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가 '4대강사업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의 하나로 경남 산청 차황면 '상법 손항저수지' 건설을 추진하자 마을 주민들은 '국민혈세 낭비' '예산 따먹기 사업'이라며 반대하고 나섰다.
'4대강 저수지사업 턴킨입찰 제4공구 상법저수지 백지화 대책위원회'(위원장 최명일)는 25일 창원 소재 경남도청 앞과 농어촌공사 경남지사 앞에서 "주민궐기대회"를 가졌다. 상법·신촌·만암마을 주민 200여 명은 머리띠를 두르거나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대부분 어르신들이었다.

▲‘4대강 저수지사업 턴킨입찰 제4공구 상법저수지 백지화 대책위원회’는 25일 창원 소재 경남도청 앞과 농어촌공사 경남지사 앞에서 “주민궐기대회”를 가졌다. ⓒ 윤성효
농어촌공사는 산청 율하저수지, 하동 궁항저수지에 대해 '4대강 저수지 둑 높이기 일괄입찰 제4공구 사업'으로 둑을 높이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또 농어촌공사는 신설 손항저수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새 손항저수지의 담수량은 기존 손항저수지(57만 톤)보다 10배(600만 톤) 규모이며, 제방 높이는 58m로 이는 남강댐(34m)보다 높다. 이에 주민들은 저수지가 아니라 '사실상 대형 댐'이라 주장한다. 기존 저수지와 새 저수지 사이는 100m 정도 떨어져 있다. 이곳은 황매산 자락이다.
저수지 둑높이기·신설사업에 대해서는 경상남도가 인허가권을 갖고 있다. 이에 주민들이 경남도가 인허가를 해주어서는 안 된다며 경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연 것.
대책위는 이날 "수십 번의 민원을 제기했지만 농어촌공사는 소 귀에 경읽기였다. 농어촌공사가 농민의 행정민원 부서인지 건설회가의 일거리를 만드는 하수인인지 입장을 밝히라고 주장했다.

▲‘4대강 저수지사업 턴킨입찰 제4공구 상법저수지 백지화 대책위원회’는 25일 창원 소재 경남도청 앞과 농어촌공사 경남지사 앞에서 “주민궐기대회”를 가졌다. ⓒ 윤성효
주민들은 "이 사업은 지역실정과 주민의사를 철저히 무시하며 일방 추진된 '반환경적, 주민생존권 박탈사업'이다. 조상 대대로 서로 돕고 의지하며 평화롭게 살아온 지역주민을 갈라 세우고, 삶의 공동체를 처참히 파괴하는 '지역말살정책'"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저수지 신설은 지역에 수많은 피해를 양산할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엄청난 기후,환경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기존에도 빈발했던 안개는 훨씬 늘어나고, 부족했던 일조량은 더욱 줄어들며, 기류의 심각한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들은 "반환경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저수지가 무분별하게 철쭉 명산인 황매산 자락에 들어서게 되면서, 환경 파괴로 이미지가 훼손되어 탐방객과 특산물 판매도 그만큼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4대강 저수지사업 턴킨입찰 제4공구 상법저수지 백지화 대책위원회’는 25일 창원 소재 경남도청 앞과 농어촌공사 경남지사 앞에서 “주민궐기대회”를 가졌다. ⓒ 윤성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