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방해변 앞에서 성원기 대표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기후교회 예배에 개들도 함께 참석했다.
명훈
기후교회가 다음으로 찾은 곳은 서울의 한 수산시장. 물살이(동물권단체들은 물고기 대신 물에 사는 존재라는 뜻에서 물살이라고 부른다) 비질(vigil)은 형욱이 기후교회를 만들기 전부터 꼭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기후위기를 이야기할 때 가장 근본이 되는 문제이면서 동시에 가장 주변화되는 문제가 '종차별주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비질은 철야 기도, 농성이라는 뜻으로 농장이나 도살장, 수산시장 등을 방문해 현장을 기록하며 진실의 증인이 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물살이 비질의 현장 예배는 신앙고백 대신 '비동물 인간의 고백'으로 시작한다. 비질은 예배에 참석한 사람들이 선해서, 혹은 정의로워서 여기 오는 게 아니라고 했다. '함께 아픈 우리를 망각하여 관계를 잃고 동물이 되지 못했다'는 고백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대형 수산시장을 돌아다니며, 물살이가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는지 목격하고 기록했다. 물살이들이 갇힌 수족관, 몸통이 썰리고 토막 나는 도마 위가 이날의 현장이었다. 수족관과 도마 앞에서 형욱은 '생태학살의 목격자'로 살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수산시장에 들어갔을 때 방금까지 살아서 움직이던 장어가 몇 초 만에 쇠꼬챙이에 머리가 꽂히는데, 이게 진짜 학살이구나 생각했어요. 에코사이드(생태학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사실 피부로 느껴지지 않았어요. 전 생태학살의 현장을 마주하고 싶었고 그래서 기후교회를 시작했는데 학살이 이렇게 가까운 곳에서 벌어지고 있었구나 느꼈어요."
학살의 목격자라는 느낌은 곧 '학살에 가담해 왔다'는 부채와 책임으로 이어졌다.
"하나님은 가장 약하고 낮은 존재를 위해서 이 세상에 왔다고 얘기해요. 하나님은 사랑과 공의의 근원인데, 산이 깎여 나가고 강이 썩을 때, 생명이 무참히 망가지고 짓밟힐 때 어떨까. 성서에는 인간과 닮은 존재로 예수가 왔고, 예수가 사랑과 공의를 위해 죽었고, 인간도 그렇게 살아야 된다고 하거든요."
학살에 가담하고 있다는 생각에 형욱은 괴롭다. 그렇지만 이 괴로움을 놓기가 어려웠다. 괴로움을 외면하는 자신을 용서하기 어려울 것 같았고 이 느낌이 형욱을 계속 고민하고 행동하게 만들 것 같았다.
학살 현장을 목격한 충격과 괴로움을 함께 있는 사람들과 나눠 가졌다. 처음 느껴본 것들, 익숙한 시장의 풍경이 낯설어진 장면들, 나와는 상관없던 단어가 갑자기 내 삶에 끼어드는 것 같은 느낌, 말해본 적 없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낯설고 어색한 것들을 말로 꺼내보고 글로 적는다.
현장 예배에 참석한 이들은 함께 '아파하는 마음, 불능을 고백하는 마음, 지켜보고 애도하는 마음'을 나누고 이게 사랑임을 고백한다. 그 힘으로 말과 행동과 삶을 함께 바꾸어가자고 기도한다. 마음 나눔으로 오늘의 예배는 끝이 났다. 이제 물살이는 음식 재료가 아니게 되었고, 맹방해변과 금강은 그냥 바다나 강이 아니게 되었다. 함께 모여서, 현장을 마주하고 그 느낌과 의미들을 나눌 때, 그때 비로소 영성이 생겨난다.

▲비질 활동이 끝난 후에 참석자들은 각자의 마음을 종이에 적어 나누었다.
명훈
"몸 안에서 분열이 없이 오히려 지체들이 서로를 동일하게 돌보도록"(고린도전서 12:25)
기후교회와 형욱은 '기후위기'라는 한 번도 맞닥뜨려 본 적 없는 위기 앞에서 어떻게 영성을, 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어떻게 활동을 이어갈지 알 수 없지만 할 수 있는 것들을 계속하려고 한다. 다만 그 해법을 고민할 때 '근본적인 문제'를 놓치지 않으려 한다. 종차별주의와 착취에 기반한 체제 안에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또한 '하나님의 지혜'도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종차별과 착취를 해결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지 않으면, 기후위기 문제는 기술적인 해법으로 빠질 수밖에 없고, 그러다 보면 자본에 포획될 수밖에 없어요. 결국 자본가들, 기득권들 입맛에 맞는 운동밖에 할 수 없는 거죠. 그런 운동으로는 위기를 해결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하나님은 권력자가 아니라 고통받는 존재들과 함께하고 싶어 하니까요."
활동 영역이 동물권리운동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는 이유였다. 형욱은 종차별과 착취의 문제가 종교 안에서 이야기되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자신의 정체성이 개신교인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을 얘기하는 것은 종교가 될 수밖에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욱은 전통적인 개신교를 벗어나지 않으면 그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개신교는 오랜 기간 '자본과 결탁해 성서를 입맛대로 해석'해 왔다. 창세기에 나오는 '생육하고 번성하여 만물을 다스리라'는 구절을 인간이 다른 존재를 착취해도 된다고 읽지만, 형욱은 이제 '상호돌봄의 관계'로 다시 해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형욱이 경험한 교회는 개신교가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외면해 왔다. 형욱도 그냥 '교회가 썩었다'고 냉소하고 신앙을 저버릴 수도 있었다.
▲사진은 기후정의행진을 앞두고 동물행진 실무팀에서 열린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는 모습.
정윤영
그런데도 희망이, 있을까?
형욱은 성서가 '부패한 시대를 살아갔던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의 개신교를 부끄러워하면서 영성을 이야기하고, 차별이 아니라 사랑과 정의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있다. 광장이 있고, 그곳에서 지혜를 부르는 목소리를 들으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이 있는 한 희망은 버려지지 않는다.
"저희 희망은 해결에 대한 결과적인 희망이라기보다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에게 있다고 봐요. 그런 가치를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여기에 함께 모여 있다는 것 그 자체가 희망이니까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