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엄 모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검찰 송치'12.3 비상계엄' 기획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24일 오전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조선은 대북 전단과 확성기 방송에 총포를 동원한 무력대응이 아니라 오물 풍선과 괴음 방송으로 응수해왔다. 헌법을 개정했다고 하면서도 서해 해상국경선을 포함한 영토 조항의 신설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평양 무인기 침투에도 맞대응을 자제했다.
왜 그랬을까? 단초는 7월 8일에 나온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에서 발견할 수 있다. "최악의 집권위기에 몰려온 윤석열과 그 패당은 정세격화의 공간에서 '비상탈출'을 시도하고 있다"며, "끊임없이 안보불안을 조성하고 전쟁분위기를 고취"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본 것이다.
'우리 안의 북한'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의 조선' 직시해야
이번 사태를 거치면서 남북관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태도를 근본적으로 성찰해야 할 필요가 더욱 커졌다. '12·3 내란 사태'가 분단된 현실에서 한국 정권이 남북 적대관계를 국내 정치적으로 악용할 수 있다는 것을 거듭 확인해주었다는 것은 많은 이들이 지적하는 바이다. 남북관계와 한국 민주주의의 상호연관성이 여전히 강력한 만큼, 둘 사이의 선순환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도 많은 이들이 주문한다.
하지만 남북관계를 과거처럼 '복원'하는 것은 상당 기간 불가능해졌다. 통일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새로운 접근을 고민해야 할 때다. 한국과 조선을 평화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한국과 조선을 '하나'라는 허상에 가둬둘수록 '개의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Wag the dog)'는 실재 공간에서의 현상은 끊이지 않는다.
이는 '북한'이 한국에서 소비되어온 방식을 떠올려보면 알 수 있다. 대개 조선이 한국의 최대 위협이라고 하지만, 현실에선 '호명된 북한'이 실재 위협이 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윤석열이 계엄을 선포하면서 "북한 공산세력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대한민국을 수호하겠다"고 언급한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또 "북한 정권이 불안해지면 관심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도발할 것"이라거나 "한국이 불안해지면 북한이 도발할 기회를 엿볼 것"이라는 말도 숱하게 들어왔다. 하지만 김일성 주석이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을 때에도, 한국에서 여러 차례 정치적 급변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도 조선은 무력도발을 감행하지 않았고 그 징후도 거의 없었다.
이처럼 '우리 안의 북한'은 '있는 그대로의 조선'보다 한국에서 강렬하게 소비되어왔다. 이는 거꾸로 한국과 조선이 별개의 존재라는 인식이 뿌리내릴수록 조선이라는 존재를 국내 정치적으로 악용하려는 시도가 설자리가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주주의를 포함한 한국의 발전과 선진화를 위해서라도 '탈북한'이 필요하다고 보는 까닭이다.
이는 필자가 '북한' 대신에 가급적 '조선'이라고 표현하는 이유와도 맞닿아 있다. 이 표현에 대한 생경함과 거부감이 줄어들수록 국제법적으로 엄연한 주권국가인 조선을 대한민국 영토로 규정한 헌법 개정도, '반국가단체'로 규정한 국가보안법 개폐 논의도 건강한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 '국가 대 국가의 관계'라는 국제적 표준에 기초해 남북관계의 새로운 장을 써내려갈 수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