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27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세종시 국회세종의사당 예정부지 현장을 찾아 개발 지도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세종시는 여러모로 서울과 닮았다. 생김새는 다르지만 산과 물이 닮았고, 세상을 품는 정기가 닮았다. 서울은 동서축으로 한강이 흐르며 강남과 강북을 얼싸안고, 세종은 금강을 사이로 강남·북이 나뉘어있다.
서울 북악산이 경복궁의 푸른 아침을 호위하듯 세종은 원수산이 강북의 푸른 호수를 위무한다. 원수산 바로 아래에는 국무총리 관저가 있고, 전월산 방향으로 세종의사당 예정부지와 국립수목원이 위치해있다. 총리 관저는 옛 청와대 자리처럼 산을 배경으로 똬리를 틀고 있다.
세종의사당은 63만 1000㎡(약 19.1만 평) 면적으로 여의도 국회(약 33만㎡, 10.1만 평)의 약 2배 규모다. 11개 상임위와 예결위, 예산정책처, 입법조사처, 국회도서관 등이 이전하는데 2028년 준공 예정이다. 대통령 제2집무실은 올 상반기에 마스터 플랜을 위한 국제 공모를 시작할 계획인데, 이르면 2027년 완공한다.
서울과 세종은 이제 먼 이웃이 아니다. 74분이면 도착하는 고속도로가 내년이면 뚫린다. 사업비 6조 7000억 원 규모에 비춰 제2경부고속도로로 회자되고 있다. 앞으로 경제 부흥을 촉진하고 국가균형발전의 새 전기를 마련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중장기적으로 고속도로 개통 이후 수도권 인구가 지방으로 분산될 기회도 될 것이다.
세종시는 이미 세계 여러 나라로부터 '행정수도'의 입지를 인정받고 있다. 세계대도시협의회(World Association of the Major Metropolises) 이사회에서 새로운 회원 도시로 정식 가입됐다. 협의회는 세계 대도시들이 직면한 공통적인 경제·환경, 삶의 질 향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5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인구 100만 이상 또는 수도인 곳만 가입할 수 있다. 현재 베를린, 파리, 북경 등 51개 도시를 포함한 147개 회원 도시가 활동 중이다.
앞서 세종시는 세계지방정부연합(UCLG), 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 아시아태평양 도시정상회의(APCS) 등 다양한 국제회의에서 대한민국 행정수도(Administrative Capital)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왔다.
세종 국회의사당이 준공되면 입법부, 행정부가 세종에 모이게 된다. 여기에 대통령실까지 자리 잡는다면 국가 균형 발전에 확실한 진전이 있을 것이다. 그러려면 헌법 개정을 통해 수도 이전이 가능하도록 명문화가 필요하다. 국회와 대통령실의 완전 이전도 지역 의제가 아닌 국가적 의제다.
세종시에 행정수도를 만드는 것은 천도가 아니다. 서울의 힘을 빼겠다는 것도 아니다. 세상은 많이 변했다. 세상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고루한 법 해석으로 옛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법도 세상의 속도를 반영해야 한다. 개헌이 필요하다면 개헌하는 것이 옳다. 두려운 것은 오직 민심뿐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