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송언석 위원장, 박수영 여당 간사, 정태호 야당 간사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 모두 정치적 당리당략만 따지지 말고 민생 현장으로 뛰쳐나와야 한다. 국회의원 개개인이 자기 지역구만이라도 수시로 순회하면서 그들의 고충을 듣고 해법을 찾아 즉각적인 정책 반영에 힘을 쏟아야 한다.
지역구는 선거철에만 낯짝 내밀고, 손 붙잡고, 민원을 다 해결해 줄 듯 사기를 치는 곳이 아니다. 진심을 다해 지역을 잘 돌아가게 하겠다고 맹약을 한 곳이다. 그럼에도 표 구할 때만 읍소하고, 배지 달고 나면 상전 노릇에 패거리 정치하는 건 국민 모독이다.
시간 날 때마다 동네 한 바퀴 돌면서 얘기를 들어보라. 왜 소상공인이 죽어가고 있는지, 장바구니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어떤 일자리가 필요한지, 어느 곳이 사는데 불편한지 들여다보라. 한 바퀴만 돌아도 '이래서 서민들이 정치를 혐오하는구나'를 깨닫게 될 것이다.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추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현행법상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은 국민소환제 적용을 받지만, 국회의원은 제외돼 국민이 직접 책임을 물을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소환 청구 결과에 따라 세비 반납, 감봉, 의원직 박탈까지 함으로써 일하는 국회, 국민만을 위한 국회, 공부하는 국회를 만들 수 있다. 국민이 뽑은 국회의원이 국민의 신뢰를 잃었을 때, 직접 해임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다.
수시로 입방아에 오르는 국회의원 세비를 보라. 국회는 지난해 1억 5690만 원인 의원 연봉을 1억 5996만 원으로 1.9% 올렸다. 명절 휴가비만 850만 원(설날·추석 약 425만 원씩)이다. 국민은 뼈 빠지게 일해 세금을 내고 국회는 사골 국물 우리듯 세비를 탕진하는 꼴이다. 그만큼 받을 자격이 있나 묻고 싶다.
경제 살리기, 민생 살리기엔 여야, 보수와 진보가 따로 없다. 선거 표를 좌우하는 무당(無黨)·중도층은 대략 20% 정도다. 그렇다고 다른 80%가 모두 정치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다. 주변에서 정치 얘기하는 사람은 손에 꼽는다.
서민들의 관심은 밥벌이다. 밥이 곧 법이다. 얼마나 잘 먹고 잘살게 해줄지가 궁금할 뿐이다. '밥벌이'란 단어는 상당히 엄중하고 처량하기까지 하다. 그래도 우리에겐 '먹고 살기 위해서'라는 중압만으로는 결코 담을 수 없는 절박함이 있다.
'정치야, 너만 정신 차리면 돼. 제발 좀 먹고 살게 해주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