님이 다시 검사를 해보시곤 했는데, 그럴 때마다 육안으로도 확인되는 불량품들이 덜컥 나와서 나를 당황 시켰다.

정말 일진이 좋지 않은 날은, 합격시켜서 생산 라인에 투입한 PCB에서 많은 불량이 발생했다. 생산 라인에서 감당할 수 없을 만큼 계속 같은 불량이 나오면, 라인 수리사들이나 반장님이 불량 샘플을 가지고 수입검사실로 찾아오셨다. 그 불량품을 받아들고 죄인처럼 고개를 숙이고 욕을 먹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옆 라인에서도 불량이 발생 되는 것도 모자라 가끔 SKD(반제품 상태로 출하하는 방식)로 나간 PCB에서도 불량이 났다며 해외 영업팀으로부터 연락이 오기도 했다.

그런 날은 온종일 정신없이 이리저리 연락하고 불량품을 선별해서 업체로 반품을 시키는 등의 조처를 했다. 그러다 보면 하루가 눈 깜빡할 새 지나갔다. 하지만 터진 일들 수습하느라 일상 업무를 다 하지 못했기 때문에, 혼자 늦게 남아 밀린 부품 신뢰성 시험을 했다. 아무도 없는 검사실에서 혼자 눈물을 훔친 날들이었다.

생산 라인에서 근무를 할 때는 QC들이 마냥 편할 줄로만 알았다. 종소리에 맞춰 화장실도 제때 못 가는 우리들에 비해 자유로워 보였고 무엇보다 종일 서서 일하지 않고 사무실에 앉아 일하는 게 '있어' 보였다. 그런데 막상 내가 QC가 되고 보니 거기나 여기나 '전쟁터'인 건 마찬가지였다.

덧붙이는 글 | 자작곡 '응답하라! 30대여~' 듣는 곳
http://www.bainil.com/album/365



태그:#품질관리, #QC, #재능, #불량, #생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레드콘텐츠 대표 문화기획과 콘텐츠 제작을 주로 하고 있는 롯데자이언츠의 팬이자 히어로 영화 매니아, 자유로운 여행자입니다. <언제나 너일께> <보태준거 있어?> '힙합' 싱글앨범 발매 <오늘 창업했습니다> <나는 고졸사원이다> <갑상선암 투병일기> 저서 출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