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패션 위크가 시작되는 시점에 열린 패스트 패션 반대 시위 모습. 시위에 사용된 의류 폐기물 산은 가나에서 가장 큰 중고 의류 시장인 칸타만토 시장에서 가져온 것으로 구성었다.
Paul Lovis Wagner/GP
한 번도 입지 않은 새 옷의 사정도 비슷하다. 블랙 프라이데이에 쏟아지는 마케팅에도 끝까지 팔리지 않은 옷들은 재고가 된다. 산더미처럼 쌓인 재고는 비밀스러운 과정을 통해 버려진다. 제품의 희소성을 지키거나, 세금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재고를 폐기하는 것이 기부나 재활용보다 더 좋은 방법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BBC에서는 2017년, 버버리가 422억 원가량의 자사 명품을 불태워 없앴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우리나라도 비슷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의류업의 재고율은 29.7%에 달한다. 10벌 옷을 만들면 3벌은 재고가 된다. 우리나라는 그렇게 폐기되는 옷의 양이 얼마인지 통계조차 없는 나라이지만, 30%에 가까운 재고율은 필요한 것보다 많은 옷이 생산되고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결국 우리가 블랙프라이데이에 마주하는 현실이라는 것은 이런 식이다. 우리는 수많은 옷을 만드는 세상에서 광고에 이끌려 옷을 사고, 광고는 다시 새로운 유행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산 옷은 보기 좋게 유행에 뒤처진 구린 것이 된다. 누군가는 선의로 그 옷을 헌 옷 수거함에 넣지만, 정작 환경 오염과 지역 주민의 고난을 선물하는 일로 이어진다. 이 시스템에서 선한 마음은 무력하기 짝이 없다. 이건 참 멋지지 않은 일이다.
어느새 패션은 안 멋져
그런데도, 많은 이들은 패션을 열광한다. 패션은 보온이나 편의라는 옷의 기능적 면모를 넘어 나 자신을 보여주는 방법이 되었다. 멋진 옷을 입고 싶고, 옷에 자신의 가치관과 추구하는 삶을 반영하고 싶은 마음은 아주 특별한 욕구가 아니다. 패션을 사랑하는 마음 자체가 죄가 될 수 없는 일이다. 문제는 주객이 전도되었다는 점이다. 우리가 과연 옷을 통해 '자유롭게' 나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지 다시 고민해 볼 때이다.
수많은 콘텐츠들에서 사회생활의 예의가 화장을 하고, 어느 정도 값이 나가는 옷을 입는 것이라 주장한다. 체형을 부위 단위로 쪼개 어떤 옷을 피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정보성 콘텐츠도 늘었다. 조금 특이하지만 그다지 문제가 없는 옷을 입은 사람도 과도하게 많은 시선을 받게 되었다.
옷은 사람 대신 글을 쓰지도, 회의를 진행해 주지도, 전화를 대신 받아주지도 않지만, 외모와 옷은 때로 실력보다 더 많이 한 사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온 세상이 온 힘을 다해 옷이 나 대신 일해주고, 사랑 받아 마땅한 사람으로 만들어 줄 것처럼 주장하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적당히 깔끔한 옷을 입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졌다.
어느새 패션은 멋지지 않아졌다. 그건 패션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패션 광고와 콘텐츠들이 만들어놓은 틀 안에 나를 맞추어 나가는 과정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옷을 사서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옷을 사는 행위 자체가 개성인 것처럼 포장될 때, 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개성은 카드를 긁는 행위에서 멈춘다. 옷은 물건일 뿐, 나 자신이 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