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에서 시민기자로 인연을 맺은 것이 지난 2007년 6월이니 두 해가 지났다. 오늘(10일)까지 927개 기사를 썼으니 하루도 쉬지 않고 기사를 썼다. 대부분 잉걸 기사(845개)이니 기사 쓰기 능력은 형편없다. 요즘도 기사 3개를 쓰면 하나는 생나무이다. 잘 썼다고 생각하는 기사도 있었지만 편집부는 어김없다. 어떤 때는 연거푸 5~6개가 생나무에 머문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생나무이든 잉걸이든 상관없다. <오마이뉴스>에 글을 쓰는 것 자체가 좋다.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오마이뉴스>와 맞지 않는 논조가 있다. 나와 맞지 않기 때문에 <오마이뉴스>에 글쓰기를 좋아한다는 것이 조금 의아스럽겠지만 설명을 들으면 고개를 끄덕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기독교 목사로서 보수신학을 배웠고, 지금도 보수신학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알듯이 한국교회는 보수주의 신학이 견고하다. 보수주의 신학이 보수주의 이념과 결합하면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 때 한국 교회는 서울광장에 모여 빨갱이 정권 때려 잡자는 집회를 심심하면 열었다. 지금도 이명박 정권이 잘못가고 있는데도 비판 한번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오마이뉴스>는 이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있다. 나 역시 한국교회가 공의와 정의를 잃어버렸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한국 교회를 향한 강한 비판을 읽을 때마다 마음 한 켠은 불편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 불편함이 좋았다. 불편함을 통하여 나 자신을 돌아볼 수 있고, 한국 교회가 어디로 가야할지 알게 되었다. 한국 교회가 자정 능력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바깥으로부터 비판이 없다면 한국교회는 갱신되기 힘들다. 비판이 불편할 뿐, 그 비판이 나와 한국 교회를 살리고 있음을 알 때 <오마이뉴스>에서 글을 쓰고 좋아할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오마이뉴스>가 좋은 이유는 인터넷 신문으로서 '1등'이지만 아직 '기득권' 냄새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개혁은 비주류일 때 하는 것이 아니라 주류일 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혁이 어려운 이유는 비주류일 때는 자기가 가진 권력이 없기 때문에 권력을 가진 사람과 세력을 마음대로 비판하지만 정작 자신이 권력을 가졌을 때 그것을 포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마이뉴스>도 마찬가지이다. 아직 <조중동>과 공중파 방송보다는 못하지만 10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다. 쉽게 말해 비주류에서 주류 언론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는 말이다. 이럴 때 <오마이뉴스>가 처음 태어날 때 그 마음을 저버릴 수 있는데 아직 그 첫 마음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좋다. 하지만 '아직'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앞으로'도 첫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이 마음을 버리지 않는 이상 <오마이뉴스>는 나에게 사랑을 받는 언론이 될 것이다. 물론 다른 사람에게도.
내가 불편한 것이 오히려 나를 도와주는 것이고, 기득권 냄새가 나지 않는 <오마이뉴스>가 지난 8일 '10만인클럽'을 시작했다. "여러분께 <오마이뉴스>는 무엇입니까?"라는 질문 앞에 생각했다. 내 답은 '나를 불편하게 만들었지만 그것이 나를 살리는 것이라'였다. 그래서 가입했다. 하지만 시작은 초라하다. '1개월'이다.
다른 분들은 6개월, 1년, 10년까지 가입했지만 나는 1개월에서 시작되었다. 1년, 2년, 10년, 평생 회원으로 가입하는 것도 의미있지만 달마다 새로 가입하는 일도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모든 집이 다 그렇지만 아내는 5000원짜리 옷 하나 사 입는 것도 어려워한다. 남편과 아이들 옷은 몇 만 원짜리를 사도 자기 옷은 5000원이 아까운 것이다. 오늘 모처럼 아내 옷을 샀다. 5000원짜리 티셔츠 두 개와 1만 5000원짜리 셔츠 하나. 아내 얼굴은 싱글벙글이다. 2만 원 어치 옷을 사고서 싱글벙글 웃는 아내에게 넌지시 말했다.
"오마이뉴스에 월 1만 원 후원할까 하는데 당신 생각은?""나는 5000원짜리 옷도 아까운데.""그래요 당신은 5000원짜리 옷도 아깝지요.""옷 사 달리는 것 아니고, 말이 그렇다는 것이에요. 그런데 오마이뉴스가 그렇게 어려워요?""평직원은 20%, 간부는 30%, 대표는 40% 월급을 깎았대요.""그렇게 어려웠나? 그럼 그렇게 하세요. 오마이뉴스 같은 언론이 살아야 우리나라가 바른 길로 가지요… 1등신문이네, 할 말은 하는 신문이네 하면서 왜곡을 일삼는 <○○일보>와는 차원이 다른 오마이뉴스를 살려야지요. 5000원짜리 옷 사는 것보다 훨씬 좋은 일이잖아요."5000원짜리 옷도 아깝다면서도 <오마이뉴스>를 후원하라고 한 아내 바람이 헛되지 않도로 <오마이뉴스>가 첫 마음을 잃지 않기를 바란다. 첫 마음을 잃지 않으면 다음 달도 나는 10만인클럽에 가입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