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중랑구갑)이 지난해 10월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감사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와 김 여사로 추정되는 인물과 나눈 카카오톡 대화를 보여주며 최재해 감사원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유성호
-명씨가 김건희씨 통해 취임 후에도 윤 대통령과 계속 연결됐다고 봐야 할까?
"됐다고 봐야지. 이번 비상계엄도 김건희에 의해 터진 거다. (명태균이) 김건희한테 (녹음파일 존재를) 알려줬던 거다."
- 김건희씨한테 알려줬다고?
"김건희가 알게 했다. 우리가 그걸 갖고 있다는 걸."
- 그걸 어떻게 아는가?
"명태균이 그런 포석을 해놓고 (구치소로) 들어갔다. 그래서 한 달 안에 하야한다고, 탄핵된다고 말했던 거다."
- 명씨가 김씨에게 자길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했다는 건가?
"그렇다. 그런데도 건드렸으니, 명태균이 가만히 있을 수 없는 거다."
명씨는 황금폰을 애초 민주당에 넘겨줄 것처럼 하다가 결국 지난해 12월 12일 검찰에 제출했다.
-민주당도 못 믿겠다는 건가?
"박주민 의원이 명씨를 면회한 것도 애초 약속한 날짜보다 한참 지나서였다. 민주당 반응이 이렇게 더디다. 공익제보자로 지정해주면 다 털어놓겠다고 했는데도 아직 답이 없다. 우리 조건이, 강혜경씨와 김태열 미래한국연구소장을 이 사건 공익제보자에서 빼라는 것이다."
- 그건 쉽지 않은 조건 아닌가? 강씨와 민주당 관계를 고려할 때.
"명태균은 강혜경도 김태열도 거짓말을 한다고 본다."
명씨는 지방선거 출마자 2명으로부터 공천 대가 명목으로 1인당 1억2000만 원씩 총 2억4000만 원을 받고, 한 사업가로부터 취업 청탁 명목으로 1억 원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남 변호사는 이런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는 한편 강씨의 회계 처리와 자금관리, 계좌 관리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강씨에게 문자로 질문지를 보냈으나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남 변호사는 또 김태열 소장의 말 바꾸기도 지적했다. 김 소장이 지난해 10월 공익제보자 요건 문제로 노종면 민주당 의원과 통화하면서, "지방선거 출마자 두 사람한테 받은 돈은 미래한국연구소 운영에 필요한 대여금이었다"라고 주장했는데, 나중에 "공천 대가"라고 말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김 소장과 한 시간 가까이 통화했다. 김 소장은 애초 노 의원에게 그렇게 말한 것은 공천 관련해 명씨 요청으로 미래한국연구소에 돈을 전달한 두 사람이 그렇게 입을 맞춰달라는 취지로 요청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명씨가 그들의 공천을 도우려 윤석열 후보와 김종인, 이준석 등 유력 정치인들을 만나게 해줬으며, 나중에 공천이 불발된 후 두 사람은 건넨 돈의 절반씩 돌려받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자신은 명목상 대표였기 때문에 돈이 어떻게 입금되고 출금되는지는 전혀 알지 못했고 자금관리는 전적으로 강씨가 맡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검찰에서 연구소의 모든 장부와 계좌, 강씨의 계좌를 다 조사했다"라며 명씨 측의 의혹 제기를 일축했다.
남 변호사는 관련자들 간 돈 문제가 명태균 사건의 출발점이자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한 검증이 필요한 듯싶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