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 8월 17일 <동아일보> 3면 '해방십년의 특산물'이라는 코너에서 다룬 '사바사바'의 어원.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사바사바한 국정운영이 원인으로 제시됐는데, 이 사바사바를 전년도 8월 17일자 <동아일보>는 '해방십년의 특산물'이라는 코너에서 다뤘다. 이 코너는 1946년에 등장해 이승만 집권기 때 유행한 이 신조어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당시 지식인들의 지지를 얻은 어느 연구소의 해석을 전했다.
"한 손에 뇌물(주로 보증수표)을 든 교활한 간상배가 음흉한 부정관리 귀에 입을 가까이 대고 'xxxx.' 간사한 눈웃음을 치며 숨죽인 말투로 무어라고 입을 놀리고 있을 때 그 소리를 재래에 쓰던 우리말로 '소곤소곤 속삭이고 있다'고 표현하기에는 '소곤소곤'이란 시적(詩的)인 수식어를 너무 더럽히는 것 같고, 그래서 다시 음미하여 보니 그 소리야말로 '사바사바'하더라고."
자유당 정권의 국정운영은 공정하고 투명하지 못했다. 뇌물과 부정청탁이 오가는 밀실 야합이 난무했다. 사바사바라는 신조어는 그 같은 자유당의 모습과 맞아떨어졌다. 그런 모습을 지칭하는 데 사바사바가 쓰이지 않고 혹시라도 '소곤소곤'이 쓰였다면, 소곤소곤을 그 뒤 동화나 동시에서 접하기 힘들었을지 모른다.
희극 방송인(1928~1999)인 곽규석이 있었다. 공군 군예대에서 '플라이보이 스윙밴드'로 활동하다가 연예계에 데뷔한 뒤 기관총 소리, 함포 사격, 비행기 폭격 등의 성대모사로 인기를 끌었고 쇼 프로그램 대명사인 TBC '쇼쇼쇼'도 진행한 대중예술가다. 53세로 은퇴한 뒤에는 뉴욕으로 건너가 한마음침례교회 목사가 됐다.
방송인 시절 그의 별명은 훗날의 직업이 될 목사와 어울리지 않았다. '후라이까다'라는 유행어가 퍼져 있던 시절에 그는 '후라이보이'로 불렸다. 그가 출연한 프로그램이나 영화에도 그 명칭이 많았다. CBS 라디오 '후라이보이 아워'(1957), '후라이보이 박사 소동'(1959, 영화), MBC 라디오 '후라이보이 가요열차', KBS '후라이보이 은퇴 특집쇼'(1981) 등등이다.
그렇게 불린 것은 플라이보이 스윙밴드에서 활동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자신이 그 별명을 선호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는 1967년 3월 4일자 <동아일보> 6면에 실린 39세 때의 인터뷰에서 "그 당시 후라이라는 말이 거짓말이라는 말의 은어로 통용되던 때라 겸사겸사 예명으로 정했다"라고 회고했다. 지명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러 그 단어를 선택했던 것이다.
'날다'를 뜻하는 영어 단어가 '거짓말'의 의미로 한국에 정착한 이유가 있다. 국어학자인 서정범(1926~2009) 경희대 교수는 일제강점기 때만 해도 '대포'나 '꽝'이 그런 뜻으로 쓰이다가 해방 이후에 '후라이'로 대체됐다고 설명했다. 1986년 6월 7일 자 <조선일보> 7면 좌상단 기고문에서 그는 "미군이 진주함에 따라 야구가 성행하게 됐는데, 후라이는 높이 뜬 볼이지만 대개 잡히고 만다"라며 "거짓말은 소리는 크지만 실속이 없다는 것"이라고 그 유래를 설명했다.
'팔십오전짜리'라는 새로운 유행어

▲대구 순시를 위해 공항에 나온 이승만 대통령 부부. 1951.3.23
연합뉴스
해방 이후 25년간의 언어 변화를 요약한 1970년 8월 15일자 <조선일보> 6면은 모리배나 간상배들이 정권과 결탁하는 모습을 '사바사바'라는 용어로 표현한 뒤, 이들이 돈을 벌어들이는 과정에서 허풍과 거짓말을 뜻하는 후라이라는 말이 유행했다고 설명한다.
해방 이후에 정권과 유착해 돈을 버는 사람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후라이라는 말을 확산시켰다. 그런 식의 재산 축적이 3년간의 미군정기에만 유행하고 이승만 집권기에는 사라졌다면, 1946년에 등장한 이 단어가 1950년대에 계속해서 파급력을 발휘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이 단어가 유행한 데는 이승만 정권의 책임이 크다.
제대로 된 능력이나 자격도 없이 사바사바하고 후라이치는 방식으로 돈과 권력을 쥐고 세상을 주도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신조어도 있었다. 팔십오전(八十五錢)이 그것이다.
이 단어가 등장하고 몇 개월 안 된 1946년 4월 3일, <동아일보> 1면 좌하단에 이에 관한 해설 기사가 실렸다. "8·15 이후로 팔십오전이라는 새로운 유행어가 생겻다"라며 이 단어가 여러 분야로 신속히 확산됐다고 보도하는 기사다. 팔십오전짜리 인물이다, 팔십오전짜리 단체다, 팔십오전짜리 방송이다 등등의 표현이 쓰이고 있다고 알려준다. 팔십오전의 유래를 이렇게 설명했다.
"팔십오전이란 원래 일원이 못 되는 돈이다. 일원이 되기에는 십오전이 부족되는 돈이다. 따라서 일원을 표준으로 한다 하면 팔십오전짜리는 어데나 결함이 있는 미성품(未成品)으로 인정되는 무엇이다. 말하자면 팔삭동이와 방사(倣似)한 의미로 해석해 무방하다."
위 기사는 팔십오전의 대표적 사례로 친일파를 든다. "친일자가 애국자로 활약하고, 모리자(謀利者)가 우국자로 등장한다"라고 말한다. 친일파들의 주도권 장악이 팔십오전을 형성한 핵심 추동력이었다. 이런 주도권 장악은 미군정 때 시작돼 이승만 정권 때 완성됐으므로 팔십오전이라는 단어도 이승만 정권 때문에 나온 셈이 된다.
사바사바·후라이치다·팔십오전 같은 신조어들은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이 한국 사회를 얼마나 잘못 이끌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는 정치와 경제를 주도하는 사람들의 행태를 빗댄 신조어들이다. 윗물이 맑았다면 생성되기 힘든 단어들이다.
이승만 집권기는 일본제국주의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한국인들의 가치체계를 위협한 시기다. 그래서 영원히 이별해야 할 시기다. 그런데도 그 시절의 복원을 시도하는 세력이 지금 한국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냥 방치해두면 사바사바·후라이치다·팔십오전보다 훨씬 타락적인 신조어들을 양산하고도 남을 현상이 지금 눈앞에서 전개되고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