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도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이 지난 2024년 6월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제132차 양형위원회에 신임 위원으로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희도(31) 대검 공판송무부장은 청주지검 부장이던 2020년 10월 추-윤 갈등 국면에서 추 장관을 공개적으로 저격해 눈길을 끌었다. 추 장관이 윤 총장 가족 비리 의혹 사건에 대해 수사지휘권을 발동하자 검찰 내부망인 이프로스에 "진정한 검찰개혁을 위해 현역 정치인이 법무부 장관에 임명되는 일이 없어야겠다는 개인적인 바람을 갖게 됐다"고 밝히면서 "수사지휘권 행사는 총장직 사퇴라는 결과를 의도하는 정치적인 행위로 의심받을 수 있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 달 뒤에는 자신의 전 상관으로 윤 총장과 대립하던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을 공격하고 나섰다. 한 부장이 SNS에 '채널A 사건을 수사했던 정진웅 차장검사에 대한 대검의 직무집행정지 요청은 부적절하다'는 글을 올리자, 이프로스를 통해 "한 부장의 행위야말로 감찰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이듬해 서울동부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중경단) 부장으로 옮겨갔다. 전국 검찰청에 있는 중경단은 한직으로 분류되는데 주로 주류에서 밀려난 고참 검사가 배치된다.
검사장급인 고형곤(31) 수원고검 차장은 윤석열 사단의 칼잡이로 활약했다. 지난해 5월 상관인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과 함께 중앙 무대에서 밀려난 그는 윤 대통령의 국정농단 특검 동지다. 2019년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으로 조국 장관 부부의 입시 비리 등을 수사했다. 이듬해 대구지검 반부패수사부장으로 좌천됐다가 대구지검 포항지청장으로 옮겨갔다.
정권이 바뀐 2022년, 서울중앙지검의 반부패 수사를 총괄하는 4차장으로 영전했다.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 돈봉투 사건(반부패수사2부), 이재명 대표 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 사건(반부패수사3부), 뉴스타파 보도와 관련된 윤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반부패수사1부), 김건희 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사건(반부패수사2부) 등 대형 정치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두지휘했다.
고 차장은 2016년 11월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된 국민연금공단 배임 의혹을 수사하기도 했다. 당시 수사팀에 속했던 검사 중 현직 검사장급 이상을 꼽아보면, 신자용 법무연수원장, 양석조 서울동부지검장, 김창진 법무연수원 기획부장, 김태은 대검 공공수사부장 등이 있다.
▲왼쪽부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윤석열 대통령,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오마이뉴스
이 수사에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이원석 전 검찰총장, 이복현(32) 금융감독원장 등도 참여했다. 이 중 이 전 총장을 뺀 나머지 검사는 모두 그해 12월 출범한 국정농단 특검팀에 합류해 수사팀장을 맡은 윤 대통령과 수사 동지가 됐다. 흔히 말하는 윤석열 사단의 주축이 바로 이들이다.
윤석열 사단을 비롯한 친윤 검사들은 문재인 정부 때부터 윤석열 정부에 이르기까지 검찰의 주류를 형성해 왔고 탄핵정국에서도 여전히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친윤 검사라고 해서 싸잡아 폄훼하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
이들 중에는 윤 대통령과 단순히 근무 인연을 맺은 데 그친 검사도 있고, 사적 인연과 상관없이 '실력'으로 고위직에 오르거나 요직을 맡은 검사도 적지 않다. 박영진 전주지검장처럼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공개적으로 윤 대통령을 비판한 친윤 검사도 있다.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특정인에 대한 충성심이나 의리에 치중한 행태를 보이고 그들의 수사가 종종 정치적 표적수사 논란에 휩싸였다는 점에서 경계 대상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친윤 검사들이 혹시라도 내란 사태의 진상을 밝히는 데 걸림돌이 된다거나 수사를 방해하거나 축소·은폐를 시도한다면 국민적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