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5일 위스콘신주 밀워키 파이서브 포럼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공개된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머그샷 사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자신의 X에 조지아주 풀턴 카운티 경찰에서 찍힌 머그샷과 함께 "Never Surrender(절대 항복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올렸다.
AFP/연합뉴스
트럼프에 대한
총 91건의 형사혐의 기소는 세 갈래로 진행되었다. 뉴욕 맨해튼 검찰은 '입막음용 돈' 관련 34건, 조지아주 지방검찰은 선거 개입 시도로 13건을 기소했다. 연방 특별검사는 기밀문서 무단 반출 40건과 2020년 1월 의사당 사태 관련 4건을 기소했다. 이러한 기소들은 오히려 트럼프 지지자들을 더욱 결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맨해튼 검찰의 기소는 정치적 의도가 뚜렷했다. 2016년 대선 직전 포르노 배우에게 지급한 13만 달러 은폐 과정을 문제 삼으면서, 연방법 대신 뉴욕주법을 적용해 선거자금법 위반죄로 기소했다. 또한 하나의 은폐 행위를 34건의 개별 문서 위조로 쪼개 기소했다. 이는 대통령 사면권을 무력화하고 혐의를 최대한 부풀리려는 시도로 보였다.
이에 트럼프 지지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그들은 민주당 소속 검사가 사적 거래를 선거자금법 위반으로 억지 해석하고, 단일 행위를 인위적으로 분할해 과도하게 기소했다며 정치적 편향성을 지적했다. 이러한 논란은 오히려 트럼프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조지아주 지방검사의 기소는 법 적용의 무리함과 검사장의 비리로 정당성 논란을 빚었다. 검찰은 2020년 대선 결과와 관련해 트럼프가 "1만 1780표만 찾아달라"고 요구한 통화 녹음을 근거로 13개 혐의를 제기했다. 이 과정에서 마피아 등 조직폭력배 처벌에 사용하는 조직범죄처벌법(RICO)을 적용했다. 트럼프 측은 선거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 정치인의 헌법상 보장된 정당한 권리라고 반발했다.
기소의 정당성은 검사장의 윤리 문제로 더욱 훼손됐다. 검사장이 자신이 임명한 특별검사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호화 휴가를 즐긴 사실이 드러났으며, 금전적 이해충돌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로 인해 수사의 정치적 중립성과 신뢰도가 크게 떨어졌고, 트럼프 진영의 '정치적 박해'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연방 특별검사의 기소 역시 정치적 역효과를 낳았다. 기밀 문서 무단 반출 혐의(40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부통령 재직 시의 유사 사건과 비교되며 '정적 제거용 기소'라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바이든은 불기소 된 반면 트럼프만 기소되어 '정치적 이중 잣대'라는 비판이 일었다. 의사당 난입 사태 관련 혐의에 대해서도 트럼프 측은 선거 결과 문제 제기가 헌법상 표현의 자유라고 반박했다. 또한 2024년 대선을 앞둔 시점의 기소는 '선거 개입' 논란을 야기했다.
이런 일련의 기소는 역설적으로 트럼프를 기성 정치와 기득권 질서에 도전하는 개혁적 리더로 인식되게 했다. 그를 향한 끊임없는 법적 공세는 '기득권 체제'에 맞서는 아웃사이더 이미지를 강화했다. 특히 지난 7월과 9월의 암살 시도 실패 사건은 이러한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최상위 0.1% 기득권 계층 출신인 트럼프가 오히려 저소득, 저학력 계층, 심지어 이민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민주당은 트럼프를 중범죄자이자 민주주의의 위협으로 규정하면 쉽게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안일하게 판단한 듯하다. 바이든의 고령 문제나 경제, 이민 정책의 실패를 덮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유권자들의 실제 우려와 기득권 질서에 대한 불만을 제대로 읽지 못한 전략적 오판이었다.
트럼프를 기소한 검사들의 정치적 배경도 주목할 만하다. 연방 특별검사는 법무 장관이 임명했고, 맨해튼과 조지아주의 기소는 민주당 소속 검사들이 주도했다. 미국은 44개 주에서 약 2300명의 지방검사를 4년 임기로 선거를 통해 선출하는데, 이 기소 검사들도 선출직이다. 이로 인해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무리한 법 적용과 기소를 남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룰라 대통령의 몰락과 부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