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청년 취업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사람이 1년 새 24만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쉬었음' 청년(15∼29세) 중 10명 중 3명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고 있다고 답했다. 통계청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 청년일자리센터.
연합뉴스
첫째, 낙수효과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부자 감세 기조를 철회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투자와 고용증가를 기대하면서 대기업 위주의 감세 정책을 시행했지만, 법인세 인하의 투자 및 고용효과는 미약하고, 소득 불평등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수효과가 작동하지 않는 현실에서 부자 감세 기조를 유지한 채 건전재정을 강조하면 조세 및 재정의 재분배 기능과 안정화 기능이 약화되어 양극화와 불평등은 확대되고, 성장잠재력은 크게 저하될 것이다. 최상위 자산가에게 감세혜택이 집중되는 상증세 개편안은 폐기되어야 하고, 여야 합의로 입안된 금융투자소득세는 예정대로 도입해야 한다.
둘째, 긴축재정 기조를 철회하고, 경기대응적으로 재정을 운용해야 한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서 안정화정책은 잠재성장률의 제고는 물론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부 유럽국가들은 확장적 재정정책이 필요한 시기에 긴축정책으로 선회함으로써 잠재성장률이 하락하면서 국가채무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유럽이 경험했던 자멸적 긴축재정의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약자복지를 위해 사회안전망과 고용안전망을 좀 더 촘촘하게 구축해야 한다. 정부는 2025년 예산안에서 약자복지를 강조했지만, 실제로 배정된 예산은 취약하다. 보건𐩐복지 분야의 예산이 가장 큰 규모로 증가했지만, 대부분은 공적연금과 노인 부문에서 발생한 의무지출이며, 임대주택 예산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더욱이 세수결손으로 지방교부세가 감축되면서 민생회복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이 위축되고 있다.
넷째, 재정의 민주적 통제와 정치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현재 예산편성은 정부의 고유권한(헌법 제54조제2항)이고, 국회는 정부의 동의 없이 정부가 제출한 지출예산 금액을 증가하거나 새 비목을 설치할 수 없다(헌법 제57조). 국회의 예산 결정 권한을 강화하고, 예산편성과 관련된 주요 논의와 의사결정 과정을 모두 공개하여 예산편성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나아가 선거제도의 비례대표성을 강화하여 서민·중산층의 요구가 균형있게 반영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국민참여예산제도와 시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로 재정의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며, 지역균형발전을 견인하는 방식으로 재정 분권을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